주간동아 758

2010.10.18

안데스 버전 흥겨운 ‘짠짜라’

  • 박길명 나눔예술특별기고가 myung@donga.com

    입력2010-10-18 10:20: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안데스 버전 흥겨운 ‘짠짜라’

    전통타악연구소와 ‘유야리’가 양천장애인종합복지관에서 공연하는 모습.

    가을 햇살이 쏟아지는 10월 7일 오후 2시, 서울 양천구 신정동 양천장애인종합복지관에서는 전통타악연구소의 나눔예술 공연이 펼쳐졌다. ‘밝은 미소로 함께하겠습니다’라는 복지관의 모토에 걸맞게 사회복지사들은 친절한 미소로 장애인 관객을 맞았다.

    ‘한국의 신명과 남미의 정열이 펼치는 환상의 하모니, 공감21.’ 대체 어떤 공연일까. 관객들은 호기심 반, 기대감 반으로 객석을 가득 메웠다.

    ‘둥둥, 둥둥….’ 적막을 깨는 북소리가 울리며 전통타악연구소의 사물놀이가 시작됐다. 이어 페루 음악그룹 ‘유야리’가 활기찬 연주를 들려줬다. 관객 대부분은 퓨전 공연을 처음 접한 듯, 사물놀이와 안데스 음악의 어울림에 감탄사를 연발했다. 공연 모습을 카메라나 휴대전화에 담느라 바쁜 이들, 휠체어에 앉아 시종일관 손뼉 장단으로 연주에 화답하는 이들. 모두 생소한 페루 음악에도 흥이 절로 난 듯 즐거운 표정이었다. 단원들이 신들린 듯한 두드림으로 크고 작은 북에서 열기를 뿜어내는 타악 퍼포먼스, ‘타타타’에 이르자 관객들의 반응은 가히 폭발적이었다.

    “짠짠짠, 짜라짜라짜짜. 잘 가요, 안녕 내 사랑~.”

    “가만, 이건 뭐지?” 바로 안데스 버전으로 연주된 장윤정의 트로트 ‘짠짜라.’ 관객들은 누가 먼저랄 것 없이 연주에 맞춰 노래를 흥얼거렸다.



    ‘휘익’ 하고 대나무로 만든 남미 민속악기에서 휘파람 소리가 나더니, 이어 ‘따그닥, 따그닥’ 리듬 타악기 우드블록에서 말발굽 소리가 들려왔다. 영화 ‘석양의 무법자’의 주제곡 ‘우하(Hu-Ja)’를 알리는 소리였다. 한 편의 서부영화 주제곡은 거대한 블록버스터처럼 공연장을 뒤흔들었다.

    공연의 대미는 뒤풀이였다. 관객들이 앙코르를 외치자 풍물패와 단원들은 무대에서 내려와 모두 하나가 돼 호흡을 맞추기 시작했다. 춤추는 사람, 손뼉을 치는 사람, 몸이 불편해 앉아 있지만 흥을 돋우는 사람이 함께 빚어내는 신바람은 나눔예술을 통해 느낄 수 있는 또 다른 묘미였다.

    TIP

    ‘나눔예술’ 홈페이지 클릭하세요


    나눔공연은 누구나 무료로 즐길 수 있는 문화 나눔의 장입니다.

    나눔예술 홈페이지(www.nanumart.com)에 들어와서 공연 일정을 확인하세요.

    서울시합창단 황수미 단원

    “누군가에 감동, 노래하는 보람 신나요”


    안데스 버전 흥겨운 ‘짠짜라’
    친구를 따라갔다. 5년 만에 실시된 단원 모집의 경쟁률은 100대 1. 2008년 11월 황수미(24) 씨의 서울시합창단 입성은 그렇게 시작됐다. 합창단에 들어가자마자 나눔무대에 섰다.

    “합창단 단원 5명이 이탈리아에서 공연을 한 적이 있어요. 다른 단체와 함께 했는데, 무대에 선다는 게 참 좋았어요. 순수한 아이들에게 클래식을 알리는 것도 그랬고, 처음이라 뭐든 재밌었죠.”

    막내 단원인 황씨는 그때나 지금이나 자신의 재능이 누군가에게 힘이 될 수 있다는 게 보람차다고 말한다. 한때 어머니가 아픈 적이 있어서 특히 병원 공연이 애틋하게 느껴진다.

    “합창을 여럿이 부르는 것으로만 생각하는데요. 어느 하나가 튀어선 낼 수 없는 하모니를 위해 하나로 모으는 과정이에요. 조화로운 사회가 그렇듯, 합창에도 양보와 희생이 필요해요.”

    황씨는 훌륭한 합창은 단원 간의 좋은 관계에서 나온다고 믿는다. 그가 꼽는 서울시합창단의 강점도 바로 이것이다.

    “30년이 넘는 역사의 저희 합창단은 오페라 합창에 뛰어나답니다. 저요? 표현력이랄까요. 같은 노래라도 표정과 함께 전하려고 해요.”

    합창에도 변화가 필요하지만 퓨전으로만 가는 세태가 안타깝다는 소프라노 황씨. 그는 더 좋은 하모니로 관객에게 큰 감동을 주고 싶다. 공연이 고조될 무렵, 그가 부르는 ‘유 레이즈 미 업(You raise me up)’처럼 관객들에게 용기를 북돋우면서 말이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