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137

..

원포인트 시사 레슨

백난아의 ‘찔레꽃’은 왜 붉게 피는 걸까

  • | 권재현 기자 confetti@donga.com

    입력2018-05-08 15:55:28

  • 글자크기 설정 닫기
     가수 백난아. [동아DB]

     가수 백난아. [동아DB]


    ‘찔레꽃 붉게 피는 남쪽 나라 내고향/언덕 위에 초가삼간 그립습니다/자주 고름 입에 물고 눈물 젖어/이별가를 불러주던 못 잊을 사람아.’ 

    백난아의 ‘찔레꽃’(1942) 1절 가사다. 이 노래는 KBS 성인가요 프로그램 ‘가요무대’에 가장 많이 신청된 노래 가운데 하나라고 한다. 그만큼 고향을 떠나 타향살이를 해야 했던 한국인의 심금을 울리는 노래란 소리다. 

    찔레꽃은 5월이면 전국 길가와 산비탈에 핀다. 그만큼 친숙해서일까. 같은 제목의 노래가 여럿 있다. 이연실이 부른 ‘찔레꽃’(1972)과 장사익의 ‘찔레꽃’(1995)도 빼놓을 수 없는 명곡이다. 이원수의 동시 ‘찔레꽃’을 이연실이 개사하고 박태준이 곡을 붙인 ‘찔레꽃’은 ‘엄마 일 가는 길에 하얀 찔레꽃/찔레꽃 하얀 잎은 맛도 좋지’로 시작한다. 장사익의 ‘찔레꽃’은 ‘하얀 꽃 찔레꽃/순박한 꽃 찔레꽃’으로 시작한다. 

    눈치챘겠지만 뒤의 두 노래 속 찔레꽃은 모두 흰 꽃이다. 실제 5월에 피는 찔레꽃은 대부분 흰빛이고 가끔 연분홍빛을 띠기도 한다. 그런데 백난아의 찔레꽃은 왜 유독 붉을까. 남쪽 지방에 피는 찔레꽃은 색이 다른 걸까. 

    찔레꽃(학명 Rosa multiflora)은 장미과 꽃이다. 영어명이 야생장미를 뜻하는 ‘wild rose’다. 찔레꽃이라는 말 자체가 ‘가시(찔레) 달린 꽃’을 뜻한다. 우리가 아는 장미는 유럽과 아시아에 피는 이런 찔레꽃을 모아 18세기 말 개량한 꽃이다. 장미과 학명에 들어가는 Rosa는 라틴어로 장미를 뜻한다. 한국적 관점에서는 장미도 찔레꽃 가운데 하나라고 봐야 한다. 



    이런 광의의 찔레꽃 중 바닷가 모래밭에 피는 꽃이 있다. 꽃잎이 훨씬 크고 색이 붉다. 바로 해당화(학명 Rosa rugosa)다. 해당화 역시 장미과 꽃이다. 따라서 남쪽 나라 내 고향에서 붉게 피는 찔레꽃은 해당화일 개연성이 높다. 노래를 부른 백난아의 고향이 제주다. 

    하지만 그 꽃을 해당화라고 단정할 순 없다. 백난아의 ‘찔레꽃’은 요즘 2절까지만 불리지만 원래는 3절이 있었다. ‘연분홍 봄바람이 돌아드는 북간도/아름다운 찔레꽃이 피었습니다/꾀꼬리는 중천에서 슬피 울고/호랑나비 춤을 춘다 그리운 고향아.’ 이 노래를 작사·작곡한 김영일-김교성 콤비가 북간도 순회공연을 다녀온 뒤 일제 치하에서 고생하다 고향을 떠나 뿔뿔이 흩어져 살았던 동포의 애환을 담아 노래를 만들었음을 뒷받침하는 가사다. 

    바닷가에 피는 해당화가 북간도 산골에도 피었다고 보긴 힘들다. 드물긴 하지만 붉은색 찔레꽃도 존재한다. 한국의 식물명과 분류는 일제강점기에 본격화됐다. 따라서 1942년 무렵 찔레꽃과 해당화, 장미에 대한 분류가 명확했을 리 없다. 가시 달린 꽃은 그냥 찔레꽃으로 통칭했을 가능성이 크다. 

    분명한 것은 그 꽃이 장미는 아니었을 거라는 점이다. 장미가 화려함과 정열의 상징이라면 한국인의 정서에 녹아 있는 찔레꽃은 찬란한 슬픔의 꽃이다. 사랑하는 이를 애틋하게 떠올리게 하는 꽃. 장사익이 노래하듯이 별처럼 슬프고 달처럼 서러운 꽃이다. ‘찔레꽃 향기는/너무 슬퍼요/그래서 울었지/목놓아 울었지.’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