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161

..

특집 | 스마트 국방·드론 산업대전

이세영 세영정보통신 대표 “휴대전화 못 하는 일 우리 제품이 해내”

통신장비 수리 기술력 인정…‘양방향 무선 송수신기’도 개발

  • | 구미=정혜연 기자 grape06@donga.com

    입력2018-10-29 11:00:01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박해윤 기자]

    [박해윤 기자]

    오늘날 온라인이 없는 세상은 꿈꿀 수 없게 됐다. 인터넷, 와이파이 등 전자통신 연결망은 대다수 회사에서 업무 기반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를 연결하는 통신장비는 삼성, LG 등 국내 대기업뿐 아니라 해외 업체 등 수십여 곳에서 생산한다. 또한 생산하는 기기의 종류도 천차만별이고 가짓수도 100개가 넘는다. 

    개중에는 성능을 업그레이드하면서 생산이 중단된 기기도 있다. 이를 계속 사용하는 회사의 경우 고장이 날 때마다 속이 타들어가기 마련이다. 생산업체에서 애프터서비스(AS)를 해주는 것이 당연하지만, 비용이 상당한 데다 수리 기간도 그만큼 오래 걸릴 수밖에 없다.

    대기업 통신기기 수리 분야에서 독보적 기업

    올해로 창립 20주년을 맞은 세영정보통신의 이세영 대표는 국내 통신기기 수리 분야에서 업계 1위를 자부한다고 했다. [박해윤 기자]

    올해로 창립 20주년을 맞은 세영정보통신의 이세영 대표는 국내 통신기기 수리 분야에서 업계 1위를 자부한다고 했다. [박해윤 기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주는 기업이 바로 경북 구미시에 자리한 세영정보통신이다. 1998년 삼성전자에서 근무하던 이세영 대표가 외환위기를 맞아 퇴사한 후 삼성전자의 전자통신기기 AS사업 분야를 이관해 설립한 회사다.
    이 대표는 당시 삼성 소속이던 직원 24명을 데리고 나와 사업을 시작했다. 주로 삼성 제품만 취급하다 LG, SK 등 국내 대기업 제품은 물론, 시스코 등 해외 제품까지 맡게 됐다. 이런 노력 끝에 창립 20주년인 올해 직원 120명, 연매출 90억 원을 기록하는 중견기업으로 성장했다. 

    여러 기업의 제품을 한꺼번에 수리할 수 있다는 점이 독특하다. 

    “원래는 삼성 제품만 했다. 수리비용이 비싼 것은 삼성전자서비스가 하고, 나머지 크고 작은 수리를 맡았다. 그런데 시간이 흐르다 보니 국내 생산 거점이 점점 사라져 일감도 줄어들었다. 눈을 돌려 LG 쪽으로 연결했다. 어차피 통신장비 기술은 대동소이하기 때문에 수리하는 데 큰 어려움은 없었다. LG에서 수리 부분 기업입찰을 했고, 우리가 따냈다. 그렇게 조금씩 여러 기업과 접촉하며 사세를 확장했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CJ헬로 등 이동통신회사까지 섭렵했다. 


    “운용회사에서 통신장비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삼성, LG 등 제조사를 경유해 배달하다 보니 그쪽에서는 오히려 시간과 비용이 더 든다고 판단했다. 하나 둘씩 우리 쪽에 수리를 직접 요청해왔고 초반에는 무상, 혹은 저가 위주로 받아서 처리했다. 차츰 일이 늘어나고 제품 종류도 너무 많아져 ‘무상은 안 되겠으니 유상으로 해주겠다’고 했다. 이후 각각 계약을 맺어 일을 받고 있다.” 



    다양한 회사의 제품이 한곳에 모여 있는 것이 신기하다. 

    “한쪽은 삼성, 한쪽은 LG 제품이 보관돼 있으니 이상하게 보일 수도 있다. 한번은 운용회사를 통해 시스코 기기의 수리를 의뢰받았다. 나중에 그 사실을 알게 된 시스코 측에서 ‘왜 우리 제품을 마음대로 가져가 수리하느냐’고 항의를 해왔다. 그래서 ‘너희가 물건을 팔았으면 수리까지 제대로 해줘야지 왜 일을 제대로 하지 않고 엉뚱한 데다 이의를 제기하느냐’고 되받아쳤다. 그랬더니 아무 소리 못 하더라. 좋은 제품을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용자 입장에서는 수리도 상당히 중요한 부분이다. 그래서 공들여 수리하는데, 여기에서 회사 매출의 95%가 발생하고 있다.” 

    수리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확보해 안정적으로 회사를 꾸려왔지만 이 대표는 ‘심부름만 해서는 성장이 어렵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2008년 회사가 보유한 기술력을 토대로 통신기기 개발에 착수했다. 그렇게 해서 2년 만에 소형 양방향 무선 송수신기를 만들어냈다. 

    제품 개발에 사활을 건 이유는 무엇인가. 

    “휴대전화 모델이 계속 업그레이드되는 것처럼 통신기기 모델도 시간이 흐르면서 변화가 생겼다. 생산업체에서 더는 만들지 않으면 운용회사들이 기존 모델을 폐기하는 등 점점 수리를 하지 않는 분위기가 형성됐다. 이때 문득 ‘내 물건을 만들어야겠다’는 목표가 생겼다. 우리 기술로 만들 수 있는 제품이 무엇일까 고민하니 주파수로 통신하는 무전기, 즉 무선 송수신기가 보였다. 기술력을 더해 양방향으로 최대 500m, 9명까지 송수신이 가능한 100g 이하 제품을 만들어냈다.” 

    요즘 휴대전화 사용률이 높은데 무선 송수신기 수요가 있나. 

    “일반 사람은 모르지만 생각보다 다양한 곳에서 무선 송수신기를 사용하고 있다. 휴대전화가 잘 터지지 않는 실내, 국립공원, 지하시설, 건설현장, 방공호 등에서 업무나 레저용으로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다. 또 실시간으로 다자 대화를 해야 하는 동시통역, 군사훈련, 투어가이드 등 여러 목적으로 여전히 무선 송수신기를 사용한다. 그런 틈새시장 수요가 있기에 시장성이 충분하다고 판단했다.” 

    지금까지 어떤 곳에 납품했나. 


    “서울 쉐라톤 호텔 연회장·회의실·조리실 간 상황 통제용, 한국지역난방공사 순찰용, 구미시설공단 지하공동구 통신용 등으로 납품했다. 기기 대당 채널을 40개까지 잡을 수 있고, 6대까지 동시 통화가 가능하다. 대당 통신거리는 최대 500m인데 중간에 장애물이 많으면 덜 나온다. 따라서 중계기를 중간 중간 설치해놓으면 최대 2km까지 송수신이 가능하다. 해외에서도 구입 문의가 와 유럽 쪽으로 판로를 개척하고 있다.”

    10년 전 착수, 양방향 무선 송수신기 탄생

    10년 전 개발에 착수해 독자 기술로 생산한 양방향 무선 송수신기는 해외 17개국에 판매 중이며 국내 관공서, 민간 사업장은 물론 국방으로도 판매 영역을 넓히고 있다. [박해윤 기자]

    10년 전 개발에 착수해 독자 기술로 생산한 양방향 무선 송수신기는 해외 17개국에 판매 중이며 국내 관공서, 민간 사업장은 물론 국방으로도 판매 영역을 넓히고 있다. [박해윤 기자]

    해외에서는 어떤 용도로 사용하나. 

    “4~5년 전 네덜란드 투어회사에서 투어가이드용으로 물건을 사갔다. 그런데 제품이 마음에 들었는지 해마다 주문량을 늘렸고, 최근까지 매년 4000개씩 가져가 대리판매도 해줬다. 주로 어디서 사가느냐고 물으니 승마장 교육용, 축구 심판용 등 다양한 용도로 판매된다고 했다. 수리를 직접 의뢰해오는 경우도 늘었는데, 최근에는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수리 요청이 들어와 깜짝 놀랐다. 중간 거래상 얘기로는 17개국에 수출하고 있다고 한다.” 

    장기적으로 목표하는 바가 있나. 

    “사실 무선 송수신기를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는 곳은 군부대다. 지금도 군에 납품하려고 애쓰고 있다. 우리 제품은 가볍고 충전만 하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데다 보안 기능도 뛰어나다는 점을 군이 알아줬으면 하는 바람이다. 실제로 지상뿐 아니라 수중 잠수함에서도 중계기만 달면 층간 송수신이 가능하다. 물론 민간에 판매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우리나라 국방전력 증대에 일조하기 위해서라도 판로를 뚫고 싶은데, 국방부가 보안을 이유로 문을 잘 열지 않는다. 세계에서 가장 좋은 스펙으로 만든 제품이라고 자부하는데 판로 개척이 쉽지 않다. 국가가 중소기업 우수 제품의 기능성을 인정하고 이를 수용하는 날이 왔으면 한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