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한 편의 시간여행 뮤지컬이 등장했다. 이번에는 1956년 서울 명동이다. 뮤지컬 ‘명동로망스’는 연극과 영화, 뮤지컬의 단골 소재를 어떤 방식으로 풀어냈을까. 명동주민센터에서 근무하며 무미건조하게 살아가는 9급 공무원 선호는 어느 날 퇴근 직전 상사로부터 야근 명령을 받는다. 명동 개발에 방해되는 허름한 다방의 주인 할머니에게 철거 동의서를 받아오라는 것. 그렇게 찾아간 다방은 어딘가 괴기스럽고, 선호는 알 수 없는 힘에 이끌려 1956년 명동 한복판에 떨어진다.
태어나기도 한참 전인 시대에 홀로 남은 선호는 통금에 걸리고 신분증이 없어 경찰서에서 곤경을 겪는다. 그런 그를 박인환(1926~56)과 전혜린(1934~65) 패가 구해준다. 갈 곳 없는 선호는 명동 로망스 다방에서 아르바이트하며 현대로 돌아갈 방법을 찾고자 고군분투한다. 그림을 그만두려는 무명 화가 이름이 이중섭(1916~56)인 걸 알게 된 선호는 그가 그림을 다시 그릴 수 있도록 독려하고, 실제로도 애주가였던 박인환과 함께 술잔을 기울인다. 전혜린과는 미묘한 기류를 형성한다.
그 시대를 아는 만큼 보이는 작품이다. 1956년 명동 사람들은 커피를 내리는 게 아니라 끓여 마시고, 국내 제조업의 시작을 알린 최초의 자동차 ‘시발’을 연호하며 감동한다. 전쟁이 끝나고 새로운 삶에 대한 희망으로 가득한 56년 명동에서 예술가들은 어떤 일을 해도 허락되는 일종의 특권층이었다. 시간여행을 통해 과거로 간 주인공이 당대 유명 예술가들과 교류한다는 점에서 작품은 영화 ‘미드나잇 인 파리’를 연상하게 한다. 박인환은 자신의 시가 2015년에도 기억되는지 궁금해하며 시를 읊지만 ‘애니팡 시인’ 하상욱의 시밖에 모르는 선호의 모습에 좌절하고, 대한민국 최초 패션디자이너 노라노는 21세기에서 날아온 그의 폴리에스테르 재질 셔츠를 만져보며 독특한 질감에 감탄한다.
2013년 충무아트홀 창작뮤지컬 육성사업 ‘뮤지컬하우스 블랙·블루’ 선정작으로 쇼케이스, 서울뮤지컬페스티벌 예그린앙코르를 통해 2년간 보완 과정을 거쳤다. 대학을 졸업하고도 취업을 못 해 명동 커피숍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던 선호는 올해 선보인 뮤지컬에서는 남부럽지 않은 9급 공무원이지만 무미건조한 삶을 사는 청년으로 바뀌었다. 장면과 장면 간 연결도 한층 매끄러워졌고, 인물 행동에도 당위성이 더해졌다.
배우들의 가창력은 나무랄 데 없지만 한 번에 기억되는 곡이 없는 건 아쉽다. 뮤지컬이 아니라 연극이었어도 충분히 힘 있는 이야기가 됐을 것 같다. 가장 기억에 남는 곡은 박인환이 죽기 직전 했던 말을 가사로 살린 ‘생명수’. 그러나 마지막 장면이 주는 감동을 깨고 싶지 않다면 생명수의 정체는 공연을 본 뒤 찾아보기를 권한다.
2016년 1월 3일까지, 서울 충무아트홀 소극장 블루.
태어나기도 한참 전인 시대에 홀로 남은 선호는 통금에 걸리고 신분증이 없어 경찰서에서 곤경을 겪는다. 그런 그를 박인환(1926~56)과 전혜린(1934~65) 패가 구해준다. 갈 곳 없는 선호는 명동 로망스 다방에서 아르바이트하며 현대로 돌아갈 방법을 찾고자 고군분투한다. 그림을 그만두려는 무명 화가 이름이 이중섭(1916~56)인 걸 알게 된 선호는 그가 그림을 다시 그릴 수 있도록 독려하고, 실제로도 애주가였던 박인환과 함께 술잔을 기울인다. 전혜린과는 미묘한 기류를 형성한다.
그 시대를 아는 만큼 보이는 작품이다. 1956년 명동 사람들은 커피를 내리는 게 아니라 끓여 마시고, 국내 제조업의 시작을 알린 최초의 자동차 ‘시발’을 연호하며 감동한다. 전쟁이 끝나고 새로운 삶에 대한 희망으로 가득한 56년 명동에서 예술가들은 어떤 일을 해도 허락되는 일종의 특권층이었다. 시간여행을 통해 과거로 간 주인공이 당대 유명 예술가들과 교류한다는 점에서 작품은 영화 ‘미드나잇 인 파리’를 연상하게 한다. 박인환은 자신의 시가 2015년에도 기억되는지 궁금해하며 시를 읊지만 ‘애니팡 시인’ 하상욱의 시밖에 모르는 선호의 모습에 좌절하고, 대한민국 최초 패션디자이너 노라노는 21세기에서 날아온 그의 폴리에스테르 재질 셔츠를 만져보며 독특한 질감에 감탄한다.
2013년 충무아트홀 창작뮤지컬 육성사업 ‘뮤지컬하우스 블랙·블루’ 선정작으로 쇼케이스, 서울뮤지컬페스티벌 예그린앙코르를 통해 2년간 보완 과정을 거쳤다. 대학을 졸업하고도 취업을 못 해 명동 커피숍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던 선호는 올해 선보인 뮤지컬에서는 남부럽지 않은 9급 공무원이지만 무미건조한 삶을 사는 청년으로 바뀌었다. 장면과 장면 간 연결도 한층 매끄러워졌고, 인물 행동에도 당위성이 더해졌다.
배우들의 가창력은 나무랄 데 없지만 한 번에 기억되는 곡이 없는 건 아쉽다. 뮤지컬이 아니라 연극이었어도 충분히 힘 있는 이야기가 됐을 것 같다. 가장 기억에 남는 곡은 박인환이 죽기 직전 했던 말을 가사로 살린 ‘생명수’. 그러나 마지막 장면이 주는 감동을 깨고 싶지 않다면 생명수의 정체는 공연을 본 뒤 찾아보기를 권한다.
2016년 1월 3일까지, 서울 충무아트홀 소극장 블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