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154

..

국제

친미국가 카타르의 위험한 줄타기

미국과 대립하고 있는 터키의 구원투수로 나서

  • | 이장훈 국제문제 애널리스트 truth21c@empas.com

    입력2018-09-04 11:00:01

  • 글자크기 설정 닫기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카타르 국왕(왼쪽)과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이 악수하고 있다.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카타르 국왕이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대화하고 있다(왼쪽부터). [터키 대통령실 사이트, 백악관]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카타르 국왕(왼쪽)과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이 악수하고 있다.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카타르 국왕이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대화하고 있다(왼쪽부터). [터키 대통령실 사이트, 백악관]

    카타르는 페르시아만 반도에 자리한 자그마한 국가다. 남북, 동서 길이가 각각 160km와 80km에 불과하고, 국토 면적은 1만1437km2로 경기도보다 약간 작다. 남쪽으로 사우디아라비아와 국경을 접하며, 국토의 나머지는 바다에 면하고 있다. 인구는 264만 명으로 토박이는 30만 명밖에 안 되고 나머지는 인도, 파키스탄, 이란, 아프리카, 동남아 등에서 온 이민자다. 

    1971년 영국 보호령에서 독립한 카타르 원주민들은 어업과 진주조개 채취로 생계를 이어왔다. 페르시아만에서 유전이 발견되면서 산유국으로 발돋움한 카타르는 1989년 세계 최대 해상 천연가스전인 ‘노스 돔’(세계 전체 매장량의 10%)에서 천연가스를 생산하며 부국이 됐다. 천연가스 매장량 세계 3위(26조㎥·15%)이자 수출량 세계 1위다. 원유 매장량(254억 배럴)도 세계 12위인 에너지 대국이다. 카타르의 1인당 GDP(국내총생산)는 6만6202달러로 세계 6위다. 

    카타르가 미국과 외교·통상 갈등으로 위기를 겪고 있는 터키 측에 구원의 손길을 내밀었다.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카타르 국왕은 8월 15일 터키 수도 앙카라를 방문해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을 만난 자리에서 150억 달러(약 16조6000억 원)를 직접투자하겠다고 말했다. 카타르는 이 자금을 터키의 경제 프로젝트와 금융시장, 은행 예금에 투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터키에 150억 달러 직접투자

    카타르의 이번 터키 투자 금액은 2016년과 2017년 터키가 유치한 외국인직접투자(FDI) 133억 달러와 108억 달러를 뛰어넘는 규모다. 반면, 천연가스 수출로 막대한 자금을 축적한 카타르로선 이 정도 투자는 어찌 보면 ‘껌값’이나 다름없다. 카타르 국부펀드는 3조3350억 달러(약 3692조5000억 원)나 되기 때문이다. 카타르 중앙은행은 또 터키 중앙은행과 통화 스와프 협정까지 맺었다. 통화 스와프는 필요할 때 자국 통화를 상대국 중앙은행에 맡기고 상대방 통화를 빌려 쓰는 것으로, 마이너스통장과 비슷하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8월 13일 터키 정부가 자국인 앤드루 브런슨 목사의 석방을 거부하자 터키산 철강과 알루미늄에 각각 50%, 20% 관세를 부과하는 등 값을 2배로 인상하는 조치를 내렸다. 브런슨 목사는 2016년 10월 실패로 끝난 군부 쿠데타에 연루됐다는 혐의뿐 아니라 ‘펫훌라흐 귈렌주의 테러조직(FETO)’과 쿠르드 분리주의 무장단체인 ‘쿠르드노동자당(PKK)’을 돕는 등 간첩 혐의로 구속, 기소됐다. 터키 정부는 미국에 망명한 이슬람 성직자 귈렌이 군부 쿠데타를 배후 조종한 인물이라고 지목해왔다. 미국 정부는 터키 정부가 귈렌을 송환하고자 브런슨 목사를 인질로 억류 중인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 정부의 관세 폭탄 여파로 터키 통화인 리라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연초보다 40% 가까이 폭락하면서 터키 경제는 외환위기에 직면해 있다. 터키의 대외부채 규모는 4600억 달러로 GDP 대비 55%에 달한다. 터키는 막대한 외채를 갚아야 하지만 미국과 대립으로 국제통화기금(IMF) 등으로부터 자금을 빌리기 어려운 만큼 자칫하면 디폴트(채무불이행)에 빠질 우려도 있다. 이런 상황에서 카타르의 자금 지원은 터키에 단비가 되고 있다. 에르도안 대통령으로선 카타르 자금으로 일단 급한 불은 끌 수 있게 됐다. 

    그렇다면 친미국가인 카타르가 미국과 대립 중인 터키를 지원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카타르는 중동지역에서 미국의 핵심 우방 가운데 하나다. 1991년 걸프전 이후 미국과 군사협정을 맺은 카타르에는 중동지역 최대 미군 시설인 ‘알 우데이드 공군기지’가 있다. 카타르 수도 도하에서 서남쪽으로 32km 떨어진 이곳에는 미군 중부사령부의 공군 지휘부와 합동항공우주작전센터, 제379 공군원정비행단 등이 배치돼 있다. B-52H 전략폭격기, F-16 전투기, E-8C 지상 감시 정찰기 등 최대 120대의 항공기를 수용할 수 있는 이 기지의 병력은 1만1000여 명이나 된다. 카타르는 10억 달러를 투자해 이 기지를 건설했으며, 이 기지를 통해 미국과 군사 협력관계를 유지해왔다. 

    하지만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바레인, 이집트 등 아랍 4개국이 지난해 6월 무슬림형제단, 이슬람국가(IS) 등 다수의 테러단체를 지원해왔다는 이유로 카타르에 단교를 선언한 후 카타르와 미국의 관계가 소원해졌다. 당시 미국은 사실상 아랍 4개국의 손을 들어줬다. 트럼프 대통령은 카타르가 테러단체 지원을 중단해야 한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타밈 국왕은 4월 미국 워싱턴을 방문해 트럼프 대통령에게 사우디와 중재를 요청했지만, 미국 정부는 지금까지 카타르의 단교 사태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카타르의 터키 지원은 미국 정부에 대한 불만의 표시라고 볼 수 있다. 카타르 측은 미국이 군사 협력관계를 고려해 자국의 터키 지원을 못마땅하게 여기면서도 저지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계산한 듯하다.

    미국 정부에 불만 표시

    카타르 수도 도하에 즐비한 고층빌딩들. [위키피디아]

    카타르 수도 도하에 즐비한 고층빌딩들. [위키피디아]

    또 다른 이유는 터키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카타르의 안보와 경제 면에서 중요하기 때문이다. 터키 정부는 아랍 국가들이 단교와 함께 항공·해상 왕래, 육로 통행을 금지했을 때 카타르에 군 병력을 파병하고 식료품과 생필품을 대거 수송했다. 카타르에는 병력 5000명을 수용 가능한 터키군 기지가 있다. 사우디 등이 카타르를 상대로 군사행동을 하지 못하는 이유도 터키군 때문이다. 사우디는 카타르 내 터키군 기지 폐쇄를 단교 해제를 위한 13가지 조건 가운데 하나로 내걸기도 했다. 

    게다가 2022 월드컵 개최를 앞두고 터키 기업들은 카타르에서 116억 달러(약 12조8470억 원) 규모의 관련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터키 기업들이 없으면 카타르는 월드컵 관련 시설을 제대로 완공할 수 없다. 카타르도 그동안 터키에 200억 달러를 투자해왔다. 양국 교역도 상당하다. 특히 카타르는 시리아를 거쳐 터키까지 이어지는 파이프라인을 통해 자국 천연가스를 운송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해왔다. 터키는 시리아 내전이 종결될 경우 이란과 함께 시리아 정부에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할 것이 분명하다. 

    카타르는 이란과 우호관계를 맺는 데도 터키의 도움이 필요하다. 카타르는 노스 돔 천연가스전을 이란 사우스 파르스 천연가스전과 공유하고 있어 이란이 군사력으로 자국의 천연가스 생산을 방해할 것을 우려해왔다. 이 때문에 카타르는 사우디의 압력에도 이란과 외교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터키는 자국 쿠르드족의 독립을 저지하고자 이란과 협력관계를 맺어왔다. 따라서 카타르는 이란과 관계 악화에 대비해 터키에 일종의 ‘보험’을 들어놓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는 것이다. 카타르가 중동지역의 급진 과격 세력인 레바논의 무장정파 헤즈볼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이슬람주의 단체 무슬림형제단 등에 자금을 지원해온 것도 자국의 생존을 위한 ‘고육지책’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터키와 미국의 외교·통상 분쟁이 장기화하면 ‘이란-터키-러시아’로 이어지는 반미국가 연대가 형성될 개연성이 높다. 이 경우 카타르도 선택을 강요받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카타르의 ‘위험한 줄타기’가 앞으로 언제까지 계속될지 주목된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