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275

2021.01.29

책 읽기 만보

‘좁은 회랑’ 지나 또다시 시험대에

  • 오홍석 기자

    lumiere@donga.com

    입력2021-02-08 10:00:02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만보에는 책 속에 ‘만 가지 보물(萬寶)’이 있다는 뜻과 ‘한가롭게 슬슬 걷는 것(漫步)’처럼 책을 읽는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좁은 회랑
    대런 애쓰모글루·제임스 A. 로빈슨 지음/ 장경덕 옮김/ 시공사/ 896쪽/ 3만6000원 

    프랑스 인류학자 클로드 레비스트로스는 “인간은 이분법을 통해 세상을 양분하려는 본능이 있다”고 말했다. 하늘과 땅, 남자와 여자, 삶과 죽음…. 국가 권력에 대한 철학 또한 두 극단이 있다. ‘리바이어던’ 같은 강력한 권력이 국가를 다스려야 한다는 철학과 시민들이 모두 농노로 전락하는 일을 막기 위해 국가 권력을 경계해야 한다는 철학이 그것이다. 이 책은 둘 사이의 균형을 맞춰 ‘좁은 회랑’을 지날 때 시민의 자유 증진과 국가 번영이 가능하다고 말한다. 

    회랑이 좁은 이유는 균형을 유지하면서 위기를 헤쳐 나가는 국가가 드물기 때문이다. 국가와 사회의 두 힘은 지속해서 균형을 흔든다. 국가의 힘이 세져 한쪽으로 기울면 공포 위에 군림하는 독재정권이 들어선다. 반대로 사회의 힘으로 기울어 국가의 영향력이 약화하면 ‘아랍의 봄’ 이후 시리아 같은 무정부 상태가 된다. 저자들은 수메르인이 점토판에 새긴 메소포타미아 신화로 시작해 미투(Me Too)운동에 이르기까지 국가와 사회 사이 힘의 균형의 역사를 통사서(通史書) 형태로 풀어냈다. 

    국가 권력과 시민 권력의 균형이 중요하다는 주장은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다. 하지만 지난 1년간 전 세계를 덮친 감염병은 균형 유지가 얼마나 어려운지 다시금 일깨워줬다. 팬데믹은 여러 국가를 시험대에 올려놓았다. 국가의 힘이 센 중국 정부는 골목마다 드론을 띄웠다. 국민을 감시하며 강제로 집에 가뒀다. 사회의 힘이 센 국가들에선 시민들이 ‘마스크 쓰지 않을 자유’를 내세우며 들고 일어났다. 미국 코로나19 사망자는 제2차 세계대전 전사자 수를 넘어섰다. 

    아쉬운 점도 있지만 저자들은 “한국은 비교적 성공을 거뒀다”고 말한다. 시민들은 자발적으로 마스크를 착용했다. 3T(테스트, 추적, 치료)를 위해 국가의 힘이 일시적으로 세지는 것을 허용했다. 팬데믹 시국의 좁은 회랑을 비교적 잘 통과한 것이다. 이제 팬데믹의 끝이 보인다. 비대해진 국가 권력과 막대한 경제 손실, 양극화를 남기고 갔다. 한국은 다시 좁은 회랑을 무사히 지날 수 있을까.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