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176

2019.02.15

정민아의 시네똑똑

좀비 호러와 농촌 코미디, 어설픈데 웃기네

이민재 감독의 ‘기묘한 가족’

  • 영화평론가·성결대 교수

    yedam98@hanmail.net

    입력2019-02-15 17:00:01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진 제공 · 씨네주 오스카10스튜디오]

    [사진 제공 · 씨네주 오스카10스튜디오]

    ‘좀비’라는 존재는 더는 낯설지 않다. KTX 좀비 블록버스터 ‘부산행’에서 시작해 좀비 사극 ‘창궐’의 실패를 교훈 삼은 넷플릭스의 사극 드라마 ‘킹덤’의 성공을 보면 이제는 좀비영화가 확실한 하나의 장르로 정착한 듯하다. 

    무서운 감정을 만들어내는 것을 사명으로 하는 호러영화 중에서도 좀비는 B급 하위 장르로 여겨졌다. 인간의 다양한 감정 가운데 공포를 경험하게 함으로써 쾌감을 선사하는 호러영화는 흔히 사회적·집단적 불안감을 투영한다. 이를테면 1930년대 ‘킹콩’의 검고 거대한 고릴라는 재즈음악 등으로 주류 문화계를 파고든 흑인 파워에 대한 백인의 공포감이었고, 1980년대 미국에서 유행한 ‘할로윈’이나 ‘13일의 금요일’ 같은 슬래셔영화의 연쇄살인범 괴물은 성적·도덕적으로 방종한 사회에 대한 경고의 의미를 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1990년대 후반에 등장한 ‘여고괴담’의 여학생 귀신은 무자비한 경쟁 교육의 집단적 공포가 괴물로 나타난 경우다. 도깨비나 귀신이 더 친숙한 우리에게 좀비는 서양에서 수입된 괴물로, 이 괴물이 익숙하게 자리 잡은 계기가 있다. 그것은 2016년 세 편의 좀비 호러영화가 등장하면서 일으킨 파장이다. ‘곡성’ 후반부 시체가 좀비가 돼 다시 살아나는 장면에서 호러영화 팬들이 환호했고, 본격 좀비 재난물을 표방한 ‘부산행’은 1000만 관객 영화에 이름을 올렸다. ‘부산행’의 프리퀄(전편)인 애니메이션 ‘서울역’도 마니아들로부터 박수를 받았다.

    좀비, 그 황당한 괴물의 다양한 변주

    좀비라는 존재는 아이티 토착종교인 부두교에서 출발했다. 주술에 의해 아무런 생각 없이 시키는 대로 움직이는 좀비는 알고 보면 매우 슬픈 존재다. 삶의 탈출구가 없이 핍박받던 흑인 노예들이 만든 신앙이자 존재이기 때문이다. 

    좀비영화의 출발을 대개 1968년에 만들어진 조지 로메로 감독의 ‘살아있는 시체들의 밤’으로 보는데, 이 영화를 계기로 좀비에 사회풍자성과 블랙코미디성이라는 살을 붙이게 됐다. 이 영화가 공개된 시기는 바야흐로 베트남전이 한창이던 때였고, 미국 젊은이들은 흑백 인종 문제, 반공 이데올로기, 냉전 문제 등 사회 문제를 골고루 반영한 이야기에 열광했다. 



    마니아층 중심으로 좁게 소비되던 좀비영화는 2000년대 이후 화려한 액션의 재난영화로 탈바꿈하면서 주류 장르로 올라섰다. 윌 스미스 주연의 ‘나는 전설이다’(2007), 브래드 피트 주연의 ‘월드워Z’(2013)는 블록버스터 재난 좀비영화로 전 세계적으로 흥행에 성공했고, ‘웜 바디스’(2013)는 좀비와 인간의 금지된 사랑을 그린 로맨틱코미디로 장르 변형을 성공적으로 보여줬다. 일본 영화 ‘아이 엠 어 히어로’(2015)는 이 세상에 살아갈 희망이 있는지를 묻는 어두운 아포칼립스물로, 신자유주의 도입 이후 신음하는 자본주의의 추한 몰골을 날카롭게 겨냥했다.

    아귀다툼이 돼버린 현실

    [사진 제공 · 씨네주 오스카10스튜디오]

    [사진 제공 · 씨네주 오스카10스튜디오]

    2월 13일 개봉한 ‘기묘한 가족’은 고령화로 신음하는 농촌으로 간 어느 좀비가 자영업자 가족의 생계 수단이 돼버린다는, 기묘하지만 현실감 넘치는 배경을 끌어온다. 지나가는 자동차를 유인해 사기로 돈을 버는, 망해버린 시골 주유소의 사장 준걸(정재영 분)은 우연히 좀비 쫑비(정가람 분)를 집 안에 들인다. 준걸의 아버지 만덕(박인환 분)이 좀비에게 물리자 갑자기 회춘해버리고, 이에 만삭인 준걸의 아내 남주(엄지원 분)와 제약회사 영업직에서 쫓겨나 집으로 돌아온 차남 민걸(김남길 분)은 번뜩이는 비즈니스 아이디어를 생각해낸다. 좀비가 시골 노인들을 물어 회춘시킨 돈으로 주유소는 화려하게 되살아난다. 막내 해걸(이수경 분)은 양배추와 케첩을 인간의 뇌와 피로 오인한 좀비를 유일하게 동정하고 인간적으로 대한다. 

    그러나 좀비와 행복한 동거는 여기까지. 곧 마을은 흡혈 아귀로 변한 좀비 떼로 아수라장이 되고, 네온사인으로 반짝반짝 빛나던 주유소는 끔찍한 재난 공간으로 탈바꿈한다. 

    생존경쟁에서 추락해 도저히 어디서 다시 시작해야 할지 알 수 없는 자영업자, 젊은이가 떠나버리고 활기를 잃어버린 고령화된 농촌, 살벌한 무한경쟁에서 탈락하고 백수가 돼버린 직장인. 이는 많은 현대인이 느끼는 무시무시한 공포다. ‘기묘한 가족’은 이러한 현실적 공포를 좀비라는 소재를 활용해 코미디로 적절히 변주한다. 케첩을 친 양배추를 물어뜯는 좀비는 친근해 다가가기 쉽다. 하지만 호러는 호러. 초반의 귀여운 설정은 후반부에서 잔인한 좀비 떼의 습격과 황폐화된 마을 풍경, 좀처럼 피할 수 없는 좀비로 인해 주인공도 곧 좀비로 변할지 모른다는 공포감으로 탈바꿈한다. 이로써 영화는 사회풍자극으로서 사명을 이뤄낸다. 

    영화 도입부에서 보듯이, 거짓말로 사기를 쳐 돈을 갈취하는 주인공의 부도덕함에 대한 단죄가 후반부 서사에서 되돌아오는 구성을 통해 영화는 현대인의 도덕적 가치에 관해서도 생각하게 한다. 신인 감독의 첫 연출작인 만큼 느슨한 리듬감과 살짝 시간차가 어긋나는 유머가 영화를 전체적으로 허술하게 보이게 한다는 점은 아쉽다. 그러나 이런 단점에도 불구하고 영화는 단순히 마니아를 위한 B급 영화가 아닌, 좀 더 사회적 의미를 갖춘 호러영화로서 특징을 지닌다. 주유소와 시골 마을은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에 대한 상징 공간으로 그려지고 있다. 

    누군가가 먼저 잡아먹혀야 내가 잠깐이라도 더 살 수 있는, 그래서 연대나 배려 따위보다 짓밟고 속이는 것이 능력으로 인정받는, 끝도 없이 비참한 각자도생의 세상이 돼가는 것이 바로 우리의 현실이다. ‘기묘한 가족’은 이러한 현실에 파열음을 내며 도덕적 선택과 연대의 의미에 대해 되묻는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