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적인 줄거리도, 고음을 자랑하는 듯한 화려한 넘버도, 다이내믹한 특수효과나 칼 같은 군무도 없다. 하지만 훈훈한 메시지와 잔잔한 감동이 있다. 국내 관객에게 첫선을 보인 뮤지컬 ‘원스’는 펄펄 끓는 물처럼 뜨겁지는 않지만 머그잔에 담긴 커피처럼 따뜻한 공연이었다.
제목이 익숙하게 느껴진다면 아마 2006년 인디 음악영화의 신기원을 연 존 카니 감독의 동명 영화를 접했을 확률이 높다. 맞다. 뮤지컬 ‘원스’는 음악이 지닌 힘으로 전 세계 관객의 마음을 사로잡은 영화를 무대로 옮겨왔다. 작품은 아일랜드 더블린을 배경으로 진공청소기 수리공 ‘가이’와 꽃 파는 체코 이민자 ‘걸’이 주변 사람들과 함께 음악을 만들고 성장해나가는 과정, 감정을 나누는 모습을 그린다. 기타를 치는 가이 역은 윤도현과 이창희, 피아노를 치는 걸 역은 전미도와 박지연이 맡았다.
등장인물은 평범하다. 사랑하는 이가 떠나고 삶의 의욕을 잃은 가이, 남편이 떠나고 딸과 엄마에게 더 신경 써야만 하는 걸, 이상과 달리 허드렛일만 하는 패스트푸드점 직원, 연애 한번 제대로 못 해본 악기가게 사장, 내면에 음악에 대한 열정이 꿈틀대는 은행직원 등 관객이 감정이입할 인물과 상황이 무대에 놓여 있다. 이들의 텅 빈 가슴을 채워나가는 건 희망이라는 이름의 음악이다.
천장에서 샹들리에가 뚝 떨어지고, 천둥번개와 함께 두 얼굴의 살인마가 갑자기 튀어나오는 식의 현란한 작품을 보고나서야 “뮤지컬 좀 봤다”고 만족하는 이라면 입맛에 맞지 않을 수도 있다. 이 작품은 영화가 주는 ‘인상’을 충실하게 재현했기 때문이다. 영화 속 장면 장면을 무대에 옮겨온 느낌을 주기에 호불호가 분명히 갈릴 것이다.
돌이켜보자. 영화 자체도 흐름은 단순했다. 평소 액션 영화를 즐기지만 영화 삽입곡 ‘폴링 슬롤리(Falling Slowly)’ 한 곡에 끌려 원작을 봤는데, 다 보고 두 가지 생각이 들었다. 차분하구나. 음악이 좋구나. 길거리에서 만난 두 남녀가 음악으로 교감을 나눈다는 이야기에서 갈등 구조를 만들려야 만들기가 쉽지 않은 게 사실 아닌가. 뮤지컬로 만들면 밋밋할 거라는 우려도 있었지만, 그럼에도 보고 나서 ‘폴링 슬롤리’를 반복 재생하게 만드는 게 작품의 힘이다. 뮤지컬 ‘원스’는 2012년 미국 토니상에서 최우수뮤지컬상과 연출상 등 8관왕을 차지했다.
작품을 신선하게 만든 건 전 출연진의 뮤지션화다. 오케스트라 없이 모든 배우가 악기와 소품을 두드려 박자를 맞추고, 화음을 빚어내 하모니를 이룬다. 걸 역의 전미도는 “악보도 볼 줄 몰랐지만 이 작품으로 피아노를 치게 됐다”고 고백하기도 했다. 이런 형식의 뮤지컬을 ‘액터 뮤지션 뮤지컬’이라 한다. 뮤지컬 ‘스위니 토드’ ‘컴퍼니’ ‘모비딕’ 같은 작품이 이런 구성으로 호평을 받았다.
공연이 시작하기 20분 전 공연장 안으로 들어섰다. 극이 시작되지도 않았는데 벌써부터 시끌벅적한 소리가 들려 고개를 드니 무대가 사람들로 북적인다. 배우들이 악기를 연주하고 발을 구르며 노래를 부르는 동안 관객은 그들을 에워싸고 무대에서 판매하는 음료를 마시며 미니 공연을 즐겼다. 뮤지컬 ‘원스’에서만 만날 수 있는 일종의 애피타이저다.
3월 29일까지, 서울 서초구 서초동 예술의전당 CJ토월극장.
제목이 익숙하게 느껴진다면 아마 2006년 인디 음악영화의 신기원을 연 존 카니 감독의 동명 영화를 접했을 확률이 높다. 맞다. 뮤지컬 ‘원스’는 음악이 지닌 힘으로 전 세계 관객의 마음을 사로잡은 영화를 무대로 옮겨왔다. 작품은 아일랜드 더블린을 배경으로 진공청소기 수리공 ‘가이’와 꽃 파는 체코 이민자 ‘걸’이 주변 사람들과 함께 음악을 만들고 성장해나가는 과정, 감정을 나누는 모습을 그린다. 기타를 치는 가이 역은 윤도현과 이창희, 피아노를 치는 걸 역은 전미도와 박지연이 맡았다.
등장인물은 평범하다. 사랑하는 이가 떠나고 삶의 의욕을 잃은 가이, 남편이 떠나고 딸과 엄마에게 더 신경 써야만 하는 걸, 이상과 달리 허드렛일만 하는 패스트푸드점 직원, 연애 한번 제대로 못 해본 악기가게 사장, 내면에 음악에 대한 열정이 꿈틀대는 은행직원 등 관객이 감정이입할 인물과 상황이 무대에 놓여 있다. 이들의 텅 빈 가슴을 채워나가는 건 희망이라는 이름의 음악이다.
천장에서 샹들리에가 뚝 떨어지고, 천둥번개와 함께 두 얼굴의 살인마가 갑자기 튀어나오는 식의 현란한 작품을 보고나서야 “뮤지컬 좀 봤다”고 만족하는 이라면 입맛에 맞지 않을 수도 있다. 이 작품은 영화가 주는 ‘인상’을 충실하게 재현했기 때문이다. 영화 속 장면 장면을 무대에 옮겨온 느낌을 주기에 호불호가 분명히 갈릴 것이다.
돌이켜보자. 영화 자체도 흐름은 단순했다. 평소 액션 영화를 즐기지만 영화 삽입곡 ‘폴링 슬롤리(Falling Slowly)’ 한 곡에 끌려 원작을 봤는데, 다 보고 두 가지 생각이 들었다. 차분하구나. 음악이 좋구나. 길거리에서 만난 두 남녀가 음악으로 교감을 나눈다는 이야기에서 갈등 구조를 만들려야 만들기가 쉽지 않은 게 사실 아닌가. 뮤지컬로 만들면 밋밋할 거라는 우려도 있었지만, 그럼에도 보고 나서 ‘폴링 슬롤리’를 반복 재생하게 만드는 게 작품의 힘이다. 뮤지컬 ‘원스’는 2012년 미국 토니상에서 최우수뮤지컬상과 연출상 등 8관왕을 차지했다.
작품을 신선하게 만든 건 전 출연진의 뮤지션화다. 오케스트라 없이 모든 배우가 악기와 소품을 두드려 박자를 맞추고, 화음을 빚어내 하모니를 이룬다. 걸 역의 전미도는 “악보도 볼 줄 몰랐지만 이 작품으로 피아노를 치게 됐다”고 고백하기도 했다. 이런 형식의 뮤지컬을 ‘액터 뮤지션 뮤지컬’이라 한다. 뮤지컬 ‘스위니 토드’ ‘컴퍼니’ ‘모비딕’ 같은 작품이 이런 구성으로 호평을 받았다.
공연이 시작하기 20분 전 공연장 안으로 들어섰다. 극이 시작되지도 않았는데 벌써부터 시끌벅적한 소리가 들려 고개를 드니 무대가 사람들로 북적인다. 배우들이 악기를 연주하고 발을 구르며 노래를 부르는 동안 관객은 그들을 에워싸고 무대에서 판매하는 음료를 마시며 미니 공연을 즐겼다. 뮤지컬 ‘원스’에서만 만날 수 있는 일종의 애피타이저다.
3월 29일까지, 서울 서초구 서초동 예술의전당 CJ토월극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