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실히 사법시험이 행정고시보다 어려운 모양입니다.”
1월20일 오후 서울 종로구 가회동 ‘아키반 건축도시연구원’에서 만난 김석철 명지대 건축대학장(62·사진)은 활짝 웃는 얼굴로 입을 열었다. 서울행정법원이 17일 환경단체 등이 낸 새만금 사업계획 취소 청구소송에 대해 ‘간척지의 용도와 개발 범위를 다시 정하고 환경평가를 거친 뒤 사업을 진행하라’는 조정 권고안을 낸 데 대한 코멘트였다. 바로 ‘농담’이라며 말을 돌렸지만, 법원의 이번 결정에 상당히 고무된 것만은 틀림없어 보였다.
김 교수는 그동안 새만금 간척지 농지개발 사업의 부당성을 일관되게 주장해온 학자. 특히 ‘공사 중단’을 요구하는 환경론자들과 달리 이 지역을 ‘한-중-일 황해 공동체’의 중심 도시로 새롭게 개발하자는 ‘새만금 바다도시’ 구상을 내놓아 관심을 모은 바 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새만금-33km 방조제 가운데 아직 공사하지 않은 구간을 그대로 둘 경우-은 리도섬 등 3개의 천연방조제로 둘러싸인 이탈리아의 베네치아처럼 외해(外海)와 내해(內海)가 조화를 이루는 천혜의 물류·교통 중심 도시가 될 가능성이 있다.
김 교수는 최근 이 구상을 더 발전시켜 새만금 방조제 외해의 고군산군도에 황해 공동체 도시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국제 항만을 짓고, 내해 연안에는 새만금과 호남평야, 금강까지 잇는 ‘어번 클러스터(urban cluster)’를 건설해, 새만금을 명실상부한 동북아의 중심 도시로 육성하자는 의견을 내고 있다.
1991년 새만금 간척 사업이 시작된 뒤 지금까지 ‘개발이냐, 환경 보전이냐’를 둘러싼 지루한 싸움이 계속되고 있는 현실에서 그의 제안은 논쟁의 틀을 완전히 바꿔버리는 신선한 것이다. 바다를 모두 막지 않는다는 점에서 새만금 갯벌의 자연을 보존할 수 있고, 동시에 지역 개발을 바라는 전북도민의 열망까지 충족시킬 수 있다는 데서도 매력적이다.
“한-중-일 아우르는 황해도시연합 기대”
하지만 그의 제안은 그동안 지나치게 이상적인 ‘아이디어’일 뿐이라는 비판을 받으며 정책 결정 과정에서 배제돼왔다. 김 교수는 이러한 비판에 대해 ‘부당하다’고 항변한다.
“‘뜻은 좋지만 실현 불가능하다’고 말하는 이들에게 새만금에 한번 가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바다 한가운데에 있는 방조제는 높이가 36m, 폭은 290m나 됩니다. 이 거대한 구조물이 이미 30km 넘게 건설돼 있어요. 방조제가 만들어낸 대지 면적은 미국의 맨해튼 전체를 능가할 정도지요. 게다가 여기에는 배상 문제도, 철거민 문제도, 소유 문제도 없습니다. 새로운 도시를 만들기에 이보다 좋은 조건은 없습니다.”
입지 조건도 ‘이보다 더 좋을 수 없다’는 게 김 교수의 주장. 그는 이제 세계는 ‘국가’를 넘어 ‘도시’의 시대로 나아가고 있다고 말한다. 그 중심에 ‘새만금’을 중심으로 한 ‘어번 클러스터’가 서게 될 것이라는 말이다.
“곧 중국 동부해안 도시군, 동북 3성, 한반도, 일본열도 서남해안 도시군을 아우르는 ‘황해도시연합’이 성장할 겁니다. 바다도시 새만금은 이 지역의 허브 항만이 될 수 있는 위치지요. 지금 기회를 놓치면 우리는 이 지역의 주도권을 중국에 빼앗기게 돼요. 모든 준비가 끝나 있는데 왜 망설입니까.”
김 교수는 중국 관계자들도 새만금 구상에 높은 관심을 보이며 건설비 투자 등을 약속하고 있다고 전했다.
새만금을 중심으로 국제 도시를 건설하자는 김 교수의 구상이 가볍게 들리지 않는 까닭은 그가 70년대부터 여의도, 관악산 서울대 캠퍼스, 경주 보문단지, 예술의 전당 등 수많은 ‘거대’ 프로젝트를 주도해온 인물이기 때문.
김 교수는 이번에도 자신감이 넘친다. 2월 중순 자신의 제안을 구체화한 ‘한반도 희망의 프로젝트’라는 책을 펴내는데, 그 안에는 ‘새만금 어번 클러스터 안’뿐 아니라, 금강을 5000t 규모의 배가 오갈 수 있을 만한 강으로 복원해 충청 지역을 새로운 물류 교통의 중심지로 만드는 ‘금강도시연합안’ 등 ‘새로운 한국’을 만들기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가 담겨 있다.
“요즘 시대에 ‘식량 안보’를 주장하며 새만금에 농토를 만들자고 주장하는 것은 비상식적이죠. 10년 사이 세상은 크게 달라졌습니다. 또 10년이 흐르면 ‘황해도시연합’ 구상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질 수도 있는 겁니다. 큰 눈으로 미래를 내다보며 정책을 결정해야 합니다.”
1월20일 오후 서울 종로구 가회동 ‘아키반 건축도시연구원’에서 만난 김석철 명지대 건축대학장(62·사진)은 활짝 웃는 얼굴로 입을 열었다. 서울행정법원이 17일 환경단체 등이 낸 새만금 사업계획 취소 청구소송에 대해 ‘간척지의 용도와 개발 범위를 다시 정하고 환경평가를 거친 뒤 사업을 진행하라’는 조정 권고안을 낸 데 대한 코멘트였다. 바로 ‘농담’이라며 말을 돌렸지만, 법원의 이번 결정에 상당히 고무된 것만은 틀림없어 보였다.
김 교수는 그동안 새만금 간척지 농지개발 사업의 부당성을 일관되게 주장해온 학자. 특히 ‘공사 중단’을 요구하는 환경론자들과 달리 이 지역을 ‘한-중-일 황해 공동체’의 중심 도시로 새롭게 개발하자는 ‘새만금 바다도시’ 구상을 내놓아 관심을 모은 바 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새만금-33km 방조제 가운데 아직 공사하지 않은 구간을 그대로 둘 경우-은 리도섬 등 3개의 천연방조제로 둘러싸인 이탈리아의 베네치아처럼 외해(外海)와 내해(內海)가 조화를 이루는 천혜의 물류·교통 중심 도시가 될 가능성이 있다.
김 교수는 최근 이 구상을 더 발전시켜 새만금 방조제 외해의 고군산군도에 황해 공동체 도시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국제 항만을 짓고, 내해 연안에는 새만금과 호남평야, 금강까지 잇는 ‘어번 클러스터(urban cluster)’를 건설해, 새만금을 명실상부한 동북아의 중심 도시로 육성하자는 의견을 내고 있다.
1991년 새만금 간척 사업이 시작된 뒤 지금까지 ‘개발이냐, 환경 보전이냐’를 둘러싼 지루한 싸움이 계속되고 있는 현실에서 그의 제안은 논쟁의 틀을 완전히 바꿔버리는 신선한 것이다. 바다를 모두 막지 않는다는 점에서 새만금 갯벌의 자연을 보존할 수 있고, 동시에 지역 개발을 바라는 전북도민의 열망까지 충족시킬 수 있다는 데서도 매력적이다.
“한-중-일 아우르는 황해도시연합 기대”
하지만 그의 제안은 그동안 지나치게 이상적인 ‘아이디어’일 뿐이라는 비판을 받으며 정책 결정 과정에서 배제돼왔다. 김 교수는 이러한 비판에 대해 ‘부당하다’고 항변한다.
“‘뜻은 좋지만 실현 불가능하다’고 말하는 이들에게 새만금에 한번 가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바다 한가운데에 있는 방조제는 높이가 36m, 폭은 290m나 됩니다. 이 거대한 구조물이 이미 30km 넘게 건설돼 있어요. 방조제가 만들어낸 대지 면적은 미국의 맨해튼 전체를 능가할 정도지요. 게다가 여기에는 배상 문제도, 철거민 문제도, 소유 문제도 없습니다. 새로운 도시를 만들기에 이보다 좋은 조건은 없습니다.”
입지 조건도 ‘이보다 더 좋을 수 없다’는 게 김 교수의 주장. 그는 이제 세계는 ‘국가’를 넘어 ‘도시’의 시대로 나아가고 있다고 말한다. 그 중심에 ‘새만금’을 중심으로 한 ‘어번 클러스터’가 서게 될 것이라는 말이다.
“곧 중국 동부해안 도시군, 동북 3성, 한반도, 일본열도 서남해안 도시군을 아우르는 ‘황해도시연합’이 성장할 겁니다. 바다도시 새만금은 이 지역의 허브 항만이 될 수 있는 위치지요. 지금 기회를 놓치면 우리는 이 지역의 주도권을 중국에 빼앗기게 돼요. 모든 준비가 끝나 있는데 왜 망설입니까.”
김 교수는 중국 관계자들도 새만금 구상에 높은 관심을 보이며 건설비 투자 등을 약속하고 있다고 전했다.
새만금을 중심으로 국제 도시를 건설하자는 김 교수의 구상이 가볍게 들리지 않는 까닭은 그가 70년대부터 여의도, 관악산 서울대 캠퍼스, 경주 보문단지, 예술의 전당 등 수많은 ‘거대’ 프로젝트를 주도해온 인물이기 때문.
김 교수는 이번에도 자신감이 넘친다. 2월 중순 자신의 제안을 구체화한 ‘한반도 희망의 프로젝트’라는 책을 펴내는데, 그 안에는 ‘새만금 어번 클러스터 안’뿐 아니라, 금강을 5000t 규모의 배가 오갈 수 있을 만한 강으로 복원해 충청 지역을 새로운 물류 교통의 중심지로 만드는 ‘금강도시연합안’ 등 ‘새로운 한국’을 만들기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가 담겨 있다.
“요즘 시대에 ‘식량 안보’를 주장하며 새만금에 농토를 만들자고 주장하는 것은 비상식적이죠. 10년 사이 세상은 크게 달라졌습니다. 또 10년이 흐르면 ‘황해도시연합’ 구상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질 수도 있는 겁니다. 큰 눈으로 미래를 내다보며 정책을 결정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