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130

..

2018 평창동계패럴림픽

그대여 울지 말아요 메달보다 소중한 걸 얻었으니

뜨거운 눈물 흘린 선수들에게 다시 한 번 응원의 박수를

  • | 정혜연 기자 grape06@donga.com

    입력2018-03-20 13:53:31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아이스하키팀 한민수 선수(오른쪽). [뉴시스]

    아이스하키팀 한민수 선수(오른쪽). [뉴시스]

    자국에서 열리는 국제대회에 출전하는 선수들의 심경은 당사자가 아니고서야 헤아릴 수 없다. 특히 장애를 극복하고 지난 4년간 오직 2018 평창동계패럴림픽만을 위해 달려온 국가대표 선수 39명은 더욱 그렇다. 그들은 하나같이 “평창을 위해 달려왔다”고 말하며 이번 대회에서 그동안 장애인 동계스포츠가 주목받지 못했던 설움을 씻어내려 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당초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 동메달 2개 등을 획득하고 종합 10위에 오르겠다는 목표가 점점 멀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이 흘린 땀과 눈물만큼은 가치 있었다.

    기대주 신의현의 값진 동메달

    신의현 선수. [KBS 화면 캡처]

    신의현 선수. [KBS 화면 캡처]

    하지절단 장애를 딛고 노르딕 스키에서 세계적으로 두각을 나타낸 신의현(38·창성건설) 선수는 패럴림픽 전부터 기대를 한 몸에 받았다. 배동현 평창동계패럴림픽 선수단장도 2월 진행한 인터뷰에서 “신의현 선수가 메달을 얼마나 목에 거느냐에 따라 우리나라 메달 순위가 달라질 것”이라고 말할 정도였다. 더군다나 바이애슬론 스프린트, 중거리, 장거리와 크로스컨트리 스프린트, 중거리, 장거리 등 6개 종목에 출전해 개인 출전자 가운데 메달을 가장 많이 딸 수 있는 선수로 거론됐다. 

    그럴 만한 이유도 있었다. 패럴림픽 직전 열린 국제대회에서 성적이 좋았기 때문. 신 선수는 2월 3일 핀란드 부오카티에서 열린 세계장애인노르딕스키 월드컵 바이애슬론에서 금메달, 1월 20일 독일 오베리드에서 개최된 세계장애인노르딕스키 월드컵 바이애슬론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원래 신 선수의 주종목은 크로스컨트리였는데 최근 들어 사격 성적이 좋았다. 지난해 12월 ‘주간동아’와 인터뷰에서 신 선수는 “원래 바이애슬론은 경험 삼아 출전해왔는데 요즘 들어 사격감이 좋아져 크로스컨트리보다 성적이 잘 나오고 있다. 패럴림픽에서도 잘하면 좋은 성적을 거둘 것 같다”며 스스로도 기대를 걸었다. 

    하지만 3월 10일 강원 평창군 알펜시아 바이애슬론센터에서 열린 바이애슬론 남자 스프린트 좌식 부문에 출전한 그는 24분19초9로 결승선을 통과해 5위에 올랐다. 첫 경기를 마치고 신 선수는 공동취재구역에서 “첫 경기에 좋은 성적을 내서 잘 풀어가려고 했는데 세상 일이 뜻대로 안 되는 것 같다”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이후 가족들과 만난 신 선수는 눈물을 쏟았다. 이를 지켜보던 신의현의 어머니 이회갑 씨는 “메달을 따든 못 따든 자랑스러운 아들”이라며 신 선수의 얼굴을 쓰다듬어 주변을 뭉클하게 했다. 이후 신 선수는 3월 11일 크로스컨트리 장거리(15km)에서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아이스하키팀 한민수의 뜨거운 눈물

    신 선수의 동메달 획득 소식이 전해지던 날, 강릉 하키센터에서도 승전보가 전해졌다. 장애인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이 체코와 경기에서 연장전 끝에 3-2로 이긴 것. 후반전에서도 승부가 가려지지 않아 한쪽이 골을 넣으면 경기가 끝나는 서든데스 방식으로 치러진 연장전에서 ‘빙판 위 메시’로 불리는 정승환(32) 선수가 결승골을 넣어 승리를 결정지었다. 경기가 끝나고 선수들은 하키채를 들고 빙상장을 돌며 경기 내내 응원해준 국민에게 인사했다. 이날 맨 앞에 선 주장 한민수(48) 선수는 감격의 눈물을 터뜨려 화제가 됐다. 이후 그는 ‘동아일보’와 인터뷰에서 “내 별명이 ‘울보’다. 경기가 끝난 다음 가족들과 얼싸안고 울었다”고 말했다. 



    별명처럼 한 선수는 이번 패럴림픽에서 경기가 끝날 때마다 눈물을 보이고 있다. 그의 눈물에 여러 감정이 섞여 있겠지만 무엇보다 아쉬움이 크게 차지한다. 이번 패럴림픽을 끝으로 은퇴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올해로 18년째 장애인 아이스하키 선수로 활동해왔는데 현재 팀 내 경력이 가장 많은 선수이자 맏형으로 팀을 이끌고 있다. 장애를 입은 건 순전히 운이 나빴던 탓이다. 두 살 때 침을 잘못 맞은 뒤 관절염을 앓았는데 당시 수술할 형편이 되지 않아 병을 키웠다. 이후 목발을 짚고 다니다 서른 살 때 무릎에 골수염이 생겨 왼쪽 다리를 절단해야 했다. 한 선수는 좌절하지 않고 휠체어농구와 역도 등을 하다 아이스하키에 입문했다. 이번 패럴림픽을 끝으로 선수생활을 마감하고 지도자로 나설 예정이다. 

    우리나라 아이스하키팀은 2014 소치동계패럴림픽 때 7위에 그쳤다. 하지만 이번에는 다르다. 이번 대회 B조 예선에서 일본(10위)을 4-1, 체코(9위)를 3-2로 꺾었다. 승승장구하는 듯했지만 이후 세계 2위인 미국과 3차전에서 0-8로 완패했다. 하지만 한국은 B조 2위로 준결승에 진출했다. 3월 15일 A조 1위로 진출한 세계 1위 캐나다와 경기에서 0-7로 졌지만 4강에 오른 것만으로도 뿌듯한 성과를 낸 셈이다.

    ‘완주의 아이콘’ 된 이도연

    이도연 선수. [KBS 화면 캡처]

    이도연 선수. [KBS 화면 캡처]

    이번 패럴림픽에서 눈여겨봐야 할 선수를 꼽으라면 이도연(46) 선수를 빼놓을 수 없다. 그는 1991년 건물에서 떨어지는 사고로 하지장애를 입었다. 이후 장애인 탁구선수 생활을 하다 마흔이 넘은 2012년 육상선수로 전향했다. 그해 전국장애인체육대회에서 창과 원반, 포환 던지기 한국 신기록을 세웠다. 이듬해 그는 웬만한 젊은이도 힘들어하는 핸드사이클선수로 변신했다. 2016 리우데자네이루패럴림픽 핸드사이클 종목에 출전해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만하면 영예롭게 은퇴할 법도 한데 이 선수는 패럴림픽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핸드사이클처럼 상체 근력을 요구하는 노르딕 스키 선수로 변신한 것. 그간 운동을 해온 덕에 국가대표 선수로 발탁됐고 자국에서 열리는 패럴림픽에 당당히 출전할 수 있었다. 

    하지만 부담감 때문이었을까. 성적은 그리 좋지 않았다. 3월 10일 열린 바이애슬론 스프린트 6km 여자 좌식 부문에서 12위, 11일 크로스컨트리 장거리 12km 여자 좌식 부문에서 13위, 13일 바이애슬론 중거리 10km 여자 좌식 부문에서 11위에 올랐다. 11일 경기에서 이도연 선수는 결승선을 통과한 뒤 눈물을 쏟았다. 한 인터뷰에서 그는 “주위에서 응원을 많이 해주는데 실력이 꼴등이라는 게 실감 나 스스로에게 화가 났다”며 울음의 의미를 밝혔다. 

    성적은 만족스럽지 않을지 몰라도 그의 불굴의 도전정신은 많은 이에게 귀감이 되고 있다. 5차례 경기에서 한 번도 기권하지 않고 완주하면서 ‘완주의 아이콘’으로 떠오른 것. 그는 “꼴찌하더라도 모든 경기를 완주하겠다고 스스로 결심했다”고 말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