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이 당선이 확실해진 6월 4일 새벽 서울 여의도 민주당사에 도착해 지지자들에게 손을 흔들고 있다. 뉴스1

영남서 득표율 오른 李, 수도권서 궤멸한 金
이재명 대통령은 영남에서 20대 대선 때보다 득표율이 1.62~2.02%p 올랐다(그래프2 참조). 20대 대선은 윤 전 대통령과 이재명 당시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양자 대결이었던 데 반해, 이번엔 ‘이재명-김문수-이준석’ 3자 구도 상황이었음에도 이 대통령 득표율이 상승한 것이다. 이 대통령의 21대 대선 득표율은 20대 대선보다 경남에서 2.02%p, 부산에서 1.99%p, 울산에서 1.75%p, 경북에서 1.72%p, 대구에서 1.62%p 높았다.

서울 25개 자치구에서는 강남 3구와 용산을 제외한 전역에서 이 대통령이 앞섰다. 그중 10개 구(종로·중구·성동·광진·동대문·마포·양천·영등포·동작·강동구)는 20대 대선에서 윤 전 대통령이 승리한 지역이지만, 이번에는 이 대통령이 모두 우세했다.
경기 표심은 서울보다 김 후보에게 더 냉정했다. 경기에서는 20대 대선 때도 이재명 당시 후보가 1위(50.94%, 442만8151표)를 했지만 2위 윤 전 대통령(45.62%, 396만5341표)과 득표율 차이가 5.32%p로 한 자릿수에 불과했다. 이번 대선에서 경기 지역 득표율은 이 대통령 52.20%(482만1148표), 김 후보 37.95%(350만4620표)로 14.25%p 차를 기록했다. 이 대통령은 경기 45개 구·시·군 중 성남 분당구·과천·여주·연천군·양평군·가평군 등 전통적으로 보수세가 강한 6곳에서만 김 후보에게 득표율이 밀렸다.
인천 표심도 경기와 마찬가지다. 20대 대선 때 인천에서 1위를 했던 이재명 당시 후보의 득표율은 48.91%(91만3320표)로 2위인 윤 전 대통령(47.05%, 87만8560표)과 1.86%p 차이에 불과했다. 하지만 21대 대선에서 인천은 13.23%p라는 큰 차이로 이재명 대통령에게 승리를 안겼다. 이 대통령 득표율은 51.67%(104만4295표), 김 후보는 38.44%(77만6952표)를 기록했다. 인천 10개 군·구 가운데 김 후보가 앞선 곳은 강화군과 옹진군 2곳뿐이다.
이준석 득표율 한 자릿수 그쳐

임경진 기자
zzin@donga.com
안녕하세요. 임경진 기자입니다. 부지런히 듣고 쓰겠습니다.
3년 5개월 만에 코스피 2900대…‘3000 돌파’ 기대감 솔솔
대선 이후 코스피 강세, 외국인·기관 매수 행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