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를 오픈형으로 꾸민 대구 중구 동성로 ‘문화장’. ‘행화탕’의 인기 메뉴인 ‘반신욕라떼(오른쪽)’와 ‘행화에이드’. [사진 제공 · 문화장, 지호영 기자]
영영 사라질 듯한 대중목욕탕이 가끔 그립고 아쉽기도 했다. 그러다 얼마 전 목욕탕 공간이 새롭게 변신하고 있다는 소식을 들었다. 리모델링을 거쳐 카페, 갤러리, 쇼룸으로 다양하게 활용되며 ‘핫 플레이스’로 떠오르고 있다는 것이었다. 올해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친 ‘뉴트로’(New-tro·New+Retro·복고를 새롭게 즐기는 경향) 트렌드가 인기에 견인차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공연기획자이자 목욕탕을 개조한 복합문화예술공간 ‘행화탕’의 서상혁 대표는 “목욕탕에 대한 추억을 간직한 중장년층에게는 과거 따뜻한 시간을 되살려주고, 젊은 세대에게는 색다른 ‘갬성’을 주는 공간으로 거듭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예술적 감성 가득한 복합공간
서울 마포구 ‘행화탕’에 장식된 목욕탕 관련 소품(위)과 빈티지한 매력이 돋보이는 외관. [지호영 기자]
전시와 공연 등이 열리는 ‘행화탕’의 공간(왼쪽). 평상 콘셉트의 아날로그 감성으로 꾸민 ‘행화탕’. [사진 제공 · 행화탕, 지호영 기자]
예술적 감성이 풍기는 ‘문화장’ 외관. [사진 제공 · 문화장]
목욕탕 구조물을 최대한 살린 ‘문화장’의 아틀리에(왼쪽). 아티스틱한 분위기의 ‘문화장’. [사진 제공 · 문화장]
목욕탕 공간을 리모델링한 제주 제주시 ‘산지천 갤러리’의 코워킹스페이스(왼쪽). ‘산지천 갤러리’의 목욕탕 굴뚝. [사진 제공 · 산지천 갤러리]
‘중앙탕’을 개조한 서울 종로구 계동 ‘젠틀몬스터’ 쇼룸. [사진 제공 · 젠틀몬스터]
목욕탕 공간과 전시된 안경의 조화가 멋스러운 ‘젠틀몬스터’ 쇼룸. [사진 제공 · 젠틀몬스터]
과거 목욕탕의 특색을 최대한 살린 인테리어
목욕탕을 리모델링한 공간들은 인테리어를 완전히 새롭게 바꾸지 않는다. 오히려 목욕탕의 모습을 최대한 보존하려 노력한다. 목욕탕은 사람들의 삶의 흔적과 추억이 묻어 있는 특별한 공간으로, 과거의 따스한 감성을 불러오기 때문이다. 김선아 한국건축가협회 도시재생위원장 겸 ㈜SAK건축사사무소 대표는 “도시재생 과정에서 동네 유휴지를 문화공간으로 만드는 일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는데, 목욕탕은 다른 익명적 공간과는 조금 성격이 다르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목욕탕이 커뮤니티 문화공간으로 거듭나는 것에 큰 의미를 뒀다. “목욕탕은 동네 사람들에게 기억의 장소이기에 그 공간의 변신은 기억의 연속을 불러올 수 있기 때문”이라고.박찬영 부관장은 “긴 세월을 간직한 청수장의 오리지널리티를 재해석해보고 싶었다”고 강조한다. 이를 위해 2층은 여관이 가진 큰 기둥과 욕조 타일을 살려 오픈형으로 꾸몄고, 3층은 10개의 작은 방과 10개의 욕조방을 그대로 살렸다. 10겹 넘게 겹쳐 붙어 있던 45년 된 벽지는 20일간 인원 50명이 투입돼 한 땀 한 땀 직접 손으로 뜯으며 살려냈다. 덕분에 “문화장의 벽은 마치 7겹 벽지를 손으로 뜯으면서 형성된 지도처럼 보인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행화탕은 이름부터 과거 목욕탕 이름을 고수했다. 하지만 옥색 위주의 실내가 다소 칙칙하고 음침한 느낌을 줬다. ‘때를 벗기고 기존 속살을 드러내자’는 목표 아래 벽의 옥색을 벗기고 원래 벽돌을 그대로 드러냈다. 덕분에 한결 환하고 밝으며 따뜻한 분위기가 조성됐다.
도시재생과 어우러져 활성화 기대
노후 건물에 새 생명을 불어넣는 ‘목욕탕 재생’은 환경 친화라는 측면에서도 환영받고 있다. 전남 순천시 도시재생지원센터장을 역임했던 이동희 순천대 건축학부 교수는 “건축은 인간과 공간의 관계 맺음이 흘러가는 시간 속에서 변용되는 것”이라며 “그 흐름에 따라 낡은 목욕탕이 문화공간 등으로 쓰임이 바뀌면서 건축물의 생명이 연장될 수 있다”고 말했다.현대 건축 재료의 3요소는 유리, 철, 시멘트다. 이를 중심으로 지은 건축물은 흙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지구 환경을 위협하는 쓰레기가 되기 쉽다. 요즘 세계적으로 ‘지속가능성’에 대한 사회적 고민이 확산되는 추세다. 건축뿐 아니라 패션과 뷰티 등 라이프스타일 전반에 걸쳐 환경 친화적인 제품이 많아지고 있다. 이런 분위기에 힘입어 도시에 남아 있는 오래된 건물을 부수지 않고 재생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이 교수 역시 “오래된 목욕탕처럼 구조적으로 문제없는 나이 든 건축물을 재생하는 ‘리노베이션’ 트렌드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강현숙 기자
life77@donga.com
안녕하세요. 주간동아 강현숙 기자입니다. 재계, 산업, 생활경제, 부동산, 생활문화 트렌드를 두루 취재하고 있습니다.
내년 핵심 소비 트렌드는 ‘옴니보어’… 고정관념 깨고 자신만의 스타일 추구
2024 대한민국 고객만족브랜드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