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986

2015.05.04

나 혼자 중얼중얼 이상해?

혼잣말 스트레스로 인터넷 고민 상담 수천 건…자기 암시 효과, 毒보다 藥일 수도

  • 구희언 기자 hawkeye@donga.com

    입력2015-05-04 14:47: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비 맞은 중놈 중얼거리듯’이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우리 사회에서 혼잣말을 하는 사람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이지 않다. 해외 인터넷에서도 ‘talk to myself’나 ‘inner speech’로 검색하면 혼잣말 때문에 고민인 사람들의 사례가 쏟아지고 ‘Nomal or Not?’ ‘No, you’re not crazy!’ 같은 부제가 붙은 기사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그런데 과연 혼잣말은 부정적이기만 할까.

    미국 일리노이대 어배너섐페인 캠퍼스 연구팀은 ‘혼잣말의 행동 규제(The inner speech of behavioral regulation: Intentions and task performance strengthen when you talk to yourself as a You)’라는 연구를 통해 2인칭 혼잣말이 자제력과 업무 수행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흥미로운 연구 결과를 내놔 화제를 모았다. 이 연구 결과는 지난해 ‘유럽사회심리학 저널(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에 실렸다.

    효과적인 혼잣말, 2인칭으로 단호하게

    연구팀은 먼저 대학생 95명에게 자신이 선택 기로에 선 단편소설 속 등장인물이라 상상하고 이 인물이 올바른 선택을 하도록 대사를 만들라고 했다. 실험 참가 학생의 절반은 ‘나’라는 1인칭으로, 나머지는 ‘너’라는 2인칭으로 대사를 만들었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대학생 143명에게 한 단어가 주어졌을 때 그 단어의 알파벳 순서를 바꿔 또 다른 의미의 단어를 만드는 애너그램 테스트를 실시했다. 여기서는 1인칭으로 자신을 격려하는 그룹, 2인칭으로 자신을 격려하는 그룹, 아무런 격려도 하지 않는 그룹으로 나눠 실험을 진행했다. 첫 번째 실험에서 자신이 맡은 등장인물을 ‘너’라 호칭하고 격려한 그룹이 ‘나’라고 칭한 그룹보다 애너그램 테스트에서 더 많은 단어를 완성했다. 두 번째 실험에서도 자신을 2인칭으로 칭하며 조언한 학생이 가장 높은 애너그램 완성도를 보였다. 연구팀은 ‘너’ 혼잣말은 타인으로부터 격려와 지지를 받는 느낌이기 때문에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했다.

    혼잣말을 할 때는 단호하고 명확한 표현을 쓰는 게 훨씬 도움이 된다. 식탐이 생기거나 운동하다 기운이 빠질 때도 혼잣말을 활용하면 효과적이다. “먹으면 안 될까”보다 “먹지 마” “더 버틸 수 있을까”보다 “조금만 버텨보자” 같은 말을 자신에게 하면 실질적으로 자제력 또는 운동 능력이 향상된다는 게 연구진이 도출한 결과다.



    평소 주변으로부터 감정적인 동요가 적고 침착하다는 평가를 받는 직장인 김은미(30) 씨. 그는 일상생활에서 쓰는 혼잣말로 자신을 다스린다. 그가 혼잣말을 하게 된 건 지방에서 올라와 서울에서 직장생활을 하면서부터였다. 김씨는 “자다가도 이불을 발로 찰 것같이 안 좋은 기억이 떠올라 잊히지 않을 때가 있는데, 그럴 때면 스스로에게 ‘이제 그만 생각하자’ ‘이제 그만 털어버리자’ 같은 말을 입 밖으로 뱉는다. 그러면 신기하게도 잡념이 사라진다. 화가 났을 때도 ‘이런 일에 감정 소모하지 말자’ ‘이제 그만하자’ 같은 말을 하면 절제가 되는 기분”이라고 말했다.

    이런 연구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는 혼잣말의 힘에 대해 몰랐다는 김씨. 그는 무의식중에 혼잣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있었던 셈이다.

    그러나 여전히 혼잣말을 하는 버릇 때문에 고민하는 사람이 많다. 직장인 전모(32) 씨가 혼잣말하는 버릇이 있다는 사실을 안 건 자취생활 4년 차인 지난해다. 오랜만에 집에 놀러온 형이 TV를 보며 패널들 이야기에 맞장구를 치는 모습을 보고 “너 지금 누구한테 말한 거야”라고 물었기 때문. 전씨는 “그동안 혼잣말을 하는 줄 몰랐다. 처음에는 형이 (내가) 블루투스 기기로 통화하는 줄 알았다고 하더라. 자취생활을 오래 하다 보니 밥을 먹으면서도 무의식중에 말을 한다. 밖에서 그랬으면 두고두고 한 소리 들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암기할 때 중얼중얼은 청각 자극 효과

    전업주부 최모(31) 씨는 둘째를 낳으면서 2009년 직장을 그만뒀다. 두 아이를 어린이집에 보낸 후 혼자 집에 있는 시간이 늘면서 혼잣말도 늘었다. 최씨는 “장을 보러 가서도 ‘이걸 살까’ ‘아니야. 비싸잖아’ ‘이게 더 좋네’ 등의 혼잣말을 한다. 자주 가는 인터넷 주부 커뮤니티에서도 나처럼 고민하는 사람이 많다”고 말했다.

    일반인에게 혼잣말을 하는 버릇은 신경정신과에 가봐야 하나 고민할 정도로 심각하게 다가온다. 인터넷 포털사이트 네이버 지식인에서 혼잣말에 대해 검색하면 관련 글이 4만여 건 나오는데 혼잣말 습관, 혼잣말 문제, 혼잣말 스트레스 등으로 검색하면 2000~7000여 건에 이르는 고민이 쏟아진다. 장기간 혼잣말을 하다 ‘내가 정상이 아닌 것 같다’는 막연한 걱정에 상담글을 올리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정신병 환자처럼 자꾸 혼잣말하게 되네요. 같은 반 애들이 왜 웃느냐고 물어요. 이런 거, 정신병인가요?’ ‘언제부턴가 남이 자기에게 해줬으면 하는 질문을 내가 나에게 하고, 그에 대한 질문도 제가 합니다. 고쳐야 할까요?’ 같은 고민도 많다.

    손석한 연세신경정신과 원장은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기에 혼자 있는 기간이 오래되면 누구나 혼잣말을 하게 된다”며 비정상이라고 느끼거나 주눅 들지 말라고 조언했다. 조현병 증상 가운데 환청이 들리거나 망상에 빠진 경우라면 혼잣말을 중얼거리거나, 틱 장애 초기 증상으로 욕이나 의미 없는 말을 내뱉는 식의 혼잣말을 하는 경우가 있지만 대다수는 정상이라는 얘기다. 손 원장은 “우리가 암기할 때 중얼중얼하는 것도 일종의 혼잣말이다. 스스로에게 청각 자극을 줌으로써 암기력 향상 효과를 얻는 것”이라며 “실제로 혼잣말을 하는 게 도움이 되는 경우도 많다”고 말했다.

    “화가 나는데 주체할 수 없을 때 자기 자신에게 ‘그만, 화내지 마!’라고 명령하듯 말하거나 일하기 싫을 때 ‘놀고 싶지만 참자’ ‘내일 놀자’같이 말하는 건 자제력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됩니다. 포인트는 내게 다른 사람이 지시한 듯한 착각이 들게 말하는 겁니다. 아침에 일어나면 거울을 보면서 ‘최선을 다하자’ 같은 구호나 ‘오늘 하루 감사했다’는 말을 하는 건 자기 암시 차원에서도 나쁘지 않습니다. 잘만 활용하면 혼잣말은 독보다는 약이죠.”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