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땅에 앉아 차를 끓여 마시는 티베트 가족.
흔히 고지대라고 하면 해발 3000m쯤을 기준으로 그 이상의 높이를 가리킨다. 이런 고지대는 평지보다 산소가 희박하다. 해발 5000m는 인간 한계를 시험하는 높이다. 세계의 대표 고지대인 네팔과 그 북쪽 땅 티베트가 이에 해당한다. 그리고 이런 곳에서 생활하는 고산족에게는 차가 생명수나 다름없다. 차 없이는 살아갈 수 없는 곳이다.
네팔 셰르파족은 ‘찌아’라는 이름의 차를 주식과 함께 애용한다. 티베트 사람은 이를 ‘수유차’라 부르면서 끼니때마다 마신다. 중국에서 수입한 단차에 야크에서 짜낸 우유나 버터를 넣어 차를 만들고 주식인 보릿가루와 함께 먹는 게 이들의 주식이자 간식이다.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시간만 나면 마시는데, 건조한 기후에 빼앗긴 수분을 보충해주기 때문에 산소가 적은 곳에서도 생활하는 데 불편함이 없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네팔과 티베트 같은 고지대에서는 일터에서 쉬는 시간에 차를 마시는 풍경을 쉽게 접할 수 있다. 1993년 봄, 티베트 수도 라싸를 방문했을 때 필자는 한 가족이 시장에 나와 물건을 사면서 맨땅에 앉아 차를 마시는 정경을 카메라에 담았다(사진). 그때 들은 바로는 차를 많이 마시는 사람은 하루에 100cc짜리 찻잔으로 30~50잔을 마신다고 한다. 몸을 위해서 마시기도 하지만, 차를 좋아하는 마니아는 하루에 300잔도 마신다고 했다. 환경이 좋은 우리나라 사람으로서는 상상할 수 없는 양이다. 이쯤 되면 그들 몸이 모두 찻물로 구성돼 있지 않을까 싶을 정도다. 고지대에서는 평지보다 비등점이 낮아 차를 팔팔 끓여도 우리 입맛에는 미지근하게 느껴진다. 뜨겁다 해도 40~50℃다.
평지에서 살던 사람은 해발 3000m 고지대에서 산소 부족으로 걸음을 옮기기조차 어렵다. 그래서인지 고지대에 사는 사람은 천천히 걷는 것이 생활화돼 있다. 어지럼증과 피로감을 피하기 위해서다. 그리고 고지대에서는 차를 자주 마셔야 체내에 축적되는 피로물질을 빨리 줄일 수 있다. 그런데 특이한 것은 차를 많이 마시면 소변을 자주 보게 마련인데, 이곳에서는 평지에서보다 소변이 적게 나온다. 그래야 고산병에서 해방된다고 한다. 차의 이런 구실 때문에 세계 산악인들이 공통적으로 차를 약으로 마신다.
우리나라는 산이 높다 해도 2000m 미만이다. 히말라야에 비할 바는 못 되지만 차 효능을 경험한 등산족의 배낭 속엔 어김없이 차를 담은 보온병이 들어 있다. 산행 필수품이 된 것이다. 정상에 올라 마시는 그 상쾌하고 오묘한 한잔의 차맛은 경험하지 않은 이들에겐 설명하기 어렵다. 차를 즐기는 이들은 이런 산뜻한 기분을 느끼기 위해 차통을 들고 일부러 산행을 하기도 한다.
여름에는 녹차, 겨울에는 발효차를 준비하는 것이 좋다. 녹차는 냉수에도 잘 우러나, 산속 옹달샘이나 석간수에 차를 타서 10분쯤 지나 파르스름한 차색을 띨 때 마시면 된다. 여름에는 냉차가 갈증을 빨리 해소해준다. 겨울에는 역시 따뜻한 차가 좋다. 보온병에 차를 우려 준비해도 좋고, 뜨거운 물과 차를 따로 준비했다가 즉석에서 우려 마셔도 좋다. 여기에 죽염을 한 티스푼 넣어 마시면 땀으로 빠져나온 염분도 보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