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편 보수성향의 누리꾼들은 테러방지법의 근본 취지에 더욱 무게를 싣는 모양새다. 한 누리꾼은 “국가 안보보다 중요한 게 무엇인가. 일어나지도 않을 일(메신저 검열)을 두고 반대하는 건 어리석은 짓이다”라고 못 박았고, 또 다른 누리꾼도 “뭔가 의심쩍은 사람들이 반대하는 것 아니겠느냐”며 테러방지법에 극구 찬성하는 모습을 보였다.
텔레그램 효용성에 관한 누리꾼들의 갑론을박도 눈에 띈다. 사실 사이버 망명이 거론된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14년 검찰에서 사이버 명예훼손 전담 수사팀을 발족해 사이버상 검열을 실시한다는 소식이 전해졌을 때도 국내 모바일 메신저 이용자들이 검열을 피해 텔레그램 같은 외국 서비스로 대거 갈아탄 적이 있다. 그때 처음 ‘사이버 망명’이란 단어가 탄생했다. 텔레그램은 암호화된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고 삭제 기능도 제공한다. 제삼자가 메시지를 몰래 엿보거나 각국 정부가 검열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는 점에서 누리꾼들의 마음을 샀다. 하지만 이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내놓는 이들도 있다. 한 누리꾼은 트위터에 “텔레그램 같은 폐쇄형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가 테러리스트들의 연락책이 되고 있다는 것은 상당히 위험한 일이다. 비판 의식 없이 무조건 편승하는 건 옳지 않다”는 멘션을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