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확 젊어졌다. 불과 보름 사이의 변화다. 지난해 12월19일 새 대표가 된 김중권 대표의 “광속정치로 변해야 한다”는 말처럼 민주당의 변화는 그 속도가 너무 빨라 당내 인사들도 어리둥절할 정도다.
초-재선 의원들의 대거 등용, 권노갑 전 의원을 중심으로 한 이른바 구주류의 ‘몰락’으로 이어진 당직 개편은 상징적인 사건이다. 민주당과 여권에 새로운 주체세력이 등장했음을 말해준다.
“선수와 계파를 파괴하고 능력과 전문성을 중시한 인사였다”는 김성호 민주당 대표비서실장의 지적처럼 지난해 12월21일과 28일 단행된 민주당 당직개편의 압축어는 ‘파괴’였다. 가장 놀라운 것은 선수(選數) 파괴. 당내에는 “선수와 경륜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조순형 의원의 비판에 공감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일대 쇄신을 해야 하는 마당에 선수가 무슨 필요가 있느냐”는 주장이 더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전문성 갖춘 실무형 기용
지난해 12월21일 재선 의원인 박상규 김영환 추미애 의원이 각기 사무총장, 대변인, 지방자치위원장에, 초선인 남궁석 김성호 의원이 정책위의장, 대표비서실장으로 기용됐을 때 대부분의 당 관계자들은 입을 다물지 못했다. 거의 혁명적인 파격이었던 것.
이런 기조는 28일 중-하위 당직개편에도 그대로 이어졌다. 인사와 예산, 정세분석을 담당하는 기조위원장에는 재선인 정세균 의원이, 정책을 담당하는 제1, 2, 3 정책조정위원장은 모두 초선으로 바뀌었다. 김덕배 조직위원장, 정범구 홍보위원장, 이재정 연수원장, 조재환 직능위원장도 모두 초선이다.
제1정책조정위원장을 맡은 이낙연 의원은 “선수 파괴라는 말을 실감했다. 새 지도부가 상당히 의욕적으로 일하려는 것 같다”고 평가했다. 정동영 최고위원은 “전문성을 갖춘 초-재선들이 등용돼 실무적으로도 일을 잘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초-재선 의원들의 대거 당직 기용은 구여권 출신이라는 김중권 대표에 대한 비판을 상당부분 희석하는 효과를 거뒀다. 당내 신주류의 핵심 축을 형성하고 있는 장성민 의원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빨리 당을 안정화할 것”이라고 단언한다.
김대표는 김성호 정범구 정장선(수석부대변인) 추미애 의원 등 ‘주장이 뚜렷한’ 초-재선들을 포용함으로써 초-재선 의원들의 집단 반발 가능성을 무력화했다. 게다가 새로운 인물들의 대거 등용에 따른 당 안팎의 기대감도 높였다. 김대표가 취임 9일 만인 지난해 12월28일 마포소방서와 삼동소년촌 등 민생 현장을 방문한 것은 이런 자신감의 표현으로 읽힌다.
초-재선 의원들의 기용은 당 쇄신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불가피한 측면도 있다. 민주당 의원 가운데 초선은 60명, 재선은 32명, 3선 이상은 27명이다. 76%가 초-재선인 셈. 장성민 의원은 “당내 초-재선 의원이 80%에 육박하는데 이들이 당을 책임지고 주도하는 것이 당연하지 않느냐”고 말한다.
3선 이상 의원 가운데 현재 당직을 갖고 있지 않거나 당직을 맡은 적이 없는 사람은 장영달 이윤수 의원 두 명에 불과하다. 김대표 체제가 들어선 뒤 “민주당을 지켜온 정통 민주세력에는 기가 막힐 노릇”(장영달 의원)이라거나 “탈당을 생각하고 있다”(이윤수 의원)고 반발한 두 의원의 심정을 이런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당직개편을 통해 민주당이 ‘젊은 정당’으로 거듭났다는 점과 함께 주목되는 것은 신주체세력의 형성이다. 정동채(전 기조위원장) 박양수(전 조직위원장) 김희선(전 연수원장) 안희옥(전 여성위원장) 등 이른바 ‘구주류’로 분류되던 사람들은 모두 당직에서 물러났다. 대신 소장개혁파와 시민사회단체 출신 인사들이 대거 등용됐다. 이들은 그동안 한화갑 정동영 최고위원 등과 정서적인 공감대를 형성해 왔다. 조재환 직능위원장이 당직을 맡고 있는 유일한 ‘구주류’ 사람.
정세균 기조위원장과 김덕배 조직위원장도 김홍일 의원이 이끄는 연청(새시대새정치연합청년회) 회장 출신이지만, 대체적으로 ‘신주류’ 성향이 강하다는 평가다. 연청 한 관계자는 “지난해 12월28일 있었던 연청 송년회에서도 정-김의원 등을 거론하며 당직개편과 관련해 ‘신선하다’ ‘잘됐다’는 평가가 많았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조직위원장 물망에 오르내렸던 조성준 의원은 “당직개편을 보면 김대통령이(향후 정국운용과 관련해) 뭔가 단단히 마음을 먹은 것 같다”고 평가했다.
‘선수 파괴’와 신주체세력의 형성은 당내 ‘문화 파괴’로 나타나고 있다. “민주당이라는 이름만 빼고 다 바꾼다”(김중권 대표) “나부터 일찍 출근하고 늦게 퇴근하겠다”(남궁석 정책위의장)는 언급이 대표적이다. 최근 외부 행사에 참석하고 밤 9시쯤 당사에 돌아온 김대표는 모두 퇴근하고 대표실에 불이 꺼져 있자 “대표실부터 확 바꾼다. 이래 가지고서야 집권당 역할을 할 수 있겠느냐. 내가 청와대에 근무할 때는 이렇지 않았다”며 당직자들을 질책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김성호 대표 비서실장은 “회의에서 논의할 주제를 참석자들에게 전날 미리 알려줘 회의 시간을 30분 내지 1시간으로 줄여 운영하는 것도 달라진 모습”이라고 전했다. 정동영 최고위원은 “최고위원회의도 전보다 훨씬 활력 있고 내용 있게 운영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당 일각에서는 새 지도부가 주장하는 ‘퇴출론’(일하는 당직자와 일하지 않는 당직자를 구분해야 한다는 박상규 사무총장의 언급) ‘눈깔론’(당직자들의 눈에 힘이 없다는 김대표의 언급) 등에 대해 “당을 너무 우습게 보는 발상” “원인 제공자는 당 지도부”라는 등의 비판도 나오고 있다.
김성호 대표비서실장은 “(김대표 체제가) 당의 안정화, 정부나 청와대에 대한 당의 주도권 확립, 여야 관계에서의 정국 주도권 확립 등의 수순으로 큰 틀이 잡혀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대표는 이미 남궁석 정책위의장에게 “당이 정책주도권을 잡기 위한 방안을 연구해보라”는 지시를 내렸다. 정세분석국 한 당직자는 “당의 정책과 정무 기능이 강화된다면 최근 만들어진 국가경영전략연구소(소장 임채정 의원)의 확대-강화가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면모를 일신한 김대표 체제는 여러 과제도 안고 있다. “대선주자들이 김대표를 경쟁자로 인식해 집중적인 견제를 할 가능성이 있다”(김성호 대표 비서실장) “중진 의원들을 어떻게 아우를 것인지가 문제다”(정세균 기조위원장) “정계개편이나 개헌 문제 등에서 한나라당과 심각한 갈등을 빚을 가능성이 있다”(기획조정국 한 당직자)는 것 등이다. 이런 측면에서는 “너무 실험적인 당직개편”이라는 당 일각의 평가도 새겨들을 필요가 있다. 체제 쇄신에 따른 내용을 보여주지 못할 경우 불어닥칠 역풍이 만만치 않을 것임을 시사하기 때문이다.
초-재선 의원들의 대거 등용, 권노갑 전 의원을 중심으로 한 이른바 구주류의 ‘몰락’으로 이어진 당직 개편은 상징적인 사건이다. 민주당과 여권에 새로운 주체세력이 등장했음을 말해준다.
“선수와 계파를 파괴하고 능력과 전문성을 중시한 인사였다”는 김성호 민주당 대표비서실장의 지적처럼 지난해 12월21일과 28일 단행된 민주당 당직개편의 압축어는 ‘파괴’였다. 가장 놀라운 것은 선수(選數) 파괴. 당내에는 “선수와 경륜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조순형 의원의 비판에 공감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일대 쇄신을 해야 하는 마당에 선수가 무슨 필요가 있느냐”는 주장이 더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전문성 갖춘 실무형 기용
지난해 12월21일 재선 의원인 박상규 김영환 추미애 의원이 각기 사무총장, 대변인, 지방자치위원장에, 초선인 남궁석 김성호 의원이 정책위의장, 대표비서실장으로 기용됐을 때 대부분의 당 관계자들은 입을 다물지 못했다. 거의 혁명적인 파격이었던 것.
이런 기조는 28일 중-하위 당직개편에도 그대로 이어졌다. 인사와 예산, 정세분석을 담당하는 기조위원장에는 재선인 정세균 의원이, 정책을 담당하는 제1, 2, 3 정책조정위원장은 모두 초선으로 바뀌었다. 김덕배 조직위원장, 정범구 홍보위원장, 이재정 연수원장, 조재환 직능위원장도 모두 초선이다.
제1정책조정위원장을 맡은 이낙연 의원은 “선수 파괴라는 말을 실감했다. 새 지도부가 상당히 의욕적으로 일하려는 것 같다”고 평가했다. 정동영 최고위원은 “전문성을 갖춘 초-재선들이 등용돼 실무적으로도 일을 잘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초-재선 의원들의 대거 당직 기용은 구여권 출신이라는 김중권 대표에 대한 비판을 상당부분 희석하는 효과를 거뒀다. 당내 신주류의 핵심 축을 형성하고 있는 장성민 의원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빨리 당을 안정화할 것”이라고 단언한다.
김대표는 김성호 정범구 정장선(수석부대변인) 추미애 의원 등 ‘주장이 뚜렷한’ 초-재선들을 포용함으로써 초-재선 의원들의 집단 반발 가능성을 무력화했다. 게다가 새로운 인물들의 대거 등용에 따른 당 안팎의 기대감도 높였다. 김대표가 취임 9일 만인 지난해 12월28일 마포소방서와 삼동소년촌 등 민생 현장을 방문한 것은 이런 자신감의 표현으로 읽힌다.
초-재선 의원들의 기용은 당 쇄신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불가피한 측면도 있다. 민주당 의원 가운데 초선은 60명, 재선은 32명, 3선 이상은 27명이다. 76%가 초-재선인 셈. 장성민 의원은 “당내 초-재선 의원이 80%에 육박하는데 이들이 당을 책임지고 주도하는 것이 당연하지 않느냐”고 말한다.
3선 이상 의원 가운데 현재 당직을 갖고 있지 않거나 당직을 맡은 적이 없는 사람은 장영달 이윤수 의원 두 명에 불과하다. 김대표 체제가 들어선 뒤 “민주당을 지켜온 정통 민주세력에는 기가 막힐 노릇”(장영달 의원)이라거나 “탈당을 생각하고 있다”(이윤수 의원)고 반발한 두 의원의 심정을 이런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당직개편을 통해 민주당이 ‘젊은 정당’으로 거듭났다는 점과 함께 주목되는 것은 신주체세력의 형성이다. 정동채(전 기조위원장) 박양수(전 조직위원장) 김희선(전 연수원장) 안희옥(전 여성위원장) 등 이른바 ‘구주류’로 분류되던 사람들은 모두 당직에서 물러났다. 대신 소장개혁파와 시민사회단체 출신 인사들이 대거 등용됐다. 이들은 그동안 한화갑 정동영 최고위원 등과 정서적인 공감대를 형성해 왔다. 조재환 직능위원장이 당직을 맡고 있는 유일한 ‘구주류’ 사람.
정세균 기조위원장과 김덕배 조직위원장도 김홍일 의원이 이끄는 연청(새시대새정치연합청년회) 회장 출신이지만, 대체적으로 ‘신주류’ 성향이 강하다는 평가다. 연청 한 관계자는 “지난해 12월28일 있었던 연청 송년회에서도 정-김의원 등을 거론하며 당직개편과 관련해 ‘신선하다’ ‘잘됐다’는 평가가 많았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조직위원장 물망에 오르내렸던 조성준 의원은 “당직개편을 보면 김대통령이(향후 정국운용과 관련해) 뭔가 단단히 마음을 먹은 것 같다”고 평가했다.
‘선수 파괴’와 신주체세력의 형성은 당내 ‘문화 파괴’로 나타나고 있다. “민주당이라는 이름만 빼고 다 바꾼다”(김중권 대표) “나부터 일찍 출근하고 늦게 퇴근하겠다”(남궁석 정책위의장)는 언급이 대표적이다. 최근 외부 행사에 참석하고 밤 9시쯤 당사에 돌아온 김대표는 모두 퇴근하고 대표실에 불이 꺼져 있자 “대표실부터 확 바꾼다. 이래 가지고서야 집권당 역할을 할 수 있겠느냐. 내가 청와대에 근무할 때는 이렇지 않았다”며 당직자들을 질책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김성호 대표 비서실장은 “회의에서 논의할 주제를 참석자들에게 전날 미리 알려줘 회의 시간을 30분 내지 1시간으로 줄여 운영하는 것도 달라진 모습”이라고 전했다. 정동영 최고위원은 “최고위원회의도 전보다 훨씬 활력 있고 내용 있게 운영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당 일각에서는 새 지도부가 주장하는 ‘퇴출론’(일하는 당직자와 일하지 않는 당직자를 구분해야 한다는 박상규 사무총장의 언급) ‘눈깔론’(당직자들의 눈에 힘이 없다는 김대표의 언급) 등에 대해 “당을 너무 우습게 보는 발상” “원인 제공자는 당 지도부”라는 등의 비판도 나오고 있다.
김성호 대표비서실장은 “(김대표 체제가) 당의 안정화, 정부나 청와대에 대한 당의 주도권 확립, 여야 관계에서의 정국 주도권 확립 등의 수순으로 큰 틀이 잡혀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대표는 이미 남궁석 정책위의장에게 “당이 정책주도권을 잡기 위한 방안을 연구해보라”는 지시를 내렸다. 정세분석국 한 당직자는 “당의 정책과 정무 기능이 강화된다면 최근 만들어진 국가경영전략연구소(소장 임채정 의원)의 확대-강화가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면모를 일신한 김대표 체제는 여러 과제도 안고 있다. “대선주자들이 김대표를 경쟁자로 인식해 집중적인 견제를 할 가능성이 있다”(김성호 대표 비서실장) “중진 의원들을 어떻게 아우를 것인지가 문제다”(정세균 기조위원장) “정계개편이나 개헌 문제 등에서 한나라당과 심각한 갈등을 빚을 가능성이 있다”(기획조정국 한 당직자)는 것 등이다. 이런 측면에서는 “너무 실험적인 당직개편”이라는 당 일각의 평가도 새겨들을 필요가 있다. 체제 쇄신에 따른 내용을 보여주지 못할 경우 불어닥칠 역풍이 만만치 않을 것임을 시사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