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026

..

회사가 절대 알려주지 않는 직장인 성공전략

내게 맞는 커리어 관리

6년마다 새로운 도전 통해 성장하고 미래를 준비하라

  • 김성래 하이드릭 앤 스트러글스 한국대표 mkim@heidrick.com

    입력2016-02-22 17:40:45

  • 글자크기 설정 닫기
    평생직장 개념에서 벗어나면서, 직장인 사이에서 직업과 경력 관련 ‘커리어(career) 개발 및 관리’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주요 기업들의 연말 개인별 평가에서도 커리어 방향(career path)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뤄지는 추세다. 흔히 경력을 잘 포장하는 것을 커리어 관리라고 생각하는데, 이는 엄청난 착각이다. 커리어 관리는 인간관계를 포함해 포괄적으로 사회생활을 잘하는 것을 의미한다.
    30년 이상 한 직장에서 일하며 능력을 인정받고 명예롭게 은퇴할 수 있다면 금상첨화다. F사에서 33년간 근무하면서 임원 자리까지 오른 G전무는 은퇴 후 재취업이 안 돼 속상해했지만, 지금까지 좋은 커리어를 쌓은 것 자체에 감사해야 한다. 요즘처럼 만 50세에도 반(semi)은퇴를 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한 직장에서 꾸준히 근무하며 커리어를 유지 및 관리하는 것 자체가 어려운 일이다. 일반 기업에서는 최고경영자(CEO)나 고위 임원이 돼야 30년 이상 근속이 가능하며 기술 또는 자격증이 없는 일반인에겐 꿈같은 이야기다. 결국 직장생활을 할 때 최소 한 번 이상은 이직이 불가피하며, 따라서 어느 때보다 커리어 개발과 관리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일반적으로  6년 정도 한 직무에서 동일한 업무를 했다면, 자신을 냉정하게 돌아보고 새로운 도전을 통해 커리어를 개발해야 한다.   



    임원 승진에 목숨 걸지 말자

    직장생활을 하면서 하루하루 주어진 일을 해내기도 벅찬데 커리어 개발은 사치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커리어 개발은 인생에서 꼭 관심을 가져야 하는 부분이다. 외부 교육 등을 통한 자기계발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여러 조사에서도 밝혀졌지만 가장 좋은 교육 및 트레이닝은 자기 업무를 하면서 성장하는 것이다. 치열한 경쟁 사회에서는 업계 최고 또는 비슷한 수준의 역량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살아남기 어렵다. 그뿐 아니라 한 가지 전문성 외에 다양하고 글로벌한 경험까지 겸비해야 한다. 그래서 매년 중간 점검을 통해 1년간 자신이 해온 업무 내용과 성과를 점검하고 더불어 상사, 멘토 또는 선배로부터 경력 관리 코칭을 받아야 한다.  
    그렇다면 좋은 회사, 좋은 커리어란 무엇일까. 우리 사회에서 인지도가 높은 대기업이나 글로벌 기업에서 일하는 것일까. 아무리 좋은 회사라 해도 행복하려면 먼저 자신의 가치관을 비롯한 역량과 환경을 고려해야 한다. 나는 어떤 일을 할 때 보람을 느끼고 행복한가. 직장생활 초년생에게는 어려운 질문일 수도 있다. 나의 가치관에서 무엇이 중요한지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나의 인생 목표와 연결해 커리어(직업, 직장생활) 목표를 정하는 것이 좋다.
    흔히 직장인은 다음에 승진할 포지션(대리에서 과장, 임원 아니면 CEO)을 커리어 목표로 삼는다. 군대에서 스타(장군)로 진급하면 100가지 해택이 주어진다고 할 만큼 승진의 만족감은 크다. 그러나 과연 기업에서 스타(CEO, 임원)가 되는 것이 커리어 목표가 될 수 있을까. 또 우리나라 직장인들이 일정 기간이나 나이가 되면 기대하는 타이틀(직급)이 있다. 승진하기 가장 쉬운 방법은 이직을 통해 직급을 올리는 것이다. 이직을 거듭해 직급과 연봉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할까. 그렇지 않다. 현재 직급이 높지 않더라도 직장에서 인정받아 차근차근 승진하는 사람이 더 큰 박수를 받을 자격이 있다.
    근무 연수와 나이로 승진이 결정되는 시대는 끝났다. 여러 통계에 따르면 대졸 사원이 임원이 될 확률은 1% 미만이라고 한다. CEO는 두말할 나위도 없다. 그럼에도 직장인 10명에게 물어보면 9명이 “CEO가 목표”라고 말한다. 꿈을 가지는 것은 좋지만 좀 더 솔직하고 현실적인 목표 설정을 통해 현명하고 행복한 직장생활을 하는 게 낫다. CEO가 목표라는 사람들에게 묻고 싶다. “CEO가 왜 되고 싶은가.” “왜 다른 사람이 아니고 본인이 CEO가 돼야 한다고 생각하는가.” “CEO가 될 역량, 리더십과 성품을 지녔는가.” “부족한 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끝으로 “CEO가 될 준비가 되었는가”라고.   
    글로벌 기업의 I상무는 한국대표 자리를 제안받았지만 스스로 경험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고사했다. 회사로부터 이런 제안을 받으면 100명 중 99명은 무조건 수락한다. 그러나 덥석 수락한 것이 잘못된 의사결정일 수도 있다. 아직 젊고 리더로서 경험이 부족하다면 1~2년 후 그 자리에 앉아도 늦지 않다. 성급하게 그 자리에 앉았다 오히려 실패할 확률이 높다. 실제로 J사 K상무도 부장으로 있을 때 상무 승진을 통지받고 처음엔 고사했다. 물론 CEO의 완곡한 설득으로 임원 자리에 앉긴 했으나 스스로 천천히 승진해 회사생활을 오래하겠다는 신중함이 오히려 사내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완벽하게 준비될 수는 없지만 자신에게 주어진 자리(사내외 포함)에서 잘할 수 있는 자신감이 있을 때만 수락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다음 기회로 넘기는 것이 현명하다. 커리어 관리란 빨리빨리 높은 자리에 오르는 것이 아니라, 자신에게 맞는 속도로 적절하게 가는 것이다.  
    한국 사회에서 이직 시 타이틀(직급)을 낮추는 것은 쉽지 않지만 간혹 있다. L그룹사의 젊은 임원 M은 이직하면서 N그룹사 부장으로 자리를 옮겨 주변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미래 비전을 보고 옮겼고 좋은 성과를 창출해 결국 2년 후 임원으로 승진했다. O사 P부사장도 Q사 전무로 직위를 낮춰 옮겼지만 역시   2년 후 다른 회사 CEO로 영전했다. 결국 틀에 얽매이지 않은 유연한 사고가 승리한 것이다. 결코 직위나 승진 자체만으로 사회적 성공을 평가해서는 안 된다.  



    비현실적인 꿈이 아닌 커리어 목표 설정

    하고 싶은 일을 평생직업으로 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하지만 현재 자신의 적성에 맞는 산업과 직무에서 일하고 있는지 돌아보자. 결국 하는 일이 적성에 맞을 때 최고 성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또 달성하고 싶은 커리어 목표가 비현실적인 꿈은 아닌지 알아보고 자신의 역량과 경력을 분석해 목표 대비 부족한 부분을 파악하고 차이를 줄이려는(Bridge the Gap) 노력을 해야 한다. 물론 이 과정에서 다른 커리어로 전환할 가능성도 타진한다.
    지금까지 마케팅 전문가로 스페셜리스트(specialist)의 경력을 쌓았다만, 자신의 커리어 목표가 마케팅 전문가인지 아니면 사업을 총괄하는 제너럴리스트(generalist)인지도 검토해야 한다. 여기서도 아무 생각 없이 “CEO가 목표”라고 할 게 아니라 진심으로 자신이 원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고, 부족한 부분을 채우기 위한 전략과 액션 플랜(action plan)을 수립해야 한다. 만약 본부장이나 사장이 되고자 한다면 더 늦기 전에 반드시 영업 부문 경력을 쌓아야 한다.
    한 단계 더 성장하려면 도전정신이 필요하다. 새로운 업무, 새로운 직무를 경험하고 더 많은 일을 해야 한다. 국내 기업의 해외지사나 글로벌 기업의 본사 근무를 신청하는 것도 이상적인 커리어 방향이다.
    한 직무를 얼마 동안 하는 것이 좋은지에는 정답이 없다. 단 1~2년은 너무 짧고 4~5년이 적당하며 6년쯤 되면 자신도 모르게 안주하게 된다. 6년이면 이것저것 다 시도해봤기에 새로운 자극이 필요하다. 그렇다고 6년마다 회사를 옮기라는 말이 아니다. 한 산업에서 30~40년 영업맨으로 일한 것은 존경 받아야 하는, 정말 멋지고 훌륭한 커리어다. 특히 인간관계를 중시하는 사람이라면 적성에 딱 맞는 일을 선택한 셈이다. 자신의 적성과 가치에 맞는 목표를 설정하는 등 커리어 관리를 할 때 사람은 더욱 성장할 수 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