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243

..

킁킁… 윽! 숨막히는 코의 고통

액취증·발냄새 등 땀샘과 밀접…청결한 피부관리 필수, 항생제·수술 치료 효과적

  • 입력2005-07-26 11:27: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킁킁… 윽! 숨막히는 코의 고통
    몸에서 나는 냄새는 땀샘과 관련이 깊다. 인체에는 에크린 땀샘과 아포크린 땀샘이라는 두 종류의 땀샘이 있다.

    에크린 땀샘은 체온조절 기능을 하는데, 200만~300만개의 땀샘이 한 시간에 2000~3000cc 정도의 땀을 만들어내 체온을 조절한다. 이 땀샘은 진피의 가장 밑에 위치해 있고 온도에는 민감하지 않으나 심리적 자극에 민감한 반응을 보인다. 체표 전반에 분포돼 있는 에크린 땀샘은 특히 손바닥 발바닥에 집중돼 있다. 이 땀샘은 나이에 관계없이 평생 동안 작용한다.

    또 하나는 몸냄새의 주원인이 되는 아포크린 땀샘이다. 이 땀샘은 땀을 직접 체표면으로 배출하는 것이 아니고 배출관이 모낭에 붙어 있어 모낭의 윗부분을 통해 체외로 배출한다. 체모가 많은 겨드랑이, 회음부, 유두 주위, 배꼽 주위에 많이 분포한다. 아포크린 땀샘은 내분비선의 영향을 받아 사춘기 때부터 작용을 시작하며 폐경기 이후에는 분비가 줄어든다.

    몸냄새는 아포크린 땀샘에서 분비되는 땀성분이 세균에 의해 변화되면서 난다. 원래 피지선 분비물에서 약간 냄새가 나는데, 유난히 땀을 많이 흘리는 다한증 환자는 땀으로 각질층이 변화하면서 냄새가 심해진다.

    냄새의 종류는 산(시큼한 냄새)과 암모니아(구린내)의 비율에 따라 달라지는데 대개는 음식물 섭취에 의한 일시적인 냄새일 가능성이 높다. 마늘 양파 아스파라거스 등을 먹고 났을 때 쉽게 맡을 수 있는 냄새들이다. 그러나 음식은 땀의 분비나 세균 수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냄새의 원인이 되는 음식물 섭취를 중단하면 증상이 사라진다.



    그 밖에도 질환 때문에 몸냄새가 생길 수도 있으므로 냄새를 냄새로만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된다. 통풍 당뇨병 괴혈병 등의 질환에 따라 땀에서 특징적인 냄새가 난다는 보고도 있다.

    냄새만으로 어떤 질환이나 섭취 음식 혹은 약물을 단정적으로 알아내기는 어렵지만 냄새의 특성에 따라 의심할 수 있는 질환들도 있는 것이다. 즉 장티푸스의 경우에는 갓 구어낸 갈색 빵 냄새가 나며, 결핵성 림프선염일 때는 김빠진 맥주 냄새, 디프테리아일 때는 달콤한 냄새, 합병증을 동반한 당뇨병에서는 아세톤 냄새, 녹농균 감염증 땐 포도 냄새, 파상풍 때는 썩은 사과 냄새 등이 난다. 또 아시아인이나 에스키모들에서는 비린내, 서양사람들에서는 노린내, 페니실린과 같은 항생제를 복용하면 곰팡이 냄새가 난다는 등의 특징적인 냄새가 있다.

    재미있는 것은 몸냄새를 호소하는 사람들 중 상당수는 실제로 냄새가 문제될 정도는 아니라는 것이다(사람은 누구에게서나 어느 정도 냄새가 난다). 이들은 냄새에 대해 유난히 민감한 정신분열증의 시작인 망상상태일 때가 많다. 진짜 몸냄새가 나는 사람은 오히려 자신이 환자임을 모르고 지내다 주변 사람들의 지적으로 병원을 찾는다.

    흔히 암내라고 하는 액취증은 겨드랑이 부위에서 독특한 냄새가 나는 경우다. 특이하게 아포크린 땀샘 수가 증가됐거나 기능이 항진돼 땀의 양이 증가하면 피부에 있는 백색 포도상구균이나 호기성 세균이 활발하게 단백질을 분해한다. 이때 생기는 대사물, 즉 지방산과 암모니아가 냄새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증상은 내분비선의 영향을 받는 사춘기에 시작돼 16~20세 사이에 가장 많으며, 그 후엔 점차 감소하여 폐경기가 지나면 발생하지 않는다. 실제 발생면에서 남녀 차이가 없으나 냄새에 정신적으로 민감한 여성들이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아 흔히 여성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액취증은 개인이나 종족 간의 발생빈도에서도 큰 차이가 있다. 동양인이 가장 낮고, 백인 흑인 순으로 빈도가 높다. 유전적인 차이도 있다. 여름에 냄새가 심해지는 것은 고온다습한 기후가 겨드랑이의 땀샘 분비를 촉진시킬 뿐 아니라 겨드랑이에 사는 세균을 증식시키기 때문이다.

    치료방법은 원인균을 제거하는 항생제를 도포하는 치료와 아포크린 땀샘 수나 기능을 억제하는 수술적 치료가 있다. 세균을 제거할 때는 항생제가 포함돼 있는 비누를 쓰거나 항생제로션 향수 방취제 등을 도포하는데, 1일 1회 사용으로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지속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반면 항생제를 전신에 투여하는 것은 효과가 없다.

    수술적 치료로 수술요법과 레이저 치료가 있는데 수술요법은 겨드랑이의 주름을 따라 한두 개 정도의 절개선을 넣어 피부를 박리한 뒤 박리된 피부를 얇게 들어올려 아포크린 땀샘을 제거하고 다시 봉합하는 방법으로, 흉터가 거의 없고 입원할 필요없이 외래로 방문하여 치료받을 수 있다.

    하지만 수술 후 열흘 정도는 어깨 관절의 운동이 제약을 받게 되므로 심한 운동을 삼가야 한다. 최근에는 내시경과 초음파 지방흡입기를 이용해 흉이 거의 남지 않고 어깨 관절의 움직임에도 제약 없이 즉시 일상생활로 복귀할 수 있는 수술법이 선보이고 있다.

    레이저 치료는 아포크린 땀샘만 골라서 태워버리는 치료방법으로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에 사용하며 2, 3회 치료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재발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증상이 경미한 환자에게 적용되는 방법이다.

    발냄새는 액취증과 달리 에크린 땀샘에 의해 과도하게 분비되는 땀 때문에 생긴다. 땀이 피부 각질층에 침습되면서(말랑말랑해지면서) 세균이 증식하고 세균에 의해 분해된 젖산과 요소성분이 주로 발바닥과 발가락 사이에서 발생하면서 냄새가 난다.

    젊은 남성이나 중년 성인에게 흔하며 남녀간이나 종족간에 큰 차이는 없다. 치료는 땀샘 분비를 적게 하는 치료와 세균 수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있다.

    세균 수를 감소시키려면 항생제 함유 비누를 쓰거나 항생제로션을 발라준다. 또 자주 씻고 땀 흡수가 잘 되는 면양말을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땀샘 분비를 적게 하는 치료로 20% 알루미늄 용액이나 글루타알데히드 용액과 같은 국소도포용 땀샘 분비 억제제의 도포나 항콜린성 약제 등의 전신투여, 흐르는 물을 이용한 이온영동법을 시행할 수 있으며, 땀 분비를 자극하는 교감신경을 절제하는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머리 냄새

    머리 냄새는 하루에 한 번씩 머리를 감는 것으로도 간단히 없앨 수 있다. 다만 두피에 염증이 있어 비듬이 많아지는 지루피부염일 경우 피리치온아연이나 셀레늄 화합물, 살리실산, 황, 타르 등이 들어 있는 샴푸를 사용하면 증상완화에 도움이 된다.

    생선냄새 증후군

    흔치 않은 질환이나 대사성 질환 중에 생선냄새 증후군이라는 게 있다. 에크린 땀, 소변, 침 및 다른 분비액에서 생선 냄새가 나는 유전성 질환이다. 원인은 선천적으로 특정한 영양분에 대한 대사가 잘 되지 않아 트라이메틸아민(trimethylamine)이라는 물질이 축적되기 때문이다. 이런 환자는 바다생선 달걀 간 콩 콩팥 등 콜린(choline)이 낮은 음식을 섭취해야 한다.

    몸냄새는 비위생적인 피부관리도 원인이 되기 때문에 여름철에는 샤워나 목욕으로 전신을 청결히 하고 속옷을 자주 갈아입어야 한다. 또 마늘처럼 냄새가 심한 음식은 삼가는 게 좋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