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로그인
회원가입
구독신청
보이스 뉴스
PDF
RSS
스포츠동아
VODA
VOSS
비즈N
우먼동아
커버스토리
1392호
2023.06.02
코로나19 끝나 여행 수요 급증하는데 대한항공 안전성 B등급 추락
전체기사
정치
문화&라이프
경제
건강&과학
사회
스포츠
국제
피플
기획연재
투(投)벤저스
김상하의 이게 뭐Z?
궤도 밖의 과학
미묘의 케이팝 내비
기타메뉴
독자게시판
기사제보
구독신청
광고안내
홍춘욱의 투자노트
메인 > 기획연재 > 홍춘욱의 투자노트
중국이 제시한 올해 경제성장률 5%, 한국에 惡材 될 수 있다
리커창 중국 총리는 3월 5일 개막한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에서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치를 5%로 제시했다. 이는 1991년(4.5%) 이후 …
20230310
한국 방산 급성장세, 국내 첫 방산 ETF 출시
국내 방위산업 성장성에 투자할 수 있는 상장지수펀드(ETF)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나왔다. 방위산업은 그동안 항공우주산업과 함께 묶여 상품화됐는…
20230113
美 6월 소비자물가 9.1% 상승, 41년 만에 최고치 찍었다
7월 13일(현지 시간) 발표된 미국 6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9.1%, 그리고 전월에 비해 1.3% 급등해 “인플레 정점을 …
20220715
“現 인플레이션 위험 제한적… 단, 저물가 시대는 오기 힘들어”
미국이 40년 만에 최악의 인플레이션(물가상승)에 직면하면서 전 세계를 긴장시키고 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가 인플레이션…
20220603
장기 불황 유럽 경제, 아베노믹스 해법이 필요하다
지난 글에서 유럽 경제가 ‘잃어버린 10년’을 보낸 결정적 실책에 대해 살펴봤다. 이번 글에서는 유럽 경제가 살아나는 데 필요한 정책 대안을 …
20220211
독일의 가혹한 선택, ‘유럽의 잃어버린 10년’ 만들었다
지난 글에서 유럽은 1999년 유로존 출범 이후 2021년까지 연 경제성장률이 1.89%에 불과하다고 했다. 같은 기간 한국은 3.85%, 세…
20220121
2011년 남유럽 재정위기가 유럽 증시 장기 불황 불렀다
지난 글에서 일본과 이탈리아 증시를 비교하며 일본 주식시장에 회생 기미가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에는 유럽 증시의 장기적 흐름을 살펴보…
20220107
질적 성장 日 증시 부활… 레버리지 경영 伊 추락
지난 글에서 일본 부동산시장이 저출산 및 인구 감소 흐름에서도 강력한 상승세를 보이는 것에 대해 살펴봤다. 이번에는 일본 주식시장에 초점을 맞…
20211224
인구 감소하면 부동산시장 붕괴? 현실은 예상과 딴판이다
지난 글에서는 저출산과 인구 감소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봤는데, 이번에는 자산시장에 가져올 영향을 점검해보자. 일단 주식시장부터 살펴보면…
20211210
저출산 탓 한국 경제 붕괴? 장기 전망 믿지 말라
필자가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 댓글창에서 최근 가장 뜨거운 주제는 ‘저출산’이다. 지난해 한국 출생아 수가 27만 명에 그쳤다는 뉴스를 근거로 …
20211126
한국 ‘외환위기 트라우마’ 덕분 중진국 함정 탈출
최근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된 덕분에 오랜만에 ‘독자와의 만남’을 가질 수 있었다. 이때 들은 질문 중 “한국이 어떻게 중진국 함정을 탈출할 …
20211112
‘중진국 함정’ 빠진 중국… 기업들 부동산 투기 열 올려
지난 글에서 중국 소비시장이 기대와 달리 작고 폐쇄적이라고 이야기한 바 있다. 소비시장이 제대로 발달하지 못한 데는 여러 원인이 있지만, 필자…
20211029
중국 소비시장 성장, 한국 경제 미래 될 수 없다
지난 글에서 한국 수출 경기를 좌우하는 요인이 선진국, 그중에서도 미국이라는 이야기를 했다. 선진국 소비 경기가 조금만 좋아지면 한국 수출이 …
20211015
미국 개인소비지출 3% 감소하면 한국 수출 40% 준다
지난 호에서 한국 주식시장이 세계 최저 수준의 배당 성향을 기록하는 이유를 살펴봤다. 핵심은 ‘기업이익 변동성’이었다. 이익 변화를 예측하기가…
20211001
한국 기업 실적 사상 최대 전망, 배당성향은 거꾸로 떨어질 듯
지난 시간 한국 주식시장이 위아래로 급등락하는 이유 중 하나로 ‘낮은 배당수익률’을 지목한 바 있다.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은 의문을 제기하는 …
20210924
1
제 1392호
2023.06.02
코로나19 끝나 여행 수요 급증하는데 대한항공 안전성 B등급 추락
매거진 D
미묘의 케이팝 내비
웹툰과 만난 엔하이픈
All about FOOD
문경 오미자 대추차 활용한 ‘빨간맛 마티니’
1
콧대 높은 명품업계가 K-아트에 빠진 이유
2
버블 붕괴 후 33년 만에 최고치 찍은 일본 증시
3
코로나19 끝나 여행 수요 급증하는데 대한항공 안전성 B등급 추락
4
디지털에 익숙한 Z세대, 디지털 단점도 빨리 잡아낸다
5
헤리티지 더 빛내는 자동차 명가의 새로운 변주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
요금안내
이용안내
이용내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