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230

2020.03.13

이슈

마스크 ‘구걸한다’ 착각 들게 만든 배급제

마스크 5부제에 애플리케이션 나와도 구하기 어려워 …   ‘욕받이’만 바꿨을 뿐

  • 박세준 기자

    sejoonkr@donga.com

    입력2020-03-14 10:00:01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서울 청계천 앞 한 약국. 마스크를 사려는 사람들이 줄을 서 있다. [동아DB]

    서울 청계천 앞 한 약국. 마스크를 사려는 사람들이 줄을 서 있다. [동아DB]

    “분명히 나는 마스크를 사러 간 건데, 몇 군데 약국을 돌아도 마스크 한 장을 구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가끔은 ‘내가 마스크를 구걸하러 다니는 건가’ 하는 착각까지 든다.” 

    3월 11일 만난 자영업자 이모(38) 씨의 말이다. 마스크 배급제를 시작했지만, 마스크 구입은 여전히 쉽지 않다. 소비자의 출생연도에 맞춘 마스크 5부제를 믿고 약국을 찾아도 마스크가 있는 곳이 드물다. 지역과 소매점마다 마스크 입고 시간이 달라 헛걸음하는 소비자도 적잖다. 일부 지역에서는 약국에 줄을 서는 불편을 없애고자 예약 방식을 도입하기도 했지만, 오히려 혼란스럽다는 의견이 쏟아지고 있다. 

    2월까지만 해도 마스크를 사려고 약국 앞에 줄을 선 인파를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었다. 국내 마스크 생산량은 하루 1000만 장. 코로나19 확산으로 전 국민에게 마스크가 필요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넉넉한 물량은 아니다.

    손님은 화나고, 약국은 답답하고

    이에 정부는 3월 9일부터 마스크 5부제를 시행하고 있다. 태어난 해의 끝자리 숫자에 따라 마스크를 살 수 있는 날이 정해져 있다. 공적 마스크 유통 관리를 통해 마스크 부족 현상을 해소하겠다는 방안이다. 한 사람이 일주일에 살 수 있는 마스크는 단 2장. 정부 지침대로 마스크 하나를 사흘씩 사용한다 해도 약간 빠듯한 물량이다. 

    그런데 3월 11일 서울 시내 약국과 그 주변을 살펴본 결과 마스크 2장도 손에 넣기 어려웠다. 대학생 윤모(24) 씨는 “집 앞 약국이 문을 열기를 기다렸다 영업을 시작하는 순간 마스크를 사러 약국에 들어갔지만 마스크가 아직 입고되지 않았다고 했다”고 밝혔다. 직장인 조모(28·여) 씨는 “마스크 5부제를 믿고 4시쯤 약국을 찾았는데, 이미 다 팔려 살 수가 없었다. 마스크 대신 약사의 난처해하는 표정만 보고 왔다”고 전했다. 



    이렇게 각기 마스크를 구하기 어려운 이유가 있었다. 약국마다 마스크 입고 및 판매 시간이 다르기 때문. 경기 안양시에서 약국을 운영하는 김모(45) 씨는 “헛걸음하는 손님들 보기가 민망해 약국 앞에 항상 입간판을 세워둔다. 지금 마스크를 살 수 있는지를 알려주는 내용”이라고 말했다. 

    서울 동작구의 한 약국은 예약제를 시작했다. 약국이 문을 열 때 마스크 구매 예약을 받고 문을 닫기 전까지 사가도록 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 방법에도 맹점은 있었다. 약사 정모(38·여) 씨는 “예약제를 실시하니 인근에 사는 손님들은 편하다고 하지만, 간혹 마스크를 사려고 멀리서 오는 분들이 오해하는 일이 생긴다. 뒤에 마스크를 쌓아두고 예약된 제품이라 판매가 어렵다고 양해를 구하면 간혹 언성을 높이거나 심한 경우 비속어를 섞어가며 화를 내기도 한다. 약국 문을 나서면서 약사들이 돈 벌려고 마스크를 팔지 않는다고 소리를 지르는 분도 종종 있다”고 말했다.

    “앱 나왔지만 믿을 수 없다”

    마스크앱 ‘웨어 마스크’의 이용화면(왼쪽). 마스크앱 굿닥. [구글앱스토어 제공, Carelabs 제공]

    마스크앱 ‘웨어 마스크’의 이용화면(왼쪽). 마스크앱 굿닥. [구글앱스토어 제공, Carelabs 제공]

    갈등이 커지자 관련 당국은 3월 11일 마스크 판매 현황을 알려주는 애플리케이션(앱)을 내놨다. 정부와 민간 개발업체들이 합작한 것으로, 정부가 데이터를 공개하면 민간 개발업체들이 이를 보기 쉽게 가공, 노출하는 방식이다. 데이터는 각 약국의 약사들이 직접 입력한다. 즉 마스크 입고 상황과 판매 현황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전산에 올리는 것이다. 

    그러나 앱으로도 마스크 재고 수량 확인이 어려웠다. 3월 11일 오전에는 접속 지연 현상이 계속됐다. 앱에 올라온 수량과 실제 수량이 달라 헛걸음하는 경우도 간혹 있었다. 직장인 최모(32) 씨는 “남은 수량을 확인하고 약국을 찾았지만 마스크가 다 팔리고 없었다”고 말했다. 

    앱과 상관없이 마스크를 사려고 약국 앞에서 기다리는 사람도 있었다. 고령자 중에는 앱 서비스를 아예 모르는 사람도 종종 있었다. 서울 영등포구 약국 앞에서 만난 박모(77) 씨는 “(앱과 관련된 정보를) 전혀 듣지 못했다. 유튜브에서는 그런 얘기를 하지 않았다”며 휴대전화를 꺼내 들었다. “보도를 확인하지 않았느냐”고 물으니, “보도마다 말이 달라 믿을 수 없다. 지금은 유튜브 채널과 주변에서 밴드나 카카오톡으로 보내오는 소식만 보고 있다”고 밝혔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