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853

2012.09.03

성숙의 계절엔 날뛰지 말라

‘관자(管子)’와 가을

  • 안영배 기자 ojong@donga.com

    입력2012-09-03 09:29: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성숙의 계절엔 날뛰지 말라

    중국 춘추시대의 사상가이자 정치가인 관중의 초상화.

    가을 문턱인 입추(立秋)를 넘기고 처서(處暑, 8월 23일)에 접어드니 새벽녘이면 살짝 열어둔 창문 사이로 가을 냉기가 스멀스멀 온몸을 휘감는 듯하다. 처서는 말 그대로 한여름 무더위가 멈춘다는 뜻이다. 자연은 이때부터 습(濕)과 열(熱)에 의한 만물의 양적 성장을 멈춘 뒤 본격적으로 열매를 맺고 후손을 남기라고 재촉한다.

    사람 역시 자연 변화에 맞추어야 한다. 순리에 맞춰 살아야 건강에 별 탈이 없기 때문이다. 기자는 1년 24절기 중 ‘입(立)’자가 들어간 ‘입춘’ ‘입하’ ‘입추’ ‘입동’이 낀 달에는 어김없이 ‘관자(管子)’라는 고전을 꺼내 자연 변화에 맞춰 사람이 해야 할 바를 되새기곤 한다. ‘관자’는 중국 춘추시대 제(齊)나라 정치가인 관중(管仲, ?~BC 645년)이 지은 것으로 돼 있으나, 전국시대에서 전한(前漢)에 걸쳐 관중의 후인들이 편찬한 것으로 여겨진다. 원래 86편으로 구성됐으나 10편은 분실하고 76편이 현전한다. ‘관자’는 사계절 변화가 모두 음양의 조화로 이루어지는 현상이라고 설명하면서, 유관(幼官)편에서 입추 이후 가을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가을에는) 흰옷을 입고, 매운 맛을 맛보며, 상성(商聲)을 들으면서 축축한 기운을 다스린다. 공경하는 마음을 지키고, 날카로움을 누그러뜨린다. 너그러운 기운이 닦이고 통하면 만물이 안정되며 몸이 다스려진다.”

    ‘관자’는 사계절 기운의 특성을 이야기하며 그에 맞춰 임금과 백성이 해야 할 바를 여러 편에서 언급했다. 대체적으로 가을은 △그 기운을 음(陰)이라 하고 △음은 오행의 금(金)을 생성하며 △그 품성(덕·德)은 근심하고 슬퍼함이며, 고요하면서 바름이고, 장엄하면서 화순함이며 △거처함에 가히 방탕하지 않고 △재간 있는 사람을 상으로 장려하고, 여러 인재를 모으며 △각종 작물을 거두고 △날카로우면서 살기(殺氣)를 띠고 있는 식으로 묘사하고 있다.

    ‘관자’의 이러한 계절론은 ‘황제내경’에서 좀 더 섬세하게 드러난다. 중국 제자백가의 여러 사상을 몸이라는 매개체로 표현한 ‘황제내경’에서는 가을을 건강론적 관점에서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가을철 석 달은 용평(容平)이라 한다. 만물이 경쟁적으로 성장하다가 성숙해져 꽉 차고 안정되는 시기다. 하늘의 기운은 매서운 가을바람처럼 급하며, 땅의 기운은 청명해진다. 사람은 일찍 잠자리에 들고 일찍 일어나야 한다. 뜻과 의지를 안정시키고 평안케 하여 가을의 숙살(肅殺)하는 기운을 누그러뜨리고, 정신을 잘 수습해 가을의 기후와 조화를 이루도록 하며, 뜻을 밖에 두지 않도록 하고 폐기(肺氣)를 맑게 유지하도록 한다. 이것이 바로 가을의 기운을 좇아서 양생하는 방법이다.”(‘황제내경’ 소문편 사기조신대론(四氣調神大論) 중에서)

    가을은 봄여름에 걸쳐 벌였던 일을 수습해 갈무리할 때라는 것이다. 철 모르고 날뛰다간 결실은커녕 가을의 매서운 ‘숙살 기운’에 된서리를 맞기 쉽다. 인생에서도 ‘가을 운’이란 게 있다. 사람에게 이 운이 들어올 때 잘 순응하면 ‘대박’이 나기도 하지만, 마냥 여름인 줄 알고 살다가 ‘쪽박’차는 사람도 많이 볼 수 있다.

    아무튼 가을은 금(金)기운으로 인해 공기가 건조해지고 차가워지는 계절이다. 한의학에서는 ‘금’에 해당하는 인체 기관으로 호흡기와 피부, 대장을 꼽는데 가을 금 기운에는 이러한 인체장부가 상하기 쉽다고 본다. 가을에 무엇보다 보온과 보습에 신경 써야 하는 까닭도 그 때문이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