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210

1999.11.25

모방으로부터의 진화

  • 이인식 과학문화연구소 소장

    입력2007-03-09 13:42: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모방으로부터의 진화



    1976년 영국의 생물학자 리처드 도킨스가 출간한 ‘이기적인 유전자’는 사회생물학의 명저로 손꼽힌다. 특히 이 책의 말미에 소개된 신조어 ‘밈’(meme)은 옥스퍼드 영어사전에 오를 정도가 되었다. 밈은 ‘모방 등 비유전적 방법에 의해 전달된다고 여겨지는, 문화의 요소’라고 사전에 정의되었다.

    도킨스에 따르면, 문화의 전달은 진화의 형태를 취한다는 점에서 유전자의 전달에 비유될 수 있다. 그러나 언어-옷-의식과 관행-예술과 건축 등은 유전적이지 않은 방법을 통해 진화했다. 유전자가 특별한 까닭은 복제되기 때문이다. 문화의 전달에도 유전자처럼 복제기능을 가진 것이 있을 터이다.

    이 새로운 복제자에게는 문화의 전달 단위 또는 모방 단위라는 개념을 함축하고 있는 이름이 필요하다. 이러한 전제 하에 도킨스는 ‘gene’(유전자)처럼 한 음절로 발음되는 단어를 찾았다. 결국 모방의 뜻이 함축된 그리스어(mimeme)에서 ‘meme’(밈)이라는 이름을 만들어 낸 것이다.



    밈의 보기로는 노래, 사상 선전문구, 옷의 패션, 도자기를 굽는 방식, 건물을 짓는 양식 등이 있다. 거의 모든 문화현상이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도킨스에 따르면, 유전자가 정자나 난자를 통해 하나의 신체에서 다른 하나의 신체로 건너뛰어 퍼지는 것과 똑같이, 밈도 모방의 과정을 통해 한 사람의 뇌에서 다른 사람의 뇌로 건너뛰어 퍼져나간다. 밈은 바이러스가 숙주 세포에 유전적 메커니즘으로 기생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전파되는데, 이때 뇌는 중간 매개물이 되는 셈이다. 요컨대 뇌가 밈의 전파에 도움이 되었기 때문에 몸집에 비해 큰 뇌가 진화되었다는 것이다.

    밈의 개념을 도입해 뇌의 진화, 언어의 기원, 종교, 섹스 등을 새롭게 해석한 저서가 연달아 출간된 것은 당연한 수순이다. 1996년 리처드 브로디의 ‘마음의 바이러스’와 아론 런치의 ‘생각의 전염’이 나왔고, 1999년 여류 저술가인 수잔 블랙모어가‘밈 기계’를 펴냈다. 공통점은 밈으로 문화적 진화를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문화적 진화 개념은 2차 대전 직후 러시아 출신의 생물학자인 테오도시우스 도브잔스키에 의해 정립되었다. 그는“문화는 유전자에 의해 이어지는 것이 아니다. 문화는 다른 인간으로부터 학습을 통해 얻어지는 것이다”고 말했다. 유태인 대학살을 몰고온 인종적 편견에 혐오감을 느낀 도브잔스키는 인류가 유전자의 굴레를 극복하는 방법을 모색한 끝에 그 해답으로 문화적 진화를 내놓은 것으로 알려진다.

    인간의 마음이 컴퓨터에 이식되면…

    문화적 진화는 유전적 진화와 달리 다윈의 진화론보다는 라마르크의 진화론으로 설명된다. 라마르크는 생물체의 몸 중에서 자주 사용되는 부분이 점차 커져서 그렇게 획득된 형질이 다음 세대로 진화된다는 용불용설(用不用說)을 주장했다. 문화적 진화는 획득형질이 밈에 의해 복제되어 다음 세대로 전달되는 과정이다. 요컨데 밈은 라마르크의 용불용설에 입각하여 진화한다.

    밈의 개념에 대해 관심이 고조되는 까닭은 2050년 전후로 사람보다 우수한 기계가 나타나면 인류가 유전에 의한 진화를 마감하고 문화적 진화에 의존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미국의 로봇공학 전문가인 한스 모라벡은 ‘마음의 자식들’(1988)과 ‘로봇’(1999)에서 사람의 마음을 기계로 옮기는 시나리오를 소개한다. 인간의 마음이 컴퓨터에 이식되면 사람과 기계의 구분이 모호해질 뿐만 아니라 육체적 한계가 있는 사람보다 기계가 더욱 유리한 입장이 될 것이다. 말하자면 인류의 미래가 인간의 혈육보다는 인간의 마음을 넘겨받은 기계에 의해 발전되고 승계될 가능성이 높다.

    유전자(진·gene)보다 밈(meme)이 진화의 주역이 되는 세상이 오고 있는 것이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