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546

2006.08.01

세계의 인간 그리고 예술가

  • 유진상 계원조형예술대 교수·미술이론

    입력2006-07-26 18:18: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세계의 인간 그리고 예술가

    콩스탕탱 기의 작품 ‘두 여인’

    세기의 위대한 문필가 샤를 보들레르(Charles Baudelaire, 1821~1867)는 처음으로 ‘예술가란 어떠해야 하는가’에 대한 이론적 논거를 제시한 것으로 유명하다. ‘현대적 삶을 그리는 화가(Peintre de la vie moderne)’가 그 대표작이다.

    여기서 그는 콩스탕탱 기(Constantin Guys, 1802~1892)라는 실존 화가를 사례로 들어가며 천재적 예술가의 특질을 자세히 묘사했다. 하지만 나중에 이 글은 일종의 ‘실패한 천재론’으로 간주됐다. 사례로 든 화가가 보들레르의 확신처럼 그다지 위대한 예술가가 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오히려 이 화가는 이 시대의 다른 아류(pompier)로 분류될 만큼 평가절하되었다.

    보들레르가 제대로 발견하지 못했던 예술가들이 후일 19세기를 대표하는 화가로 인정받은 점을 감안하면 같은 시대를 살고 있는 위대한 예술가를 알아보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알 수 있다.

    그럼에도 그가 사례로 든 화가만 제외한다면 보들레르의 글은 오늘날에도 매우 유효한 예술가론으로 평가받을 만하다. 특히 예술가와 ‘세계의 인간(l’homme du monde)’에 대한 그의 구분은 오늘날의 미술이론에서도 충분히 고려할 만한 비평적 관점을 지닌다.

    그는 “세계의 인간이란 세계 및 그것의 용도와 관련된 모든 놀랍고도 합당한 근거들을 이해하는 사람인 반면, 예술가는 그저 전문가에 불과한, 자신의 밭에 얽매여 사는 농노에 지나지 않는다”고 일갈했다.



    그는 “예술가란 그저 숙련된 기술을 지닌 무식한 사람들에 불과하며 세계의 인간은 이들과의 대화에서 금방 절망을 맛볼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한탄했다. 당대의 예술가, 즉 화가들에 대한 보들레르의 불신은 다소 극단적인 점이 없지 않다. 아마도 그가 콩스탕탱 기라는 화가를 통해 지적인 화가라는, 당시로서는 매우 희귀한 인물을 경험했던 것 같다.

    오늘날의 많은 예술가들은 아이로니컬하게도 보들레르가 정의한 이른바 ‘예술적 댄디(dandy)’, 즉 세계의 인간과 같은 의미의 카테고리에 들어가 있다. 보들레르가 시대를 지나치게 앞서간 것일까.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