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314

2021.11.12

“마포하우징으로 생애주기 맞춤형 주거 지원”

유동균 마포구청장 “생활밀착정책 펼 것”

  • reporterImage

    김우정 기자

    friend@donga.com

    입력2021-11-16 10:00:02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어릴 적 아버지의 사업 실패로 집 없이 산 적이 있어요. 집 없는 서러움을 누구보다 잘 압니다. 마포하우징 주택에 입주한 가족이 “마음이 놓이고 미래가 열린 것 같다”고 기뻐하는 모습을 보며 구청장으로서 보람을 느꼈어요.”


    유동균 서울 마포구청장. [조영철 기자]

    유동균 서울 마포구청장. [조영철 기자]

    “집 없는 서러움 잘 알아”

    “구정(區政)을 펼치면서 보람을 느낄 때가 언제냐”는 질문에 대한 유동균 서울 마포구청장의 답이다. 유 구청장은 1995년 마포구의회 의원을 시작으로 서울시의회 의원을 거쳐 26년간 지역 현안을 두루 살핀 ‘마포맨’이다.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당시 구청장에 출마해 일찌감치 ‘MH마포하우징’ 제도를 공약했다. 갑작스러운 재난이나 사고로 주거지를 잃은 주민에게 임시 거처 및 공공임대주택을 제공하는 것이 뼈대다. 당시 선거캠프 참모들은 실현 가능성이 높지 않다며 회의적이었다고 한다. 서울 마포구청사 사무실에서 마주한 유 구청장은 “내 생각은 달랐다. 당장 기댈 곳 없는 이웃이 적잖고 그들을 돕는 것이 구청장의 책무라고 봤다”며 말을 이어갔다.

    “평소 영국 경제학자 콜린 클라크의 ‘정치꾼은 다음 선거를 준비하고 정치가는 미래 세대를 위해 준비한다’는 말이 인상 깊었다. 주민의 장래를 위하고 주민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사업이 무엇일지 고민했다. 장기적 안목에서 주거 안정이 필수라고 생각했다.”

    기초자치단체 차원의 주거복지정책은 어떤 것인가.

    “정부와 광역자치단체가 주거정책의 큰 그림을 그리더라도, 세부 사항은 기초자치단체가 챙기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현재까지 마포하우징 주택 135호를 확보했고 앞으로 3~5년 내 150호 운영을 목표로 하고 있다. 주거복지제도는 궁극적으로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으로 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아직까지 마포하우징도 일종의 임대주택 지원에 중점을 두고 있으나, 앞으로 좀 더 세분화해 발전시키고자 한다. 주민 생애주기에 맞춰 청년주택, 신혼부부주택, 케어안심주택, 국가유공자주택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신혼부부주택의 경우 육아시설을 함께 두고, 어르신을 위한 케어안심주택에는 간호사를 상주케 해 건강을 체크하는 식이다.”



    주민 만족도는?

    “높은 편이다. 마포하우징 주택 1호 입주 가족(2019년 4월 입주)의 사연이 특히 기억에 남는다. 가장이 운영하던 학원이 폐업해 빚을 지고 어렵게 살고 있었다. 네 식구가 월세 50만 원 고시원을 전전했다고 한다. 가장은 생활력이 강해 일용직 노동자로 어떻게든 가족을 먹여살리고 있던 터라, 주거 문제만 해결된다면 큰 힘이 되겠다 싶었다. LH(한국토지주택공사)와 무상임차계약을 체결해 주거지를 마련하고, 봉사활동단체 한국해비타트와 한샘 등 기업의 도움으로 내부도 수리했다. 화마로 집을 잃은 가족이 마포하우징 사업으로 거처를 마련하기도 했다. 7월 21일 성산2동 한 다가구주택에 불이 났다. 다행히 가족 4명은 다치지 않았지만 세간이 모두 불타 없어졌다. 보증금 4000만 원 월셋집인데, 보증금은 모두 수리비로 쓰이고 문자 그대로 길거리에 나앉게 된 것이다. 9월 마포구가 위탁 관리하던 주택에 새 보금자리를 마련했다. 어려움을 겪은 가족에게 이웃들이 가전제품과 생필품을 십시일반 마련해 건넨 것도 인상 깊었다.”


    “방역 협조 상인들에 감사”

    유동균 마포구청장이 서울 마포구 한 마포하우징 주택에서 시설 수리에 나섰다. [사진 제공 · 마포구청] [사진 제공 · 마포구청]

    유동균 마포구청장이 서울 마포구 한 마포하우징 주택에서 시설 수리에 나섰다. [사진 제공 · 마포구청] [사진 제공 · 마포구청]

    유 구청장이 집중하는 또 다른 현안은 지역경제 활성화. 마포구에는 홍익대 근처 ‘홍대거리’ 등 상권이 발달했다. 인근 연남동, 합정동, 상수동으로까지 확대돼 서울의 대표 번화가로 자리 잡았지만 젠트리피이션 등 과제도 만만찮다. 이에 대해 유 구청장은 “취임 당시에는 관련 법 제도가 미비해 젠트리피케이션 피해를 입은 상인들을 보호하기가 쉽지 않았다”면서 다음과 같이 덧붙였다.

    “구청장으로서 건물주들을 만나 ‘월세를 급격히 높여 상권이 침체되면 건물주와 세입자 모두 손해’라고 설득했다. 그 결과 임대·임차인, 마포구 간 ‘홍대지역 지역상권 활성화를 위한 상생협약’을 체결했다. (지난해 11월부터) 현재까지 협약 75건을 맺어 임대인은 적정 임대료 유지, 임차인은 상권 활성화, 마포구는 공공기반시설 확충에 힘쓰고 있다.”

    코로나19 사태로 소상공인 피해도 큰데.

    “매우 안타깝다. 코로나19 시대 관(官) 홀로 애써서는 위기 속 지역상권을 살리기 어렵다. 그런 점에서 방역에 적극 협조하는 지역 상인들에게 감사하다. 그간 영업에 여러 제약이 있었음에도, 소상공인들이 당장 이익보다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큰 희생을 감수했다. 마포구 공무원들도 단속보다 계도를 통해 공감대 형성에 주력하는 등 노고가 적잖았다. 11월 시작된 ‘위드 코로나’ 상황에서도 방역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동시에 성취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구체적 지원책은?

    “지난해 마포구 내 2만여 개 사업체에 ‘자영업자 생존자금’ 약 290억 원을 지급했고 중소기업육성기금 융자금 금리를 기존 1.5%에서 1%로 낮췄다. 소상공인에겐 2000만 원까지 무이자 융자 지원도 하고 있다. 지역상권 활성화를 위해 지난해 300억 원에 이어 올해 500억 원 규모로 마포사랑상품권도 발행했다.”

    향후 구정 방향을 묻자 유 구청장은 “주민이 당장 체감할 수 있는 생활밀착형 행정에 주력하고자 한다”고 답했다. 주민이 일상에서 효용을 느낄 수 있는 정책을 펴겠다는 것. 그가 “마포구뿐 아니라 서울시민이 맑은 공기를 누릴 수 있도록 도시의 허파를 만들겠다”며 추진한 ‘500만 그루 나무 심기’ 사업과 일맥상통한다. 서울화력발전소 지상부 공원 ‘마포새빛문화숲’은 물론, 도심 곳곳 자투리땅을 활용해 이미 222만여 그루를 심었다. 2027년까지 목표치 44%에 해당한다. 생활밀착형 정책의 구체적 방향을 묻자 유 구청장은 △주차난 해소 △체육시설 확충 △마포유수지 공영주차장 부지 ‘한류·공연관광 콤플렉스’ 조성을 꼽으며 다음과 같이 덧붙였다.


    도심 허파 만들 ‘500만 그루 나무 심기’

    10월 27일 마포구 ‘500만 그루 나무 심기’ 사업이 대한민국건강도시협의회 ‘대한민국 건강도시상 대상’을 수상했다.

    10월 27일 마포구 ‘500만 그루 나무 심기’ 사업이 대한민국건강도시협의회 ‘대한민국 건강도시상 대상’을 수상했다.

    “주차 공간이 부족하니 주민들은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불법주차를 할 수밖에 없다. 화재 등 위급 상황이 생겼을 때 소방차·구급차 진입이 어려운 점도 우려된다. 도심 주차장은 한 곳에 대규모로 조성하기보다 동네마다 조금씩 마련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주거 밀집지역 가까운 곳에 주차 공간을 확보했고 향후 더 늘릴 계획이다. 외국 속담에 ‘체육관을 많이 지으면 그만큼 병원이 망한다’는 말이 있다더라(웃음). 일상 속 운동이 그만큼 건강에 도움이 되지만, 집 근처에 이렇다 할 시설이 없으면 먼 나라 얘기다. 이 같은 주민의 일상 속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방법을 고심했다. 노후 주민센터를 다시 지을 때 설계 단계부터 복합시설을 마련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지하에 300~400대 규모 주차장을 마련하고 1층 육아시설, 2층 주민센터, 3~4층 체육시설, 5층 커뮤니티센터, 6~7층에는 신혼부부주택을 짓는 식이다.”

    *포털에서 ‘투벤저스’를 검색해 포스트를 팔로잉하시면 다채로운 투자 정보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김우정 기자

    김우정 기자

    안녕하세요. 주간동아 김우정 기자입니다. 정치, 산업, 부동산 등 여러분이 궁금한 모든 이슈를 취재합니다.

    [영상] “양도세 부담, ‘일시적 2주택’ 특례 적극 활용하면 이득”

    비례대표 의석수 전망… 민주연합 13석+α, 조국혁신당 12~15석, 국민의미 ...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