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795

2011.07.11

간결함과 속도감…김훈 문체의 3가지 매력

문체는 또 다른 편집력

  • 김용길 동아일보 편집부 기자 harrison@donga.com

    입력2011-07-11 13:33: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간결함과 속도감…김훈 문체의 3가지 매력

    작가 김훈은 자신의 역사소설 ‘칼의 노래’ ‘현의 노래’ ‘남한산성’을 통해 전쟁과 죽음이라는 극단적 상황 앞에 선 인간의 허무를 남성적 문체로 그려냈다.

    ‘지(知)의 편집공학’ 저자 마쓰오카 세이고는 편집을 “대상의 정보 구조를 해독하고 그것을 새로운 디자인으로 재생하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이 개념을 기반으로 편집력을 재정의한다면 “산재한 사실과 얘기를 취사선택하고 가공해 완결된 콘텐츠로 종합 구성하는 능력”이라고 볼 수 있다.

    작가는 원천 이야기를 생산하는 스토리텔러다. 독특한 표현과 전개 방식으로 독자에게 감동을 선사하는 언어의 마술사다. 작가는 자신의 텍스트를 편집해줄 출판사 편집자를 만나기 전에 이미 스스로 최초 편집자로서 편집력을 발휘한다. 즉, 자신의 스토리를 가장 감동적으로 전달할 문체를 찾는다. A작가와 B작가를 구분하는 잣대 중 하나가 문체다. 문체는 스타일이다. 당신의 스타일이 당신의 존재 양식이다. 스타일은 시대, 사상, 문화에 따라 일률적이지 않고 독특한 것을 뜻한다. 정형화한 기존 양식이 아니라 새로운 것으로 한 시대를 풍미하는 트렌드를 가리킨다.

    2000년대 들어 한국 문단 최고의 스타일리스트는 단연 김훈이다. 그는 “스타일리스트라는 말은 대체로 나를 비난할 때 쓴다”면서도 “나는 그 말에 자부심을 느낀다”고 말한다. 김훈에게 문장 스타일은 겉멋이 아니다. 그의 내용이자 형식이다. 그가 세상을 들여다보는 앵글이다.

    ‘김훈다움’은 기존 이야기를 자기 식대로 재해석하고 재창조하는 데 있다. 김훈을 거치면 이순신이나 남한산성 이야기는 새롭게 탄생한다. ‘칼의 노래’를 통해 박제화한 ‘성웅 이순신’은 고뇌하는 ‘인간 이순신’으로 변신한다. 역사소설을 통해 본 김훈의 문체 매력을 편집력의 관점에서 세 가지로 추려 배울 점을 알아본다.

    첫째, 주어와 동사로 승부하라. 수사적 군더더기를 빼라. 김훈은 작가로서 문장력을 다지려고 법전으로 공부했다고 한다. 그는 “군더더기 없는 문체, 명석 명료한 문장을 구사하려고 법전을 많이 읽었다”고 밝혔다. “기본적으로 글이란 전술과 전략을 갖고 쓰는 것이다. 아주 치밀하게 접근해야 좋은 글이 나온다. ‘칼의 노래’ 첫 문장은 ‘버려진 섬마다 꽃이 피었다’이다. 폐허가 된 남해안을 이것보다 절묘하게 묘사한 문장이 있을지 모르겠다. 수백 번 고민한 후에 쓴 구절이다.” 김훈은 형용사와 부사를 부리지 않고 주어와 동사로만 밀고나가는 문체를 구사했다.



    둘째, 최적의 문체 장단을 찾아라. 주제를 확실히 드러내는 자기만의 문체를 만들어라. 그는 소설마다 언어적 장단을 변주한다. 그게 텍스트와 문체의 궁합으로 나타난다. ‘난중일기’에서 힌트 얻은 ‘칼의 노래’는 삶과 죽음이 교차하는 군인의 문장이다. 그래서 긴박감 넘치는 단문적 속도감이 물씬하다. 김훈은 말한다. “글을 쓸 때 문장 안에 음악이 있어야 합니다. (…) 논리와 사변을 확보한다 하더라도 음악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전에 에세이를 쓸 때는 진양조 문장을 썼어요. 한없이 뻗어가는 스물네 박자짜리 진양조 문장을 굉장히 좋아했습니다. (…) ‘칼의 노래’를 쓸 때는 진양조를 버리고 휘모리로 갔습니다. 짧은 문장으로 마구 휘몰고 나간 겁니다. ‘현의 노래’를 쓸 때는 중모리나 중중모리로 밀었습니다. 체력이 덜 들어가고 문장이 편안합니다.”(계간지 ‘문학동네’에서)

    셋째, 현미경 같은 사실주의로 칼날같이 취재하라. 그는 서사를 장황하지 않게 압축적으로 전개한다. 모든 묘사와 서술은 사실에 기반한다. 그는 ‘칼의 노래’를 구상할 때 여러 날을 충남 아산시 현충사를 찾아 장군의 큰 칼 앞에서 종일 서성거렸다. ‘남한산성’을 쓰기 전엔 한 계절 동안 산성을 자전거로 오르내렸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