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1008

2015.10.12

순수한 열정 vs 중후한 매력

칠레의 보르도 와인 ‘알마비바’

  • 김상미 와인칼럼니스트 sangmi1013@gmail.com

    입력2015-10-12 15:48: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순수한 열정 vs 중후한 매력

    알마비바 와이너리의 와인 숙성실(왼쪽)과 전경.

    알마비바(Almaviva). 와인 애호가라면 알마비바 와인을, 클래식 음악 애호가라면 오페라에 등장하는 알마비바 백작을 떠올릴지도 모르겠다. 로시니의 오페라 ‘세비야의 이발사’에서 백작은 사랑하는 여인 로시나의 마음을 얻기 위해 그의 집 창 아래에서 ‘Ecco Ridente In Cielo’를 부른다. ‘보라, 하늘에서 미소가’라는 뜻의 감미로운 세레나데다. 알마비바 와인을 마시다 보면 괜스레 미소가 지어진다. 와인이 내게 매혹적인 사랑의 노래를 불러주는 것만 같아서다.

    짙고 선명한 루비빛, 순수하면서도 힘차게 다가오는 농익은 베리향, 거기에 절묘하게 어우러진 바닐라, 다크초콜릿, 그리고 고추의 매콤함까지. 한 입 머금으면 타닌이 입안에 벨벳처럼 퍼지면서 묵직하게 혓바닥을 누른다. 목으로 넘긴 뒤에도 진한 향은 오래도록 입안을 맴돌고, 손은 나도 모르게 또다시 와인잔으로 향한다.

    ‘칠레가 만드는 보르도 와인.’ 알마비바의 별명이다. 알마비바는 칠레 최대 와이너리인 콘차 이 토로(Concha y Toro)와 프랑스 보르도(Bordeaux)의 1등급 그랑크뤼 클라세(Grand Cru Classe) 와이너리인 무통 로쉴드(Mouton Rothschild)가 함께 만든 와인이다. 보르도의 전통과 기술력이 칠레의 테루아르(토양)를 만나 탄생한 명품이다. 보르도와 칠레의 합작을 상징하듯 레이블 문양도 화합을 의미한다. 붉은 동그라미 안에 가로와 세로를 가로지르는 선, 그리고 그 위에 그려진 곡선과 점들은 칠레 원주민 마푸체(Mapuche) 족이 제사 때 쓰는 북인 쿨트룬(Kultrun)에 그리는 무늬로, 땅과 우주를 뜻한다.

    순수한 열정 vs 중후한 매력

    알마비바 와인.

    콘차 이 토로는 알마비바를 생산하기 위해 소유한 포도밭 가운데 가장 우수한 푸엔테 알토(Puente Alto)를 내줬다. 자갈이 많고 일교차가 큰 푸엔테 알토는 칠레 와인 산지 중에서도 카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을 기르기에 최적지로 평가받는 마이포밸리(Maipo Valley)에 위치한다. 한낮의 뜨거운 태양은 포도 안에 당분을 축적하고, 서늘한 밤공기는 포도 안의 산도를 유지케 한다. 척박한 토양은 포도나무를 단련해 열매가 더 많은 양분과 농축된 향미를 품게 만든다.

    그렇게 생산한 최고의 포도를 원료로 명품 와인을 제조하는 일은 무통 로쉴드의 양조팀이 담당한다. 알마비바는 카베르네 소비뇽 60~70%, 카르미네르(Carmenere) 20~30%, 그리고 카베르네 프랑(Cabernet Franc), 프티 베르도(Petit Verdot), 메를로(Merlot)를 조금씩 블렌딩해서 만든다. 프랑스 보르도에서 카르미네르가 사라지기 전 레드 와인을 만들던 비율이다. 하지만 이제는 칠레의 상징이 된 카르미네르가 섞임으로써 알마비바는 단순히 보르도 맛을 재현한 것이 아닌, 칠레만의 칠레다운 맛을 보여주고 있다.



    레이블에 적힌 알마비바 로고는 ‘세비야의 이발사’와 ‘피가로의 결혼’ 원작자인 보마르셰(Beaumarchais)의 친필이다. ‘세비야의 이발사’에서 알마비바 백작은 로시나를 열렬히 사랑하지만, 후속작인 ‘피가로의 결혼’에선 로시나와의 결혼생활에 권태기를 맞았는지 바람기를 드러낸다. 그 때문일까. 알마비바 와인은 마시는 사람에 따라 젊은 백작의 순수한 열정이 느껴질 수도 있고 바람둥이 백작의 중후한 매력을 느낄 수도 있다. 어떤 맛을 느낄지, 그것은 오롯이 알마비바를 마시는 사람의 몫이자 권리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