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532

2006.04.25

“잘 고른 예술영화 한 편 열 블록버스터 안 부러워요”

  • 입력2006-04-19 17:38: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잘 고른 예술영화 한 편 열 블록버스터 안 부러워요”
    서울 압구정동 CGV 뒷골목에 있는 ‘스폰지’ 사무실에는 정말로 스펀지가 있다. 조성규 대표의 책상 뒤에 열대어를 기르는 어항이 세 개 나란히 놓여 있는데, 그 속에 일종의 수질정화 기능을 갖춘 스펀지가 숨겨져 있다. 영화사 이름이 무슨 무비가 아니라 스폰지라니!

    그러나 생각해보면 ‘스폰지’가 하는 역할은, 그 어항 속의 스펀지처럼 우리 영화계의 정화작용이라는 생각도 든다. 흥행이 되는 블록버스터나, 톱스타가 나온 영화들만 수입해서 한몫 잡으려는 한탕주의식 영화 수입은 우리의 사고를 단순화하고 문화를 획일화한다. 만약 스폰지가 없었다면? 개인적으로 나는 지난 몇 년 동안 훨씬 불행했을 것 같다.

    영화 마니아들을 흥분시킨 이누도 잇신 감독의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이나 ‘메종 드 히미코’,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을 영화화한 ‘토니 타키타니’ 혹은 재일교포 최양일 감독의 ‘피와 뼈’나 이상일 감독의 ‘식스티 나인’, ‘시티 오브 갓’으로 새로운 감수성을 보여준 브라질 출신의 페르난도 메리렐레스 감독의 신작 ‘콘스탄트 가드너’ 중 한 편이라도 본 사람이라면, 돈이 되지 않을 것 같은 이런 예술영화들을 꾸준히 수입해서 배급하는 영화사 스폰지의 조성규 대표에 대해 충분히 궁금해할 만하다.

    “2002년 1월, 스폰지를 차렸을 때만 해도 주위에서는 미친 짓 아니냐며 싸늘하게 쳐다봤지만 지금은 우군이 많이 늘었다. 스폰지라는 이름에서 느껴지는 무엇인가를 흡수한다는 이미지가 좋았다. 해외 영화인들도 스폰지라는 이름을 듣고 재미있어한다.”

    ‘조제, 호랑이~’, ‘메종 드 히미코’ 작지만 알찬 성공



    스폰지의 성과는 지난해부터 가시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서울에서 단관 개봉했던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이 4만 명 이상의 관객을 모으면서 1년 가까이 롱런한 것이다. 그리고 그 여파는 올해 초 종로의 시네코아 극장 중 한 개관을 ‘스폰지 하우스’로 명명하고 운영을 위임받아 개봉한 첫 번째 영화 ‘메종 드 히미코’로 이어졌다. 지금까지 전국 관객 9만 명이 든 이 영화는 아직도 지방을 순회상영 중이다. 물론 ‘왕의 남자’의 1000만이 넘는 관객과는 비교할 수 없지만, 어떤 의미에서는 그보다 훨씬 위대한 숫자라고 생각한다.

    스폰지는 ‘거칠마루’와 ‘온 더 로드2’를 제작했지만 상업적으로 실패했다. ‘거칠마루’는 3000명, 윤도현 밴드의 유럽 투어 다큐멘터리 ‘온 더 로드2’는 그 인원도 안 된다. 스폰지는 영화제작 외에 외화의 수입 홍보 배급, 그리고 DVD와 O.S.T 출시까지 하고 있지만, 최근에는 유통 시스템 확보에 노력하고 있다. ‘종로 스폰지 하우스’에 이어 압구정동에 있던 ‘씨어터2.0’을 인수받아 4월27일 ‘압구정 스폰지 하우스’라는 이름으로 개관한다. 부산, 대구, 인천 등에서도 이런 작은 극장을 운영할 계획을 갖고 있다.

    “지금까지 시네큐브, 나다 같은 극장에서 우리 영화를 틀어주었다. 불편한 것은 없지만, 그래도 장기적으로 봤을 때 시스템이 있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튜브 엔터테인먼트가 이사 가면서 압구정동의 ‘씨어터2.0’을 좋은 조건으로 인수받았다. 좌석 수는 80석이고, 위치도 좋지 않다. 100% 확신이 드는 것은 아니지만, 우리 콘텐츠를 활용하면 잘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잘 고른 예술영화 한 편 열 블록버스터 안 부러워요”

    ‘메종 드 히미코’

    ‘씨어터 2.0’을 인수받는 과정 중에 소방법이 바뀌어 지금 소방공사를 하고 있고, 첫 작품으로는 전설적 밴드 ‘너바나’의 자살한 리드 싱어 커트 코베인의 일대기를 다룬, 구스 반 산트 감독의 ‘라스트 데이즈’를 상영할 계획이다. 90년대 문화적 감수성의 성감대를 건드린 커트 코베인의 이야기는 많은 대중이 관심을 갖고 있다. 확대 개봉할 수도 있지만, 일부러 종로와 압구정동 두 곳의 스폰지 하우스에서만 개봉한다. 이게 스폰지의 전략이다. 희소성을 높이고, 스폰지 하우스의 존재를 영화 소비자들에게 각인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일본 영화제도 개최할 계획인데, 2004년에서 2006년 사이에 개봉된 일본의 인디 영화 중 관객들의 반응이 좋았던 10편을 골라 개봉한다. 영화제 기간에만 상영하는 것이 아니라 정식으로 수입심의를 거쳐 개봉하는 영화들이다. 극장 개봉이 끝나면 DVD로 출시하고, 지상파 TV에 판매하는 절차도 밟는다. 오늘의 스폰지를 있게 한 효자 상품 ‘조제…’와 ‘메종 드 히미코’의 이누도 잇신 감독의 다른 작품도 계약돼 있지만 “예전 작품처럼 반응을 얻을지는 모르겠다”고 한다.

    스폰지의 영화 배급이 전국 5, 6개관의 소규모라고만 생각하면 오산이다. 스칼렛 요한슨 주연의 ‘인 굿 컴퍼니’는 전국 100여개 관에서 개봉했고, 25만 명의 관객이 들었다. 개봉 첫 주에 전국 100개 관을 잡는 것은 어렵지 않다. 문제는 그것을 얼마나 오래 지속시키는가 하는 점이다. 메이저 배급사에서 눈여겨보지 않는, 그러나 재미있고 작품성이 뛰어난 영화를 적은 돈으로 구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스폰지의 노하우는 무엇일까.

    “영화제에 가지만, 그 자리에서 구매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또한 레이더망에 안 걸린 영화가 있나 찾아보지만, 그런 경우도 거의 없다. 대부분 기존에 거래하던 회사들과 미팅하면서 작품을 구입한다. 주요 거래처인 일본 회사와는 전화로 상담을 한다. 영화제보다는 시스템을 가동해서 움직인다. 스폰지가 사랑하는 감독들과 빔 벤더스나 기타노 다케시, 짐 자무시 등 거장들의 신작과 국내 미개봉된 그들의 예전 작품들을 라이브러리 차원에서 구입하고 있다.”

    그러나 조 대표는 더 깊게 파고들고 싶지는 않다고 했다. 가령 백두대간처럼 타르코프스키나 앙겔로폴리스의 작품을 구입하지 않을 것이고, 그보다 더 어려운 영화는 ‘필름포럼’에서 다룰 것이기 때문에 스폰지는 사람들이 친근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영화만을 취급하겠다는 것이다.

    영화사 백두대간에서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 등 예술영화를 수입하기 시작한 94년쯤 이런 종류의 영화를 좋아하던 사람들이 모인 것이 현재의 스폰지까지 오게 됐다. 스폰지는 영화사 백두대간 이전, 예술영화를 소개하던 문화학교 서울이나 코아아트홀의 연장선상에서 일을 하고 있다.

    “스폰지는 비즈니스 업체 아닌 일종의 영화공동체”

    “영화를 시작한 지 올해로 10년이 됐다. 지금까지 영화 말고는 해본 일도 없고 할 생각도 없다. 영화사 스폰지는 비즈니스가 아니라 일종의 영화공동체다. 밖에서는 우리가 문화적 소명의식을 갖고 있는 것처럼 생각하는데, 우리는 재미있어서 하는 것이다. 우리가 하는 것을 예술영화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한국 영화와 할리우드 상업영화 사이에 굉장히 많은 영화들이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그걸 전부 예술영화라고 부른다. 배급의 규모는 와이드 릴리즈에 비해 한 단계 작고, 메이저 영화 쪽에서 보면 인디영화 수준이다. 그러나 우리가 소개하는 알모도바르 감독의 영화도 고국인 스페인의 박스오피스에서는 항상 1위를 기록하고, 프랑스에서도 박스오피스 2위나 3위를 하는 영화다. 즉 대중성이 있는 영화들이다.”

    스폰지 사무실에서 일하는 직원은 모두 12명으로, 독특한 조직구조를 갖고 있다. 한 가지 업무만 하는 사람은 해외/배급/극장/시나리오 파트의 4명뿐이다. 나머지 8명은 한 편의 영화를 수입부터 홍보, 배급, DVD와 O.S.T 출시, 자금 결산까지 소비과정 전체를 담당한다. 즉, 동시에 8편의 영화를 개봉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춰져 있는 것이다. 그래서 회사에는 경리가 없다. 홍보를 안 하는 작품은 1원도 지출하지 않는다. 소문 없이 개봉해도 그 영화를 보고 싶은 사람은 극장을 찾아온다는 것이다.

    “우리 영화를 보는 사람들이 누군지 이제는 안다. 커뮤니티는 해외의 좋은 네트워크나 투자자 같은 어떤 인적 파워보다도 중요하다. 스폰지의 강점은 직원들이 모두 우리 영화를 보는 사람들을 알고, 그들과 소통하고 있다는 것이다. 네이버에 카페 ‘스폰지 하우스’를 만들어 3년 동안 그 작업을 했다. 현재 회원이 6500명이다. 공개 카페이기는 하지만 실명으로 가입 신청을 해서 승인받아야 들어올 수 있다. 찾아오기 힘들게 해놓았다. 그러나 하루 4000명이 방문할 때도 있다. 1만 명의 예술영화 핵심 관객 중 반 정도는 ‘스폰지 하우스’에 들어온 것 같다. 우리가 하고 싶은 영화와 그들이 보고 싶은 영화를 적절히 섞어서 하고 있다.”

    그는 감정이입을 잘한다. 드라마나 쇼 프로그램을 보면서 눈물도 많이 흘린다. 어렸을 때부터 영화를 많이 볼 수 있는 일을 하고 싶었고, 자신이 좋아하는 영화를 다른 사람에게 소개하고 싶었다. 요즘 만나고 함께 생활하는 사람들도 일과 사적인 구분이 거의 없다. 영화를 빼면 남는 게 하나도 없다. 유일한 취미가 물고기 키우기다. 그러나 영화 일 안 하면 완전히 끊을 생각도 있다. 지금까지 손과 입으로만 살아서, 육체노동을 하며 살고 싶은 욕망, 한국 아닌 다른 공간에서 살고 싶은 욕망도 있다.

    “올해 새로운 도전은 ‘조제…’나 ‘메종 드 히미코’ 같은 성공작을 한국 인디영화에서 찾는 것이다. 2만~3만 관객을 모을 수 있는 좋은 한국 인디영화가 나와줘야 한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