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789

2011.05.30

고쳐야 할 병, 자살 우울증 ‘쉬쉬’하지 말라

연이은 자살 예방법

  • 손석한 연세신경정신과 원장·의학박사 psysohn@chollian.net

    입력2011-05-30 10:26: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고쳐야 할 병, 자살 우울증 ‘쉬쉬’하지 말라
    5월 23일 MBC 스포츠플러스 송지선 아나운서가 자택에서 투신자살했다. 그는 프로야구 선수 A씨와의 스캔들에 휘말려 심적 고통이 심했다고 한다. 22일에는 경기 파주에서 40대 후반 윤모 씨가 자신의 승용차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그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공사)의 토지 개발 보상금 지연으로 은행 대출 이자에 시달리다 결국 빠른 보상을 촉구하는 유서를 쓰고 자살했다. 4월까지는 카이스트 학생 4명과 교수 1명의 잇따른 자살로 세상이 시끄러웠다. 대한민국은 지금 자살하는 사람이 넘쳐난다. 사람들은 왜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것일까.

    자살 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가장 먼저 생각해야 할 것은 우울증이다. 갑작스레 우울증에 빠져 자살할 수도 있고, 만성 우울증에서 벗어나지 못해 자살을 선택하기도 한다. 어려운 현실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도피 심리도 있다. 열심히 살려고 아무리 발버둥 쳐도 배고픔과 가난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사람은 자살이 자신을 구원해주리라 여긴다. 자신에게 피해를 안긴 관련자에게 충격을 주려는 복수심의 발로로 자살을 선택하는 사람도 있다.

    이유가 무엇이든 분명 잘못된 선택

    자신의 심적 고통을 해결하는 마지막 수단으로 자살을 선택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연이은 사업 실패로 거리를 방황하다 자살을 시도했지만 결국 살아났다는 식의 얘기를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한때 자살을 생각했을 만큼 힘들었다는 유명인의 고백도 심심치 않게 들려온다. 정신분석학적 차원에서 자살은 자신을 향하는 공격성의 결과다.

    그 밖에 자살의 정신의학적 이유로는 보복 차원에서의 포기, 힘과 통제(또는 지배)를 획득하는 수단, 죽은 사람과의 재결합 소망, 자기 징벌의 의미, 재생으로서의 죽음, 집단적 압력에의 굴복 등이 있다. 하지만 이유가 무엇이든 자살은 분명 잘못된 선택이다. 종교에서 가장 죄악시하는 자살, 그리고 정신의학에서 자신을 향한 극단적 공격성과 적대감의 표현으로 보는 자살은 결코 용납할 수 없는 행위다. 이런 행위를 미화하는 것도 절대 안 될 일이다.



    사람들은 보통 타인의 자실에 대해 ‘그래, 신체적 고통이 너무 심하면 죽고 싶을 수 있어’ ‘홧김이나 술기운에 충동적으로 자살을 시도할 수 있겠지’라고 생각하고, 이번 송씨의 자살에 대해서도 ‘얼마나 힘들었으면 목숨을 끊었을까’라는 반응을 보인다.

    고쳐야 할 병, 자살 우울증 ‘쉬쉬’하지 말라
    그러나 정신과 전문의인 필자의 견해는 다르다.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자살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우울증을 의심해야 한다. 혹여 독자는 “당신이 정신과 전문의니까 다 그렇게 보는 것 아니냐?”고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그렇다. 필자는 정신과 의사이기 때문에 인간의 정신적 문제, 질병, 건강을 살펴보고, 바로 그 정신적 문제에서 비롯하는 말과 행동을 늘 눈여겨본다. 지금 이 순간 신체적 고통을 안겨주는 병마와 싸우는 수많은 환자와 화가 치밀어 오른 보호자의 모습을 떠올려보라.

    또한 잘못된 소문과 다른 사람의 비난 때문에 힘들어하는 이도 꽤 있을 것이다. 그들이 모두 자살을 선택할까.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다면 자살을 한두 번 생각해봤을까. 가능성 있는 얘기다. 그러나 일부 사람만 그렇다. 즉, 살면서 누구나 다 심신의 고통을 경험하지만, 그 순간 ‘자살’을 떠올리거나 행동으로 옮기지는 않는다. 이것이 정상적인 인간의 행동이다.

    주변의 관심과 ‘지지체계’ 작동 필요

    고쳐야 할 병, 자살 우울증 ‘쉬쉬’하지 말라

    최근 프로야구 선수와 스캔들에 휘말렸던 고 송지선 아나운서. 우울증 증세를 보이던 그는 심적 고통을 이기지 못하고 자살이라는 극단적 방법을 선택했다.

    자살을 생각하는 것 자체가 금기시돼 있고, 설령 그런 생각이 들더라도 남겨지는 가족과 여태 살아왔던 자기 인생의 가치, 스스로 용납할 수 없는 느낌, 지금의 괴로움을 벗어나고자 하는 용기, 미래에 대한 희망 같은 제어장치가 작동해 감히 행동으로 옮기진 못한다. 그런데 어떤 사람은 왜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선택을 할까. 그것은 그들이 아프기 때문이다. 기존의 신체적 질병이나 불같은 성격 외에 ‘우울증’이 어느 틈에 마음속에 자리 잡아 자라났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살은 우울증 등의 질병에서 비롯한 인간의 이상 행동이다. 우울증에 걸린 사람은 매사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미래에 대한 희망이 없다. 우울증에 걸린 뇌는 정신적 즐거움과 평온함을 담당하는 신경전달물질이 고갈돼 우울, 불안, 의욕 상실, 흥미 감소, 절망감 등 부정적인 감정을 만들어낸다. 감정 상태가 이러할진대 생각이 온전할 리 있겠는가. 살아도 사는 것이 아니라는 부정적 해석과 앞으로 이렇게 살면 의미가 전혀 없다는 부정적 예측이 사람으로 하여금 자살을 시도하게 만든다.

    자살을 시도하는 사람에게는 결정적인 자극이 있다. 환자에게는 의사의 사형 선고나 부정적인 치료 예후 설명, 청소년에게는 부모님의 심한 잔소리와 꾸지람, 학생에게는 선생님의 심한 모욕과 체벌, 여성에게는 강간이나 폭행, 부모님에게는 자녀의 반항이나 불행한 집안일, 남성에게는 직장에서의 해고나 사업 실패, 노인에게는 배우자의 사망 등이다. 고개가 끄덕여질 만큼 큰 불행도 있지만 “아니, 그 정도 일로?”라는 사소한 자극도 있다.

    여하튼 자극에 대한 인간의 반응이 자살이라는 행동으로 이어지는 것은 비정상적인 현상이다. 극단적인 이상 행동을 보이기 전에 그런 사람에게는 정신과 치료가 필요하다. 자살은 고쳐야 할 병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예방 차원 외에는 치료할 수 없는 무서운 병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일반인이 도울 수 있는 부분은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관심’이다. 이번 송씨 자살 사건에서 보듯이, 자살을 시도하기 전 일종의 신호를 주변에 보내곤 한다. 그는 5월 7일 자신의 트위터에 자살을 암시하는 글을 올렸다. 이 글을 본 지인의 신고로 당시 경찰과 119구조대가 출동했고, 이 사실이 언론에 보도되면서 화제를 모았다. 사람들은 당시 송씨의 트위터 사건을 해프닝 정도로 간주했다.

    이미 지난 일이지만, 그가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적극 나섰어야 했다. 그런데 또 다른 큰 문제는 사람들이 이런 암시에도 “요즘 세상에 힘들지 않은 사람이 어디 있느냐”라는 식의 무관심, 비(非)대응을 보인다는 점이다. 사회적으로 반성이 필요한 부분이다. 특히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 등 유명인은 더욱 위험하다. 일반인에 비해 자살 위험성이 더 높다고 할 수는 없지만, 주변에 알려질까 봐 두려워 쉬쉬하다 보면 전문의의 치료를 제대로 받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주변의 관심이란 가족과 친구 등의 ‘지지체계(Support System)’에서 나온다. 지지체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아예 없을 경우 우울증과 자살에 더 쉽게 노출된다. 특히 혼자 지내는 사람은 지지체계가 매우 미약하다. 자살을 암시하는 사람이 주변에 있다면 반드시 정신과 전문의의 치료를 받도록 권하는 것이 비극을 막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다시 한 번 말하지만 자살은 고쳐야 할 병이기 때문이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