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의 화랑’ 한국스카우트 일군 독립운동가 관산 조철호 선생

한국스카우트 시초 조선소년군 창설 100주년 기념식 10월 5일 중앙고 개최

  • reporterImage

    최진렬 기자

    display@donga.com

    입력2022-10-03 10:00:01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조선소년군을 창설한 조철호 선생(왼쪽). 1922년 10월 5일 중앙고보 뒤뜰에서 중앙고보 체육교사 조철호 선생(맨 오른쪽)과 학생 8명이 조선소년군 발대식을 가졌다. [사진 제공 · 조선소년군 창설 100주년 준비위원회]

    조선소년군을 창설한 조철호 선생(왼쪽). 1922년 10월 5일 중앙고보 뒤뜰에서 중앙고보 체육교사 조철호 선생(맨 오른쪽)과 학생 8명이 조선소년군 발대식을 가졌다. [사진 제공 · 조선소년군 창설 100주년 준비위원회]

    1922년 10월 5일 오후 4시 30분쯤 중앙고보(현 중앙고) 뒤뜰 솔밭에 학생 8명이 모였다. 중앙고보, 배재고보, 수송보통, 협성학교, 제일고보 등 소속 학교도 제각각이었다. 한국스카우트의 시초로 불리는 조선소년군이 탄생한 순간이다. 이들을 모은 사람은 독립운동가이자 중앙고보 체육교사였던 조철호 선생. 조선소년군 창설자인 조철호 선생은 평소 “너희는 이 민족의 화랑이다. 민족을 일깨우는 선봉이 돼라”고 훈육했다. 이날 학생 8명으로 시작된 조선소년군은 15년 만에 1만여 명 단원을 가진 전국 조직으로 성장한다.

    8명이 1만여 명 되기까지

    ‘조선소년군 창설 100주년 기념식’이 10월 5일 중앙교우회·한국스카우트연맹 주최로 서울 종로구 중앙고에서 열린다. 정문헌 종로구청장과 강태선 한국스카우트연맹 총재(비와이엔블랙야크 회장) 등이 축사를 하는 이번 행사에는 기념 헌화식과 조선소년군 발대식 재연 등이 예정돼 있다. 행사 백미는 중학생부터 시니어 모델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사람이 전 세계 스카우트 단복을 입고 벌이는 퍼레이드다. 주최 측인 중앙교우회의 성호환 사무국장은 “조선소년군 창설 100주년을 축하하는 뜻깊은 자리인 만큼 행사장이 즐거운 분위기가 되도록 준비했다”고 말했다.

    “먼저 사람이라는 그 자체의 개조로부터 시작해 이 사회의 모든 허식과 악습을 바꾸고자 함이외다. 사람의 시초인 소년의 개조에 착수해 그들로 하여금 사회를 위하고 자기를 위하기에 최적절한 자각과 시련을 갖게 하고 함이외다.”

    조선소년군을 창설한 독립운동가 관산(冠山) 조철호 선생의 지론이 담긴 말이다. 대한제국 황립무관학교 생도였던 그는 일제가 학교를 폐교하고 생도 43명을 일본 육군사관학교로 편입시키자 졸업 후 휴직장교 신분으로 귀국한다. 지청천 한국광복군 총사령관이 그의 동기다. 당시 황립무관학교 동기들은 “기왕 군사 교육을 배우려고 왔으니 끝까지 배워 임관 후 중위가 되는 날 모두 탈출해 광복에 나서자”고 뜻을 모았다고 한다. 조국에 돌아온 그가 시작한 일은 소년군 육성이었다. 1919년 파리강화회의 소식을 듣고 소년군 발기를 꿈꾼 조철호 선생은 중앙고보에서 교편을 잡으며 이를 본격화한다.

    조철호 선생은 중앙고보에서 옛 한국군 교련 방식인 체육교련을 하며 학생들의 독립사상을 북돋았다. 카이저 수염을 기른 채 군대식 걸음으로 활보하는 모습에 ‘계동 호랑이’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지만 학생들은 조철호 선생을 적극적으로 따랐다. 그의 가르침 아래 조선소년군 1호대 대원으로 활동하던 오봉환은 6·10 만세운동 당시 조철호 선생과 함께 체포되기도 했다. 오봉환은 탈옥 후 의열단에 입단해 독립운동을 이어갔다.



    조선소년군 창설 무대였던 중앙고 전경. [사진 제공 · 조선소년군 창설 100주년 준비위원회]

    조선소년군 창설 무대였던 중앙고 전경. [사진 제공 · 조선소년군 창설 100주년 준비위원회]

    일제가 문제 삼은 조선소년군 휘장. [사진 제공 · 조선소년군 창설 100주년 준비위원회]

    일제가 문제 삼은 조선소년군 휘장. [사진 제공 · 조선소년군 창설 100주년 준비위원회]

    일제 탄압에도 일어날 수 있었던 까닭

    조선소년군의 명맥이 이어진 데는 뜻을 같이한 분들의 도움이 있었다. 특히 중앙고보 교장이던 인촌 김성수 선생의 역할이 컸다. 옥고를 마친 조철호가 중앙고보에서 체육교사로 활동할 수 있도록 도와준 인물도 그였다. 인촌 선생은 조선소년군 발대식에 참석하는 등 물심양면으로 도왔다.

    조철호는 조선소년군 창설 이후에도 숱한 고초를 겪었다. 급기야 일제의 탄압 탓에 고국을 떠나 북간도에서 학생들을 지도하는 처지가 됐다. 당시 자금 마련을 위해 귀국했다 일제에 체포되는 일이 있었는데, 인촌 선생의 신원보증으로 풀려날 수 있었다. 이후에도 인촌 선생은 사정이 딱한 조철호가 동아일보 발송부장으로 일하도록 배려하는 등 지원을 아까지 않았다.

    조선소년군 역시 일제의 탄압을 비켜가지 못했다. 1937년 7월 파고다공원에서 개최된 시국강연회에서 봉사활동을 하던 조선소년군 대원들이 착용한 항건의 태극문양과 무궁화 휘장 등을 트집 잡아 일제가 탄압에 나선 것이다. 그리고 조선소년군을 일본 보이스카우트 ‘건아단’에 편입할 것을 강요했는데 이는 친일단체로 전환을 의미했다. 결국 조선소년군은 같은 해 9월 3일 자진 해산을 결정한다. 조국 독립을 보지 못한 채 세상을 떠난 조철호 선생은 영면 직전 “나는 일을 다하지 못하였는데”라며 아쉬워했다고 한다.

    다만 조철호 선생이 뿌린 씨앗은 여전히 조국에 남아 있었다. 조선소년군은 광복 이후 대한소년단으로 재조직됐고, 보이스카우트한국연맹으로 명칭을 변경해 오늘날에도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지금도 중앙중·중앙고 보이스카우트 출신들은 조철호 선생의 호를 따 ‘관산회’를 조직하고 그의 기일마다 추모식을 가지며 정신을 기린다. 관산회는 이번 조선소년군 창설 100주년 기념식도 후원한다. 관산회 일원인 김정호 세종대 시니어산업학과 강사는 “소속 학교를 불문하고 미래 선각자들을 발굴하려 한 조철호 선생의 ‘다양성 중시’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한국 스카우트운동에 관심이 있다면 부담 없이 조선소년군 100주년 행사에 참석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최진렬 기자

    최진렬 기자

    안녕하세요. 주간동아 최진렬 기자입니다. 산업계 이슈를 취재하고 있습니다.

    총선 선거운동 돌입 전 여론조사… 박빙 승부 속 민주당 우위

    ‘낙동강 벨트’ 6곳 초박빙 접전… 국민의힘·민주당 1곳씩 우세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