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883

2013.04.15

나의 케임브리지 동지들 外

  • 입력2013-04-15 11:06: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나의 케임브리지 동지들 外
    나의 케임브리지 동지들

    유리 모딘 지음/ 조성우 옮김/ 한울/ 376쪽/ 2만4000원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동서냉전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그 흐름을 바꿔놓은 소련 KGB의 전설적 첩보망에 대한 기록. 6·25전쟁에 깊이 관여한 킴 필비를 포함한 5인방은 이상을 실현하려고 소련에 협력했다. 심지어 이들은 영국 사회의 최상류층 출신이다.

    코리안 미러클

    육성으로 듣는 경제기적 편찬위원회 지음/ 나남/ 566쪽/ 3만5000원




    역사는 타자의 기록이므로 가치관과 관점, 어떤 인물을 중심에 놓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그만큼 절대적 진실이라고 할 수는 없다. 한국 현대사에서 가장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킨 1960~70년대 박정희 대통령 시대의 경제개발사를 그 시대 주인공을 만나 재조명한다.

    디지털 치매

    만프레드 슈피처 지음/ 김세나 옮김/ 북로드/ 416쪽/ 1만8000원


    ‘디지털 치매’란 디지털 기기의 과도한 사용으로 뇌 기능이 손상돼 인지 기능이 상실된 것을 뜻한다. 디지털 기기가 전 국민을 바보로 만드는 셈이다. 뇌의학자인 저자는 과체중이나 흡연처럼 디지털 기기의 위험성과 디지털 세상으로 질주하는 세상에 경종을 울린다.

    나를 갈고 닦는 예절

    서신혜 글/ 김경신 그림/ 스콜라/ 176쪽/ 1만1000원


    ‘동자례’는 퇴계 이황의 제자 학봉 김성일 선생이 집필한 예절 책이다. 400년 전 나왔지만 어린아이가 배우는 예절이라는 제목처럼 오늘날 눈으로 봐도 허황한 내용이 아니다. ‘다른 사람을 배려하고 은혜에 감사하며 어른을 공손히 대해야 한다’는 도리를 담았다.

    거대한 역설

    필립 맥마이클 지음/ 조효제 옮김/ 교양인/ 600쪽/ 2만3000원


    우리는 지금까지 개발을 모두를 위한 경제성장의 의미로 받아들이고 추구했다. 개발이 국가 존립 근거이자 목표가 된 지 오래됐으며, 이젠 국가 등급을 나누는 기준이 됐다. 전 지구가 따라야 하는 ‘보편적 발전’의 길로 여기던 개발의 그림자가 날것 그대로 드러난다.

    언어 감각 기르기

    요네하라 마리 지음/ 김옥희 옮김/ 마음산책/ 324쪽/ 1만5000원


    저자는 러시아어 통역사다. 일본의 명사 11인은 그와의 대담에서 동시통역이 어떻게 이뤄지는지를 궁금해한다. 통역은 ‘말이 아닌 의미, 정보를 전달한다는 원칙’을 지키는 일로, 단어를 많이 안다고 잘하는 것은 아니다. 외국어를 잘하려면 모국어를 잘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철학을 켜다

    표정훈 지음/ 을유문화사/ 416쪽/ 1만5000원


    예나 지금이나 혼란한 세상, 철학자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시대의 물음에 고민했던 그들의 발자취를 따라간다. 삶의 질곡과 고난을 극복한 철학자들이 각자의 방식으로 고난을 헤쳐 나가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방황하는 현대인에게 삶과 생각을 다잡는 실마리를 제공한다.

    안고 갈 사람, 버리고 갈 사람

    크리스토프 앙드레 지음/ 뮈조 그림/ 이세진 옮김/ 푸른숲/ 244쪽/ 1만2000원


    “인생이 힘든 건 다 사람 때문이다.” 집이든 직장이든 짜증나고 성가시게 구는 사람 탓에 괴로운 이가 넘쳐난다. 프랑스 정신과의사인 저자는 민폐형 인간을 7개 유형으로 구분하고 유형별 사례와 판단법, 대처법을 소개한다. 마음 여린 사람을 위한 비타민 처방을 내린다.

    사생활의 천재들

    정혜윤 지음/ 봄아필/ 338쪽/ 1만6000원


    일상을 반복이 아닌, 매순간 새로 시작되는 것으로 여긴다면 인생을 제대로 사는 것이다. 늘 똑같은 일과 언제 봐도 비슷한 풍경, 늘 마주하는 누군가의 얼굴에도 희망은 살아 있고 의미도 있다. 사소한 일상을 바꿔 나가는 사람과의 만남을 통해 꿈과 미래를 얘기한다.

    슬프다 할 뻔했다

    구광렬 지음/ 문학과지성사/ 160쪽/ 8000원


    ‘뱃전 위로 오른 사내,/ 항구에 두고 온 여인의 허벅지가 죽도로 그립다/ 주위를 살피곤 마스트에 한 다리를 걸곤/ 비비 꼰다/ 그 모습을 지켜본 또 다른 사내/ 들짝 놀라 뒷걸음질친다(이하 생략)’(‘탱고의 기원’) 남미 초현실주의 화풍의 낯설고 신비로운 감각과 사색을 노래한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