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776

2011.02.28

“무슨 얼어죽을 대책 … 우린 총알받이, 보상이나 잘해”

연평도 주민 80여 일 만의 귀환 … 안전에 대한 확신과 남다른 배려 필요

  • 박훈상 기자 tigermask@donga.com

    입력2011-02-28 10:00: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무슨 얼어죽을 대책 … 우린 총알받이, 보상이나 잘해”

    22일 오후 주민들이 군청 직원을 붙잡고 실랑이를 벌이고 있다.

    지난해 11월 23일 북한의 포격 도발 이후 연평도를 떠났던 주민들이 2월 18일 대부분 돌아왔다. 섬을 떠난 지 80여 일 만이다. 연평 주민은 인천시의 찜질방, 경기 김포의 임대아파트, 친척집 등을 떠돌았다. 하지만 답답한 찜질방, 낯선 임대아파트, 미안한 친척집 생활을 끝내고 정든 고향땅 연평도로 돌아왔음에도 주민들의 표정이 마냥 밝지만은 않다. 5집 중 1집꼴로 보일러가 동파했거나 물이 나오지 않는 등 걱정거리가 한둘이 아니기 때문이다.

    2월 22일 연평도. 포격 직후에는 목줄 풀린 개들이 검게 그을린 채 동네를 헤맸지만 이날은 삼삼오오 아이들이 자전거를 타고 동네를 누볐다. 주택가에는 언 수도를 녹이고 보일러를 고치고 깨진 창과 창틀을 교체하느라 사람들이 분주히 움직였고, 전봇대 위에선 전기설비 복구공사를 하고 있었다. 갯벌에서는 오랜만에 주민들이 한데 모여 굴을 캤다. 그간 연평도에 남아 있던 이들은 섬 밖으로 나간 주민들의 반발로 굴을 캐지 못했다. 섬사람 특유의 ‘에너지’ 덕분인지 건강 상태도 나쁘지 않은 듯 보였다. 연평보건지소 임시 진료소 관계자는 “주민들 건강 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감기 같은 질환 빼고는 특이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이 아직 없다”고 밝혔다.

    임시주택 39동…살기에 너무 불편

    집이 완전히 불에 탄 백군식(74) 씨 부부는 연평초등학교 한쪽에 세워진 임시주택에 자리 잡았다. 원래 연평도 주민비상대책위원회는 연평 주민의 영구 이주대책을 정부에 요구했었다. 11월 말 찜질방에서 만났을 때 백씨도 “집단 이주대책을 세워달라. 불안해서 살 수 없다”고 강하게 주장했다. 백씨는 돌아온 이유에 대해 “집단 이주대책이 사실상 불가능했다. 당시에는 놀란 마음이 컸지만 이제는 죽으나 사나 연평 땅에서 살아야 한다는 생각”이라고 털어놓았다. 하지만 백씨뿐 아니라 주민들은 “연평도로 돌아온 만큼 그에 대한 보상과 배려를 국가에서 해줘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당장 걱정은 집이다. 18㎡(약 5.4평) 면적의 임시주택이 총 39동 만들어졌지만 임시로 살기에도 불편하다. 좁은 임시주택에는 비키니 옷장, TV, 냉장고 등 살림살이가 단출하다. 백씨 부부가 단둘이 사는 집도 수납공간이 부족해 양말과 속옷은 바닥에 두고 생활한다. 화장실 개수구는 물도 잘 빠지지 않는다. 문제는 최소한 9개월은 더 이곳에서 생활해야 한다는 점. 지금은 전기난방 시설이 잘돼 있고 날씨가 풀린 뒤 입주해 춥지는 않지만 조립식 주택인 탓에 여름날 무더위를 이길 수 있을지도 걱정이다. 인천시와 옹진군은 “주택 복구가 10월에 완전히 해결될 것”이라고 약속했지만 주민들은 “현재 복구 속도로는 해를 넘길 것이 분명하다”고 반박하고 있다.



    아들, 손자 등 5명 가족이 사는 김순애(80) 씨는 불편이 더 크다. 5명이 좁은 공간에서 생활하려니 옷 갈아입고 화장실에 가는 사소한 부분까지 불편함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여기에 살림을 도맡아 하는 김씨 같은 노인들은 싱크대에서 부엌일을 하는 데 익숙하지 않다. 김씨는 “마당에 큰 고무대야를 놓고 배추도 씻고 빨래도 해야 하는데 좁은 싱크대에서는 일을 하기 어렵다. 마당에 수도를 설치해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공동 세탁시설도 없어 임시주택 거주민은 간단한 속옷 빨래만 했을 뿐 아직 세탁 한번 시원스레 하지 못했다.

    완전히 불타 무너지지 않은 집에 사는 주민들은 군청 직원들과 갈등을 빚고 있다. 이날도 남부리 시장통 골목에서는 한창 고성이 오갔다. 주민은 군청 직원을 붙잡고 “무조건 들어오면 된다고 해서 왔더니 전혀 복구되지 않았다. 집이 허물어졌는데 간단한 수리만 해준다는 게 말이 되느냐”고 소리를 질렀다. 군청이 근본적인 대책을 세워주기보다 겉모습만 멀쩡하게 보이도록 창과 창틀 공사를 한 뒤 어물쩍 넘어가려 한다는 주장이다. 김재식 주민비상대책위원장도 “일부 주민이 피해신고서를 써낼 때 피해 정도를 과하게 적어내 군청에서 꼼꼼히 살펴보고 있다. 하지만 조사를 마무리하고 주민의 동의를 얻은 뒤에 유리창을 갈아야지, 유리창을 간 뒤 균열이 심해 건축물을 허물면 예산 낭비만 한 셈”이라고 말했다.

    옹진군도 “주민의 요구를 모두 들어줄 수는 없다”고 분명히 했다. 군청 특별지원단 최인우 복구지원팀장은 “주민의 속상한 마음은 충분히 이해한다. 납득할 만한 요구는 즉각 해결하지만, 충분히 (스스로) 수리해 쓸 수 있거나 연평 포격과 상관없이 노후한 부분까지 고쳐달라는 건 들어줄 수 없다. 집마다 1시간씩 불만을 토로하니 일이 더 늦어진다”고 말했다. 복구지원팀 피해조사단은 2월 21일부터 25일까지 주택, 위생, 물품 3개 팀으로 나눠 피해 정도, 보상액 등을 1차 조사했다. 이 기초자료를 토대로 전문가로 구성된 감정평가단이 보상액을 측정할 계획이다. 일부 주민은 “몇몇 욕심이 지나친 사람 때문에 복구 기간이 늦어져 애꿎은 우리까지 피해를 보고 있다”고 토로했다.

    “무슨 얼어죽을 대책 … 우린 총알받이, 보상이나 잘해”

    (왼쪽) 18㎡(약 5.4평) 면적의 임시주택 39동. (오른쪽) 창과 창틀 공사를 끝낸 한 상가.

    보상금액 놓고 주민들 민감

    주민 사이의 불화도 감지됐다. 연평도 복귀 전에도 일부 주민은 “주소만 연평에 둔 ‘뜨내기’가 위원회에 들어가 목소리를 높이며 무리한 보상을 요구해 토착민의 연평도 복귀를 막고 있다”고 불만을 표했다. 하지만 주민이 복귀한 현재도 연평도 성금, 정부 지원액 등의 분배를 두고도 마찰이 계속될 전망이다. “연평도에 주소지를 둔 사람 모두에게 성금을 주어야 한다”는 측과 “한철 들어와 뱃일을 하면서 뱃삯 아끼려고 주소지를 옮긴 주민에게는 주지 말아야 한다” 측으로 갈려 있다. 지금까지 주민들은 1인당 총 400만 원의 생활비와 구호물품을 지원받았다. 하지만 세간이 모두 불타버려 그동안 받은 생활비로는 살기 빠듯하다는 주민이 너무 많은 게 현실. 보상 금액을 두고 주민들은 민감할 수밖에 없다.

    유사시 대피방법? 그거 모르는데…

    “무슨 얼어죽을 대책 … 우린 총알받이, 보상이나 잘해”

    임시주택에 사는 김순애씨는 싱크대가 익숙하지 않아 살림에 불편을 겪고 있다.

    차후 북의 도발이 재현될 때의 주민 안전도 이들의 걱정거리 중 하나다. 완전 이주대책이 불가능해지고, 어차피 연평도에서 삶을 이어나갈 수밖에 없는 주민으로선 북이 또 포를 쏠까 겁나는 게 당연하다. 하지만 현실은 이를 외면하고 있다. 정부는 주민 안전에 대한 교육을 전혀 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시설 지원에 대한 약속도 한 바 없다. 주민들도 당장 먹고사는 일에 바빠 겁만 낼 뿐 속수무책이다.

    연평도에서 만난 주민들에게 “연평도로 돌아오기 전 유사시 대피 방법에 대한 훈련을 하거나 교육받은 적이 있느냐”고 물었지만 대부분 “없거나 모른다”고 답했다. 한 주민은 “복구, 보상금 분배에 정신이 팔려 또 있을지 모르는 도발에는 무관심하다. 군청이 유사시 주민들이 대피할 수 있도록 이곳 어선을 규합해 섬 탈출을 돕는 훈련을 하는 등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단체생활을 하는 어린이집 어린이나 학교 학생들도 교육을 못 받기는 마찬가지다. 연평어린이집 관계자는 “연평도에 다시 온 뒤에도 대피와 관련한 교육을 받은 적이 없다. 지난 포격 때는 아이들의 아버지가 대부분 군인이라 군인들이 와서 아이들을 데려갔다”고 말했다.

    연평면 관계자는 포격 직후 말한 것처럼 ‘정답’만 되풀이했다. 그는 “한 달에 한 번 민방위 교육을 하고 있다. 단 한 명의 연평 주민 희생자가 나오지 않은 것도 시스템에 따라 일사불란하게 움직인 덕분”이라고 말했다. 그들의 말은 “정신없이 빠져나왔다” “구사일생으로 살아남았다”는 주민들의 의견과 달라도 너무 달랐다.

    “3000t 여객선 운항” “연평 학교 신축” 등 육지에서 내놓은 대책도 이곳에서는 허무맹랑한 이야기일 뿐이다. 김모(45) 씨는 “현재 300t 여객선도 여름 휴가철이 아니면 만선일 때가 거의 없다. 학생 숫자도 주는데 건물 신축이 말이 되느냐. 생활부터 안정시켜주고, 북의 도발에 대한 안전대책을 세워달라는 주민의 실질적 요구를 귀담아들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다른 70대 주민은 정부에 대한 분노를 가감 없이 표현하면서 “배신감이 치유되려면 아직 멀었다”고 말했다.

    “정부는 연평도 조기역사관 주변에 군 장비를 전시해두고 우리 군이 얼마나 강한 군인지 광고해왔다. 하지만 북의 도발로 확인한 건 정부의 무능한 대응뿐이었다. 전에는 나라를 믿고 그냥 살았지만 이제는 총알받이로 대신 살아주는 것이다. 복구, 보상 대책을 제대로 하는지 끝까지 지켜볼 것이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