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607

..

“경제 어렵다” 하소연하면서 “위대한 장군님” 타령은 여전

본보 청와대 출입기자의 평양기행 … 일반인 접촉 못하게 통제, 北 인사들 남쪽 대선에 큰 관심

  • 조수진 동아일보 정치부 기자 jin0619@donga.com

    입력2007-10-17 13:58: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첫눈에 평양은 평화로워 보였다. 40년 만의 ‘큰물(수해)’로 능라도가 물에 잠겼다지만 평양시내는 깨끗이 정돈돼 있었다. 시내를 가로질러 흐르는 대동강과 보통강에서도, 고층건물이 즐비한 거리에서도 수해 흔적은 찾아볼 수 없었다. 파스텔톤의 건물 외벽들은 이전의 ‘회색도시’ 평양이라는 평가를 무색케 했다.

    오후 10시가 되자 도시 전체가 암흑으로 변했다. 그러나 가로수엔 전구가 설치돼 있었고, 네온사인 간판도 보였다. 음식점 거리에는 지짐(부침개)집, 꼬치구이 가게, 생맥줏집 등이 들어서 있었고 미용실, 책방, 남새(채소)가게 같은 다양한 상점들도 자리했다.

    10월2일 환영식과 4일 환송식 때 버스 유리창 너머로 본 젊은 여성들은 대부분 양장 차림이었다. 제법 짧은 치마를 입은 여성들도 눈에 띄었다. 일렬종대가 아닌 삼삼오오 다정하게 걸어가는 어린 학생들의 모습은 우리와 별반 다르지 않았다.

    아리랑 공연 끝난 뒤 “기자 선생들 박수 인색하십네다”

    회담 기간에 방북단의 안내를 담당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인사들에게서도 미묘한 변화를 느낄 수 있었다. 그들은 스스럼없이 “미국과의 관계가 안 좋으니까, 솔직히 경제가 어렵다. 그러나 위대하신 장군님만 믿고 있으면…”이라며 경제난을 시인했다. 미국을 비난하는 사람도 거의 없었다. 말끝마다 “조미(朝美) 관계는…”이라고 하면서 미국에 대한 관심을 내비쳤다.



    경제 사정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이들을 하나로 결집시키는 것은 일종의 자존심인 듯했다. 한 안내원은 ‘수령님’(고 김일성 주석)이 민족 스스로 강성대국을 건설하기 위해 얼마나 애썼는지를 장황하게 설명했다. 한마디로 김 주석 때문에 평화가 유지됐다는 것.

    대동강을 건널 때 한 안내원은 “저것이 바로 푸에블로호(號)다. 미국에서 수십억원을 준다고 하는데도 ‘우리는 그런 것 필요 없다. 일없다(괜찮다)’고 했다”며 자랑했다.

    북측 인사들이 가장 관심을 보인 부분은 대선을 앞둔 남측의 정치 상황이었다. 방북 첫날인 10월2일 밤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 주최한 만찬장에서 북측 관계자들은 남측 참석자들에게 “이명박 한나라당 후보가 대통령이 되는 것이냐” “이 후보도 어려운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 “범여권의 후보 단일화는 이뤄질 수 없는 것이냐” “DJ(김대중 전 대통령)가 미국 방문 중에 문국현 씨를 지지하는 듯한 발언을 했던데, 사실이냐” 등 대선과 정국에 대한 질문을 끊임없이 던졌다.

    개성~평양 고속도로를 지나면서 황해도 서흥군 수곡휴게소에서 잠시 쉴 때 한 안내원은 “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의 고향이 여기 서흥입니다. 아십니까”라며 생각지도 않았던 말을 꺼냈다. 남측 사정에 밝은 이유를 묻자 “인터넷 보급 덕”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남과 북을 가르는 ‘벽’은 여전히 높고도 거대했다.

    10월3일 오후 8시 능라도 5·1경기장에서 열린 ‘아리랑’ 공연은 남과 북이 얼마나 다른지를 체감할 수 있는 기회였다. 서울 마포 상암월드컵 구장의 2배가량 되는 5·1경기장은 방북단 일행을 압도했다. 그리고 관람석을 가득 메운 평양시민들은 공연 시작 전부터 귀가 먹먹할 정도로 함성을 질러댔다. 안내원은 “오늘 공연에 참여한 공연자가 10만명”이라고 귀띔했다.

    공연은 신기(神技)에 가까웠다. 1만2000여 명이 참여한 카드섹션은 한 치의 오차도 없었다. 엄마 아빠 앞에서 한창 재롱을 부릴 나이의 유치원생들은 서커스 같은 묘기를 선보였다. 유치원생들이 주석단(귀빈석)에 앉아 있던 노무현 대통령에게 달려가 손을 흔들자 노 대통령이 기립박수로 답례했다. 유치원생들의 재롱에 대한 ‘예우’ 차원의 화답이었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 순간 ‘아버지 수령님, 고맙습니다’란 카드섹션이 펼쳐졌다. 일반 관람석에선 ‘와’ 하는 함성이 터져나왔다. 순식간의 일이었지만 정교하게 연출된 장면이라는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

    공연이 끝난 뒤 숙소인 고려호텔로 돌아가기 위해 버스에 오르는 기자들에게 한 평양시민은 아리랑 공연 관람에 대한 남측 내부 논란을 의식한 듯 “배 아픈 사람들이나 싫은 소리를 한다”며 기자들의 속내를 떠봤다. 그러면서 버스 안에서는 안내원이 우리를 꾸중했다.

    “공연 중에 기자 선생들의 박수가 인색했습니다. 이념을 떠나 여러분을 위해 고생한 공연자들을 위해 박수도 제대로 못 치는 그런 배짱을 가지고 어떻게 통일과업을 이룰 수 있겠습니까. 실망도 보통 실망이 아닙니다. 언론인들은 민족의 미래를 위해 일을 해야 하는 것 아닙니까.”

    남북 체제의 차이는 언론관에서 극명히 드러났다. 북측은 기자들에게 안내하는 장소 이외에서의 취재활동을 허락하지 않았다. 방북기자단 숙소였던 고려호텔 밖으로는 한 발자국도 나가지 못했다. 호텔 직원이나 공식 일정 취재를 위해 이동할 때 만나는 안내원들 외에 평범한 평양시민들을 만나는 일은 불가능했다.

    평양 방문 둘째 날 오전, 첫 정상회담이 이뤄졌지만 방북기자단의 취재는 일절 차단됐다. 염상국 대통령 경호실장이 나서서 북측 호위총국(대통령 경호실과 같은 조직) 책임자와 협상을 벌인 끝에 오후 정상회담 때는 공동취재단의 취재가 허락됐지만, 이마저도 청와대 전속팀 요원의 완장을 차는 조건이 붙었다.

    정상선언 서명식 때도 청와대와 방북기자단은 현장 취재를 요청했으나, 북측은 요지부동이었다. 결국 2박3일간 ‘방북기자단’ 자격으로 김 위원장의 육성을 직접 들은 기자는 50명의 공동취재단 가운데 한 명도 없었다. 북측 관계자는 “위대한 김정일 위원장의 육성이 공개된 적은 없다”고 우겼다. 안내원들은 기자가 이동할 때마다 “왜 남측에선 언론이 노무현 대통령과 청와대를 끊임없이 흔들어대느냐”며 의아해했고, 한 안내원은 “청와대가 월급을 주면 비판기사를 안 쓸 것이다”라고 빈정댔다.

    두 차례의 남북 정상회담. 이번 정상선언문엔 종전선언 추진과 백두산 직항로 개설 등에 대한 획기적인 내용이 포함돼 있다. 그만큼 북으로 가는 길은 가까워졌다. 하지만 통일로 가는 길은 쉽게 단축되지 않을 것 같다는 느낌 때문에 가슴이 아렸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