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953

2014.09.01

토종 ‘백여우’ 백두산 천지에 산다

4월 초 천지 오르던 등산객이 발견…색소 결여 ‘알비노 개체’로 추정

  • 김승재 YTN 기자 phantom386@daum.net

    입력2014-08-29 17:56: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백두산 천지에서 한국 토종 백(白)여우로 추정되는 여우가 발견됐다. 백여우는 학계에서 매우 희귀한 것으로 보고돼 있고, 특히 국내에서는 한 번도 발견된 사례가 없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4월 중순 백두산 천지에서 한 등산객이 촬영한 여우 사진을 백두산 동물 전문가에게 분석을 의뢰한 결과, ‘한국 토종 여우’의 ‘알비노(albino)’ 개체, 즉 백여우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평소 백두산을 자주 등반하는 A씨는 4월 중순 아침 백두산 북파 쪽을 통해 천지를 찾았다. 이날 아침 천지는 청명한 날씨였지만 사람은 아무도 없었고 동물들만 노닐고 있었다. A씨는 “9시 반 무렵 천지에 도착하니 천지 바로 앞 하얀 눈밭 위에서 뭔가 움직이는 게 보였는데 여우였다. 숨을 죽인 채 사진을 찍었는데, 여우는 2~3분 뒤 사라졌고 좀 있다 너구리가 왔다. 밤에 생활하는 너구리가 아침에 웬일인가 싶었다. 너구리가 오는 걸 알고 여우가 사라진 것 같았다”고 말했다.

    A씨가 촬영한 사진은 청명한 백두산 천지를 배경으로 하얀 눈길 위에서 오른쪽 앞발을 땅에 내딛는 여우의 움직임을 정확히 포착하고 있다. 눈으로 뒤덮인 땅 위에는 여우의 움직임을 담은 그림자도 또렷하다.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한상훈 연구관에게 사진 속 여우에 대한 분석을 의뢰했다. 한 연구관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백두산 현지에 직접 가서 동물 연구를 한 전문가다. 백두산 체류 시기는 2001년 5월 30일부터 7월 4일까지 한 달여.

    사진 속 여우에 대해 한 연구관은 ‘한국 토종 여우’의 ‘알비노 개체’일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했다. 알비노 개체란 돌연변이에 의해 유전적으로 색소 형성이 결여된 동물 개체를 뜻한다. 알비노 개체 동물은 보통 색소 형성이 안 돼 흰색을 띤다. 백호(白虎)나 백사(白蛇) 등이 알비노 개체인데 그 희소성 때문에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자연계에서 알비노 개체는 포식자에게 금방 눈에 띄는 등 생존에는 불리하다.

    “상서로움과 요사스러움”



    토종 ‘백여우’ 백두산 천지에 산다

    중국 쪽 백두산 천지에서 한 등산객이 촬영한 ‘백여우’ 모습(왼쪽). 북한 평양 중앙동물원에 있는 백사슴.

    한 연구관은 “모양과 크기가 그렇고, 특히 귀 뒤와 발등의 검은색 털이 한국 토종 여우의 특징을 보인다”고 설명했다. 백두산 여우는 1930년대 일본 사람이 백두산에서 처음으로 발견해 보고했고, 이때부터 ‘백두산 여우’라는 호칭이 생겼다고 한다. 한 연구관은 사진 속 여우가 “털이 하얀 점으로 미뤄 알비노 개체로 보인다”면서 “국내에서는 현재 여우 자체가 멸종위기로 지정될 만큼 희귀한데, 특히 흰털을 가진 여우는 보고된 적 없다”고 언급했다. 국내에서 한 번도 보고된 적 없는 ‘알비노 여우’가 백두산 천지에서 발견된 것이다.

    한 연구관은 “북한도 백두산에서 알비노 사슴, 즉 백사슴 한 마리를 발견한 뒤 백사슴을 육성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북한은 백사슴을 일반 사슴과 교배하는 방식으로 종자를 양성해갔다. 그래서 지금은 평양 중앙동물원에 백사슴 10여 마리를 따로 모아 사육, 전시하고 있다. 북한이 백두산에서 발견한 알비노 개체를 육성하는 것은 백사슴이 유일하다고 한다.

    천진기 국립민속박물관 관장은 천지에 등장한 백여우에 대해 “상서로움과 요사스러움이 한데 어우러져 있다”고 해석했다.

    “한민족은 흰색을 숭상하는 민족이다. 흰색은 민족의 색이자 태양의 색이요, 하늘의 색이다. 그래서 흰색은 서조(瑞兆·상서로운 조짐)를 의미한다. 알비노 여우, 즉 백여우는 흰색이라는 점에서는 이러한 상서로움을 내포하고 있다. 하지만 여우라는 동물 측면에서는 요사스러움을 상징한다. 우리 전통 설화 속 여우는 주로 사람을 놀리거나 괴롭히는 요물(妖物)로 묘사돼왔기 때문이다. 영물(靈物)로 여겨지는 백호, 백록(白鹿·흰사슴)과는 다른 것이다”

    두 전문가의 견해를 종합하자면 우리 민족의 영산(靈山) 백두산 천지에 등장한 한국 토종 백여우는 백두산 동물 생태계의 중요한 발견이면서, 문화적으로는 우리 전통의 상서로움과 요사스러움을 동시에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