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921

2014.01.13

난, 해외 자산에 투자한다

저성장·저금리에 국내 투자자 국외 투자에 큰 관심

  • 송경희 우리금융경영연구소 책임연구원 ks@woorifg.com

    입력2014-01-13 09:31: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난, 해외 자산에 투자한다
    2008년 금융위기 전후 급감했던 내국인의 해외 주식 또는 채권투자가 다시 늘어나고 있다. 내국인의 해외 보유증권 잔액은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주식 1135억 달러, 채권 449억 달러로 총 1584억 달러에 이르러 2007년 말 사상 최고치인 1586억 달러에 근접했다.

    비과세 조치 영향으로 2007년 해외 주식 투자가 대규모로 이뤄지면서 당시 전체 투자 금액에서 주식 비중은 93%에 이르렀다. 최근에는 채권투자 비중이 주식과 비슷한 수준으로 증가했는데, 자기 관리와 부채 만기 관리를 위해 장기채권투자가 필요한 보험사나 은행 등 기관투자자뿐 아니라 고수익을 원하는 개인투자자의 해외 채권투자도 늘어나고 있다.

    자본 유출입 변동성 완화

    해외 투자는 2012년 262억 달러를 기록한 데 이어, 2013년에는 신흥국 금융 불안 여파로 8월 잠시 위축되는 듯했지만, 곧 회복해 1~11월 230억 달러를 기록했다. 물론 이는 해외 증시 호황과 해외 펀드 비과세 조치 등에 힘입어 해외 투자가 대규모 늘어났던 2006년(313억 달러), 2007년(564억 달러)에는 미치지 못하는 규모다.

    하지만 해외 투자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국내 투자자가 해외 투자를 늘리는 이유는 여러 자산에 분산투자해야 가장 낮은 위험으로 높은 수익률을 누릴 수 있다는 분산투자의 이점 때문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국내 경제의 저성장과 금융자산의 투자수익률 저하 추세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2000년대 들어 한 자릿수 중반대를 유지하던 국내 경제성장률은 금융위기 이후 3%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성장률이 하락하면서 예금 금리도 2%대로 떨어진 상황이라 고수익 상품을 찾아 해외로 눈을 돌리는 것은 어찌 보면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규모가 크게 늘어난 연기금도 해외로 눈을 돌린다. 연기금이 해외 투자를 모색하는 이유 역시 투자수익률을 높이기 위해서이지만, 덩치에 비해 국내 금융시장 규모가 협소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연기금 매매에 의해 금융시장 자체가 왜곡될 개연성이 높다. 대표적인 연기금인 국민연금의 적립금 규모는 현재 400조 원이 넘고 2043년에는 2500조 원을 넘어설 것으로 보이는데, 현재 13% 수준인 해외 투자 비중을 장기적으로 20% 수준까지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그렇다면 내국인의 해외 투자는 어떤 영향을 가져올까. 내국인의 해외 투자는 약 60%가 미국, 일본, 유럽 등 선진국에 집중돼 있는데, 사실 규모가 큰 선진국 금융시장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기엔 미미한 규모다. 그보다는 외환시장을 중심으로 국내에 미칠 영향이 적지 않다.

    먼저 내국인의 해외 투자가 자본 유출입 변동성을 완화하는 구실을 하리라 기대해볼 수 있다. 국가 간에는 상품이나 서비스 교역 같은 경상거래는 물론, 차입과 투자 같은 자본·금융거래도 활발하게 일어난다. 그런데 자본·금융거래 중에서도 차입과 우리가 흔히 포트폴리오 투자라 일컫는 금융자산에 대한 투자는 거래 규모 및 방향이 빠르게 변화한다. 이에 따라 관련국 경제 및 금융시장에 충격을 주는 경우가 많고,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진원지인 선진국에서 전 세계로 전파된 과정에서도 주요 경로로 작용했다는 것이 일반적 평가다. 이에 금융위기 이후 그 변동성을 완화할 방안이 각국 정책당국의 주요 관심사가 돼왔다.

    그런데 자본 유출입 변동성을 완화하는 한 가지 방법이 내국인의 해외 투자를 늘리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해외 자본이 대규모 유입될 때 반대 방향의 자본흐름, 즉 내국인의 해외 투자가 늘어나 순자본 유입 규모가 감소하면서 국내 통화량 확대, 자산 버블 위험 등 자본 유입에 따른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국제 금융시장 불안 등으로 해외 자본이 일시에 대규모로 유출될 경우, 과거 해외에 투자했던 국내 자금이 회수된다면 환율 급등 등 자본 유출에 따른 부작용을 막을 수 있다. 실제로 선진국의 순자본 유출입 변동성이 신흥국에 비해 낮은 이유는 국내 자본 유출입이 해외 자본과 반대 방향으로 이뤄졌기 때문이다.

    경상수지 흑자 구조 정착에 기여

    그런데 해외 자본이 대거 유출될 때 내국인의 해외 투자 자금은 반드시 회수될까. 긴밀한 정책적 협조가 가능한 공공 연기금의 경우엔 가능할 것이다. 그런데 해외 사례를 살펴보면, 민간의 해외 투자 자금 역시 국내로 회수되는 경우가 많았다. 해외 자본이 대거 유출될 때는 국제 금융시장 불안이 고조된 상황일 공산이 크다. 그 이유는 이런 때일수록 투자 대상국에서 내국인과 외국인 간 정보 비대칭성이 커지면서 투자에서 자국 선호 현상이 강화되기 때문이다.

    또한 국제 금융시장이 불안할 때 경기침체와 소득 감소가 함께 나타나기 쉬운데, 이때 감소한 소득을 보전하려는 욕구도 해외 투자 자금의 회수 동기로 작용한다. 다만 금융위기 직후 우리나라에서는 대규모 투자 손실로 해외 투자 자금의 국내 회수가 큰 도움이 되지 못한 데서 알 수 있듯, 해외 투자가 자본 유출입 변동성 완화의 완전한 해답이 될 수는 없다.

    2013년 하반기 우리나라는 대규모 경상수지 흑자가 지속되고 외국인 주식투자 자금이 대폭 유입되면서 원화 강세가 지속됐다. 이런 상황에서 해외 투자는 현 시점의 원화 절상 압력도 완화할 수 있다. 다만 우리나라 개인투자자는 해외 투자를 할 때 투자원금의 80% 내외를 환헤지(換+hedge·환율 변동에 따른 위험을 없애려고 현 수준의 환율로 투자, 수입에 따른 거래액을 고정하는 것)하기 때문에 그 효과가 줄어든다. 투자자(실제로는 투자자를 대신한 금융투자회사)가 일단 해외 투자를 하려고 현물환(달러화 현물)을 매입하면서 원화 절상 압력이 약화되지만, 다른 한편 환헤지 과정에서 선물환(달러화 선물)을 매도하는데 선물환을 매입한 거래 은행이 환포지션 균형을 위해 현물환을 차입해 매도하기 때문이다.

    내국인의 해외 투자는 이와 함께 안정적인 경상수지 흑자 구조 정착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2013년 1~11월 경상수지 흑자 643억 달러에서 증권투자소득수지가 59억 달러에 달한다. 증권투자소득수지는 우리가 외국인으로부터 받은 이자와 배당금에서 우리가 외국인에게 지급한 이자와 배당금을 차감한 것인데, 해외 투자가 늘어날수록 함께 증가한다. 특히 안정적인 이자 수입이 기대되는 해외 채권투자가 계속 증가할수록 경상수지의 안정적인 흑자 추세 정착에 도움이 될 것이며, 이는 장기적으로 볼 때 원화 절상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