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899

2013.08.05

그래도 채식주의자로 살련다

식사 때마다 먹을 것 없어 고민…“유별난 행동” 불편한 시선도 부담

  • 최훈 강원대 교양과정 교수 choih@kangwon.ac.kr

    입력2013-08-05 09:10: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그래도 채식주의자로 살련다
    줄리아 로버츠와 휴 그랜트가 나오는 영화 ‘노팅 힐’을 우연히 다시 봤다. 로버츠가 연기한 애나는 채식주의자다. 예전에 이 영화를 분명히 봤는데 채식에 관심이 없던 때라 무심히 지나쳤을 것이다. 그랜트가 연기한 윌리엄이 애나를 초청해 친구들과 저녁을 먹는데, 요리를 한 맥스가 닭고기 맛이 어떠냐고 묻자 애나는 “제가 먹어본 닭고기 중 최고예요”라고 답한다. 그러곤 옆에 앉은 맥스 부인에게 자신은 채식주의자라고 조용히 말한다.

    영화에서 이 장면은 애나가 얼마나 배려심 많은 사람인지 보여주는 듯하다. 고기를 먹지 않지만 자신을 위해 요리한 사람을 배려하는 모습을 보니 속마음이 깊다면서 말이다. 이 영화에는 다른 장면이지만, 떨어진 과일만 먹는 프루테리언(fruitarian)도 등장한다. 그는 고기를 거절하면서 과일과 채소도 고통을 느끼므로 자신은 나무에서 떨어진 것만 먹는다고 한다. 이 말을 들은 윌리엄은 “살해당했다고요? 불쌍한 당근들, 어쩜 그리 잔인할 수가”라고 하는데, 비꼬는 투가 아닌데도 그렇게 들린다.

    밥상머리에서 설명부터 논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애나처럼 배려심 깊은 채식주의자가 되기 힘들다. 일단 고기 외에 먹을거리가 없을 때가 많다. 국민 회식 메뉴인 삼겹살을 먹을 때는 상추 등 채소만 먹어야 하고 국민 간식인 치맥(치킨과 맥주)을 먹을 때는 초절임무만 먹어야 한다. 그리고 채식주의자라고 커밍아웃하려면 일단 그게 무엇인지부터 일일이 설명해야 한다. 채식주의자를 처음 보는 사람이 많기 때문이다. 심하면 밥상머리에서 논쟁까지 해야 한다.

    굳이 채식주의자임을 감춰야 하느냐고 생각하는 채식주의자도 많다. 윤리적 동기로 채식을 하는데 프루테리언처럼 당당해도 되지 않은가. 다른 사람이 무안해할까 봐 배려하면서, 우리 입맛을 위해 죽어가는 수많은 동물의 고통은 배려하지 않아도 된다는 말인가. 과일과 채소도 고통을 느낀다는 주장은 극단적인 채식주의자보다 채식에 반대하는 사람 쪽에서 나오는 경우가 더 많다. 왜 동물만 고통을 느끼고 식물은 고통을 못 느끼느냐면서. 앞에서 말한 밥상머리 논쟁의 단골 주제다.



    그러나 식물이 고통을 느낀다는 주장은 종교적 신념이나 사이비과학일 뿐, 과학적 근거는 없다. 반면 우리 식탁에 오르는 고기가 우리와 다름없이 고통을 느끼는 동물에게서 나왔다는 사실은 윤리적 사고를 약간만 해도 알 수 있다. 내가 고통을 받기 싫으니 다른 사람에게도 고통을 주지 말아야겠다는 생각, 즉 역지사지가 윤리적 사고의 기본이다. 그 ‘다른 사람’ 범주에 사람과 마찬가지로 고통을 느끼는 존재까지 포함하는 건 윤리의 진보다.

    자연에 최대한 가까운 상태에서 동물을 키우던 예전에는 도살 때만 동물에게 고통을 줬다. 그러나 그렇게 사육해서는 동물을 몇 마리 키우지 못하고, 그럼 국민 회식이나 국민 간식은커녕 고기 구경은 명절, 생일 때만 할 수 있다. 이제 고기는 농장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공장(식 농장)에서 생산되고, 최소 투자로 최대 이익을 산출해야 하는 공장은 동물의 고통을 계산에 넣지 않는다. 노예 수송선은 흑인을 최대한 많이 수송하려고 노예들을 포개 실은 뒤 대서양을 건넜다. 그 과정에서 생기는 노예의 고통이나 죽음에는 신경 쓰지 않았다. 흑인도 고통 받는 ‘다른 사람’ 범주에 포함해야 한다고 생각한 윤리의 진보가 계속 나아가 고통을 느낄 수 있는 동물까지 포괄하게 된 것이다.

    윤리적으로 올바르다고 생각한 행동이라도 그것을 실천으로 옮기기란 쉽지 않다. 의지력이 부족해서일 수도 있고 여건이 허락하지 않아서이기도 하다. 채식도 그렇다. 내가 먹는 고기가 동물에게 고통을 준 끝에 나온 것이라는 사실을 알아도 수십 년간 길들여진 입맛을 단박에 버리기는 힘들다. 윤리적 사고는 의지를 갖고 머리를 써야 생기지만, 침은 그냥 꼴깍 넘어가기 때문이다. 그 단계를 넘어섰다 해도 채식을 실천하기 힘든 우리나라 현실은 큰 벽이 된다. 채식 메뉴가 없는 식당이 많고, 채식한다고 하면 유별나다고 생각하는 문화도 실천을 주저하게 만든다.

    그래도 채식주의자로 살련다
    타인 취향에 대한 배려 부족

    현실과 타협한다는 비난을 들을 수 있지만, 현존하는 고통의 양을 조금이라도 줄이려는 노력은 안 하는 것보다 낫다. 채식을 지향하면서 어쩔 수 없는 예외를 정하고 거기에 따르는 것도 미약한 실천일지언정 그 끝은 창대할 수 있다. 동물 해방 분야의 이론적 대가인 철학자 피터 싱어는 유제품도 먹지 않는 엄격한 채식주의자지만 외식할 때는 유제품이 섞인 음식도 먹는다고 한다. 우유가 섞인 빵인지 일일이 확인할 수 없으니까. 채식주의자인 음식 칼럼니스트도 있다. 채식만 먹고 칼럼을 쓸 수 없으니 취재하는 저녁시간에는 채식을 포기한다.

    우리나라에서는 회식 때만 고기를 먹는 것도 한 방법이다. 개고기를 먹는 사람이 개고기를 끊는 것은 쉬운 축에 속한다. 지금은 개고기를 먹지 않는다고 타박하는 문화는 아니니까. 소, 돼지, 닭 가운데 하나를 먹지 않는 부분적 채식도 가능하다. 필자도 밖에서는 생선을 먹기 때문에 어디 가서 채식주의자라고 말하기 민망하다. 그래도 뭍에서 나는 동물을 먹지 않는다는 원칙은 지킨다. 일본으로 단체여행을 갔을 때 돈가스 집에 간 적이 있는데, 생선가스도 없어 밥과 양배추샐러드만 먹었다.

    우리나라에서 채식주의자에 대한 배려가 부족한 까닭은 남에 대한 배려가 부족한 문화여서라기보다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곳에서 살아본 경험이 없어서인 것 같다. 다양한 종교가 섞인 문화에서는 돼지고기를 먹지 않는 이슬람교도가 많고, 쇠고기를 안 먹는 힌두교도도 쉽게 볼 수 있으며, 각종 알레르기 때문에 음식을 가리는 사람도 많다. 그러니 어떤 음식을 안 먹어도 이상하게 생각지 않고, 오히려 함께 식사할 때 못 먹는 게 있느냐고 먼저 물어보는 문화가 정착했다. 이제 우리도 다문화사회에 접어들었다. 채식한다고 커밍아웃하고 부분적으로라도 실천하는 것은 채식주의자의 존재와 동물의 고통을 널리 알리는 길이 될 것이다.

    이제 우리 사회도 담배를 안 피우거나 술을 안 마시는 사람을 이상하게 생각하거나 강권하지 않는다. 채식도 그런 대우를 받을 날이 곧 올 테고, 그만큼 채식 메뉴도 늘어날 것이다. 그만큼 동물의 고통도 줄어들 것이다. 참, ‘노팅 힐’에서 맥스는 애나와 윌리엄이 갈등할 때 윌리엄에게 “채식주의자는 절대 믿지 마라”고 말한다. ‘뒤끝 작렬’이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