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868

..

알뜰폰에도 ‘LTE 태양’이 뜨나

SK텔레콤 2013년 1월부터 알뜰폰 사업자에게 도매 제공키로

  • 문보경 전자신문 부품산업부 기자 okmun@etnews.co.kr

    입력2012-12-21 17:01: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알뜰폰에도 ‘LTE 태양’이 뜨나

    저렴한 요금제로 어필해오던 MVNO 서비스에도 LTE 서비스가 도입될 예정이다. 온세텔레콤의 MVNO 서비스인 스노우맨 론칭 행사.

    최근 한 인터넷 카페에 거짓말 같은 사진 한 장이 올라왔다. 통신요금이 758원이라고 적힌 요금 고지서였다. 에버그린모바일이라는 이동통신 서비스에 가입한 이용자가 고지서를 받아들고 믿기지 않았는지 직접 사진을 찍어 인터넷 카페에 올린 것이다.

    에버그린모바일을 비롯한 상당수 ‘알뜰폰’ 사업자들이 보통 1만 원이 넘는 기본료를 아예 없애거나 대폭 줄인 후불 요금제 상품을 내놓았다. 한국케이블텔레콤(KCT)은 3300원, 온세텔레콤은 5500원, CJ헬로비전은 6600원을 기본료로 하는 요금제를 내놓아 인기를 끈다. 통화를 많이 하지도 않는데 1만 원이 넘는 기본료를 내는 것이 억울했던 사용자들에게는 희소식이 아닐 수 없다.

    이 같은 알뜰폰 등장은 2011년 7월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MVNO) 서비스 제도를 도입하면서 가능해졌다. 이 제도는 KT, SK텔레콤, LG유플러스 등 3대 이동통신사로부터 망을 빌려 좀 더 저렴한 가격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하지만, MVNO 사업자는 주파수를 할당받은 이동통신사의 망을 통해 독자적인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운영비를 최소화해 3대 이동통신사보다 저렴한 요금제를 내놓는 것이 특징이다. 최근에는 어려운 MVNO 서비스라는 용어 대신 알뜰폰 서비스라고 부른다. 통신비 절감을 원하는 사용자들에게조차 MVNO 서비스가 잘 알려지지 않아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와 한국MVNO협회가 알뜰폰 브랜드 이미지를 만들었다.

    이동통신 순증 가입자 84% ‘알뜰폰’

    2012년 알뜰폰 서비스는 큰 성과를 내지 못했다. 10월에 힘겹게 가입자 100만 명을 달성했다. 2011년 7월 MVNO라는 이름으로 사업을 시작한 지 1년 3개월 만이었다. 100만 가입자 모집에는 예상보다 시간이 오래 걸렸지만 가입자 증가 속도에 서서히 탄력이 붙는 추세다. 여기에 후불 MVNO와 롱텀에볼루션(LTE) MVNO 서비스까지 도입하는 2013년부터는 가입자가 급격히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2013년부터 이마트와 홈플러스 등 대형 유통사업자가 가세하고 SK텔링크, 티브로드 등이 사업을 확대하면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방통위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국내 알뜰폰 사업자는 SK텔레콤 제휴사가 5곳, KT 제휴사가 10곳, LG유플러스 제휴사가 9곳 등 총 24곳이다. 그중 CJ헬로비전이 가입자 20만 명을 돌파하면서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보였다.

    현재 알뜰폰 가입자 100만 명은 국내 전체 이동통신 가입자 5300만 명 중 1.9%에 불과하다. MVNO 서비스가 활성화한 영국은 MVNO 가입 비율이 12%가 넘고, 미국과 프랑스 등도 6~8%인 것과 비교하면 턱없이 작은 규모다. 하지만 선진국은 MVNO 서비스를 시작한 지 10년이 넘었다. 이를 감안하면 우리나라 MVNO 시장도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다. 전체 이동통신 가입자가 거의 늘지 않았음에도 알뜰폰 서비스 가입자가 증가한 것을 보면 더 낙관적이다. 실제로 상반기 이동통신 순증 가입자는 49만2000명인데 그중 84%인 41만2000명이 알뜰폰 서비스 가입자다.

    정부도 많게는 수십만 원에 이르는 가계 통신비 부담을 줄이려고 요금이 저렴한 알뜰폰 서비스 확산에 팔을 걷어붙였다. 4월 MVNO 번호이동제도를 도입하면서 가입자 증가에 탄력이 붙은 것이 대표적이다. 6월까지는 제도가 제대로 알려지지 않아 번호이동 건수가 월 1000건 미만이었지만 7월 5000건, 8월 8000건, 9월 1만 건으로 크게 증가했다. 업계에서는 2013년 4월 선불 알뜰폰 가입자 번호이동을 허용하면 MVNO 서비스에 한층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알뜰폰 사업자들도 영업에 적극 나섰다. 케이블방송사인 티브로드는 N스크린 서비스(정보 기기 여러 개로 같은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차세대 네트워크 서비스)까지 제공하면서 차별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2013년 1월 LTE 파격 요금제 나올까

    알뜰폰 서비스가 제대로 자리 잡으려면 아직도 헤쳐나가야 할 난관이 많다. 무엇보다 그동안 LTE 서비스에서는 알뜰폰이 제 힘을 발휘하기 힘들었다. SK텔레콤망을 사용하는 알뜰폰 사업자는 LTE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KT가 9월부터 알뜰폰 사업자들에게 LTE망을 제공하기 시작했지만, 도매대가 방식이 아닌 수익배분 방식이라 요금인하에는 한계가 있었다. LTE망이 도매 제공 의무 대상에서 제외된 탓이다.

    정부는 MVNO 서비스 제도를 도입하면서 3대 이동통신사의 MVNO 도매 제공을 의무화했다. 그러나 LTE는 신규 서비스라는 이유로 도매 제공 의무 대상에서 뺐다. 인프라 구축에 천문 학적인 비용이 들었는데 벌써 도매를 제공하면 손해가 크다는 이동통신사의 목소리를 들어준 것이다. 하지만 LTE가 이동통신시장에서 주류로 자리 잡으면서 알뜰폰 활성화를 위해서는 LTE 서비스 제공이 필요해졌다.

    다행히 2013년부터는 알뜰폰으로도 LTE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알뜰폰에 LTE망을 제공하지 않았던 SK텔레콤이 1월부터 알뜰폰 사업자에게 도매를 제공하기로 한 것이다. SK텔레콤은 3세대(3G)와 동일한 수준의 도매대가로 망을 임대해줄 예정이다. 파격적인 LTE 서비스 요금제가 나올 수도 있다는 얘기다. SK텔레콤에 이어 KT와 LG유플러스도 LTE망을 도매대가 방식으로 제공할지가 관심사로 떠올랐다.

    SK텔레콤망을 사용하는 알뜰폰 사업자는 KCT, SK텔링크, 아이즈비전, 유니컴즈,한국정보통신(KICC) 등이다. 이들은 당장 2013년 1월부터 저렴한 요금으로 LTE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단말기가 문제다. 사업자들이 LTE 단말기를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있어 실제 알뜰폰 LTE 서비스 개시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중국 ZTE와 국내 중소 제조업체 등으로부터 중저가 스마트폰을 공급받을 수는 있다.

    부족한 대리점 문제는 온라인으로 해결하고 있다. 옥션은 오픈마켓 최초로 국내 주요 알뜰폰 업체를 한데 모은 MVNO 전문관 ‘옥션알뜰폰시장’을 오픈했다. 편의점도 알뜰폰 대리점으로 활용된다. 선불이동전화 전문업체 프리피아는 알뜰폰 사업자 SK텔링크와 함께 편의점 세븐일레븐, 온라인 쇼핑몰 프리피아몰(www.prepiamall.co.kr)에서 초저가 3G 휴대전화 ‘세컨드(2nd)’ 판매를 시작했다. 업계 관계자는 “전국적으로 대리점이 부족하고 홍보도 아직 덜 돼 알뜰폰 확산이 더디다”면서 “하지만 기본료가 저렴한 알뜰폰 사용으로 한 사람당 월 1만5000원~3만 원 통신비를 줄일 수 있다는 점이 두루 알려지면 가입자가 급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