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772

2011.01.24

고전발레? 비틀고 꼬집고 그래야 누구나 즐기죠

노숙인과 ‘희망의 스텝’ 제임스 전 한국형 창작발레 계속 만들 터

  • 이설 기자 snow@donga.com

    입력2011-01-24 11:11: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고전발레? 비틀고 꼬집고 그래야 누구나 즐기죠
    제임스 전. 국적을 가늠하기 힘든 이름이다. 이름만큼 나이도 아리송하다. 탄탄한 몸집은 30대, 몸에 착 감기는 슈트와 스트라이프 넥타이로 멋을 낸 패션 센스는 40대처럼 보인다. 올해 쉰한 살. “몸이 허락하는 한 춤을 추겠다”는 미중년 발레리노를 1월 11일 경기 과천시민회관 서울발레시어터 사무실에서 만났다.

    최근 한 기업의 캠페인이 화제를 모았다. 콘셉트는 ‘발레리노와 노숙인’. 서울발레시어터(Seoul Ballet Theater·이하 SBT) 상임안무가 제임스 전(51)이 노숙인 잡지 ‘빅이슈’ 판매원들에게 발레를 가르쳐 자신감을 되찾아주자는 운동이다. 주뼛주뼛 두리번두리번. 낯선 ‘거울방’을 불편해하던 노숙인들은 시간이 지나자 차츰 ‘표현’에 재미를 붙였다. 제임스 전과 함께 팔을 뻗고 발꿈치를 들어 올리며 이따금 과감한 동작도 시도했다.

    “제안한 기업은 좀 더 감동적인 드라마를 원했어요. 저는 ‘그건 시간이 필요한 일’이라며 거절했죠. 대여섯 번 수업을 하다 보니 서로 간 믿음이 생기는 순간이 왔어요. 거창하게 자신감 회복보다 발레를 즐기는 모습, 예쁜 여자 단원이랑 파티 신을 할 때 웃음 짓는 모습을 보니 흐뭇했습니다.”

    기업의 제안으로 시작한 일. 하지만 그는 노숙인들과 잡은 손을 놓지 않고 또 다른 기적을 준비 중이다. 올해 말 몇몇 노숙인 제자와 무대에 오를 예정이다. 그는 “1월부터 한 달에 두 번씩 연습에 들어간다. 그분들이 오해를 하거나 마음을 다치지 않도록 조심스레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그와 함께 수업한 노숙인들은 이구동성으로 “선생님의 태도에 감동받았다”는 말을 전했다. 실제 그는 노숙인에 대한 편견이 없다. 오히려 친근함을 느끼는 편이다. 거리의 사람들을 향한 애정은 1980년대 뉴욕 시절에 뿌리를 두고 있다. 당시 그는 남편과 아들이 사고로 죽자 충격을 이기지 못하고 거리로 나간 재벌, 이유 없이 거리생활을 택한 사람들의 사연을 숱하게 보고 들었다.



    “아무도 내일을 몰라요. 누구나 언제든 길거리 생활과 맞닥뜨릴 수 있어요. 실수나 선택일 수 있고, 사소한 일로 파멸할는지도 모르죠. 저는 그 사실을 잘 알고, 그래서 그들을 이해합니다.”

    물론 본인도 힘든 시간을 겪었다. 제임스 전은 열두 살 때 미국으로 건너갔다. 형 둘, 누나 넷. 7남매 중 막내로 귀여움만 받고 자랐다. 그런 탓일까. 성인이 될 때까지 본인이 한국인인 줄 몰랐다. 영어가 서툰 처음 얼마간만 놀림을 받았을 뿐, 서양인 여자친구를 사귀고 친구들 사이에서 대장 노릇을 하며 떠들썩한 사춘기를 보냈다.

    올해 노숙인과 또 다른 기적 준비

    고전발레? 비틀고 꼬집고 그래야 누구나 즐기죠

    “자식 대신 SBT를 키운다”는 제임스 전·김인희 부부.

    거리낄 것 없던 막내에게 어려움이 찾아온 것은 춤을 만나면서부터. 전공이던 ‘회계학’ 대신 무용가의 길을 가겠다는 그의 선언에 부모님은 노발대발했다. 뒤늦게 찾아온 춤을 향한 가슴앓이. 결국 그는 홀로 줄리아드 음악원 무용원의 문을 두드렸다.

    영화 ‘솔로이스트’는 몰락한 천재 음악가의 이야기를 그렸다. 줄리아드 음악원에 다니다가 정신분열증으로 거리의 인생을 살게 된 첼리스트 나다니엘 에어스가 실제 주인공이다. 영화처럼 줄리아드는 최고인 만큼 경쟁이 살벌했다. 끼 많고 욕심 많은 학생들과 수시로 날아드는 교수들의 냉혹한 평가. 제임스 전도 그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고군분투했다.

    “처음에는 정신적으로 굉장히 힘들었어요. 1년에 두 번 진행하는 면담에서 교수들이 저를 앞에 두고 언쟁을 벌여요. 반반씩 나눠 (저에 대한) 퇴출 가부를 토론하는데, 굉장한 스트레스였죠.”

    춤을 늦게 배운 데다 평발이라 성과도 좋지 않았다. 스페인이나 인도 등지의 민속춤은 추면 ‘각’이 나오는데, 발레는 그렇지 않았다. 아르바이트까지 겹쳐 심신이 편할 날이 없었다. 급기야 한 교수가 “제임스는 인도 무용수가 되면 어떻겠느냐”라는 말을 건넸다. 심하게 구겨진 자존심. 그때부터 이 악물고 열정 하나로 버텼다.

    “당시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무릎까지 다쳐 상심이 컸죠. 다치면 무용 인생은 끝장나는 거니까요. 한데 곰곰이 생각하니 오기가 생기더군요. 줄리아드 선생들이 나쁜 건 아닌데 스트레스를 많이 줘요. 나가면 더 살벌하니 여기서 이겨내야 한다는 거죠.”

    죽도록 일하고, 춤추고, 연애한 뉴욕 시절은 제임스 전의 암흑기이자 황금기였다. 1980년대 뉴욕은 예술의 메카였다. 예술을 꿈꾸는 젊은이들이 세계에서 몰려들었고, 원하는 무엇이고 할 수 있었다. 뮤지컬, 음악, 디자인…. 다양한 꿈을 꾸는 사람들을 만나 고민과 술잔을 나눴다. 그는 “당시 경험이 지금 창작의 원천”이라고 설명한다. 제임스 전은 대학 졸업 후 미국 플로리다발레단, 모리스 베자르 발레단, 유니버설발레단을 거쳐 1994년 국립발레단에 입단했다. 1987년 유니버설발레단 공연에서 만난 김인희(47) 씨와 결혼해 ‘발레계 잉꼬부부’로 유명해졌다. 1995년 수석무용수로 활약하던 부부는 국립발레단을 나와 SBT를 세웠다. 아내는 단장을, 제임스 전은 상임안무가로 SBT를 이끌고 있다. 국내 순수 민간 발레단은 SBT가 유일하다. 국립발레단은 국가가, 유니버설발레단은 통일교 재단이 후원한다.

    고전발레? 비틀고 꼬집고 그래야 누구나 즐기죠
    SBT는 지난해 15년을 맞았다. ‘발레의 대중화’를 내세우며 야심차게 출발했지만 상황은 녹록지 않았다. 그간 존폐 위기를 겪으며 사재도 여러 번 털었다. 꾸준히 창작발레를 발표하며 자리를 다진 SBT. 하지만 그는 “아직 한참 멀었다”라고 자평한다.

    “유럽은 더 이상 고전발레를 안 해요. 고전을 재연출하고, 세팅도 간소화하는 등 창작발레가 주를 이루죠. 한데 우리는 발레라면 클래식만 떠올려요. 아직 갈 길이 멀다고 봅니다.”

    SBT는 그간 ‘현존’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등 전막 창작발레 10편과 ‘손수건을 준비하세요’ ‘백설공주’ 등 창작 소품발레 90여 편을 선보였다. 제임스 전이 직접 고전을 비틀어 재해석한 작품들이다. 올해 그의 고민은 SBT를 이끌 후임 안무가를 찾는 것. 그는 “철학이 확고한 안무가를 찾기가 생각보다 힘들다”라며 아쉬움을 표했다.

    “창작은 편집이 아니에요. 완성도 높은 작품은 안무가의 경험과 철학에서 탄생합니다. 열심히 찾고 있지만, 반짝반짝하는 후임을 아직 못 만났습니다. SBT를 스무 살까지 키운 뒤 미련 없이 떠날 계획입니다. 그리고 그간 못 산 제 인생을 살아야죠. ‘제임스 전 카페’를 열고 싶어요(그는 요리 애호가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