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658

2008.10.28

월가 CEO들 도덕적 해이 심각

  • 동아일보 뉴욕 특파원 higgledy@donga.com

    입력2008-10-20 17:40: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Crook(사기꾼)!” “Cap. Greed(탐욕스러운 사람)!” “Shame(창피한 줄 알라)!” 10월6일 미국 하원 감독행정개혁위원회(이하 위원회)의 금융위기 관련 청문회가 열리고 있던 미 국회의사당. 9월15일 파산을 신청한 투자은행 리먼브러더스의 리처드 펄드 최고경영자(CEO)가 청문회장으로 들어서자 시민단체 회원들이 성난 표정으로 분노가 담긴 피켓을 흔들었다.

    한때 수천만 달러에 이르는 연봉과 화려한 사교생활로 모든 사람의 부러움을 샀던 미국 월가의 CEO들이 수난을 겪고 있다. 세계 금융시장이 대공황 이후 최악의 위기에 빠져든 데 대한 비난의 화살이 이들에게 쏟아지는 것이다.

    펄드는 청문회가 진행되는 5시간 동안 리먼브러더스의 파산 원인에 대해, 자신이나 리먼브러더스의 책임을 인정하지 않았다. 그는 대신 리먼의 파산을 허용한 미 재무부와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위기를 부추긴 언론, 주가 하락을 부추긴 주식시장의 공매도 세력에 책임을 돌렸다. 그러나 위원회의 의원들은 이 같은 펄드의 태도를 이해하지 못하겠다는 듯 비난이 담긴 질문과 논평을 쏟아냈다.

    리먼브러더스 청문회 지켜본 미국 시민들 분노

    청문회가 진행될수록 월가 CEO들의 도덕성을 의심케 하는 사실들이 잇따라 드러났다. 헨리 왁스먼 위원장은 리먼이 파산보호를 신청하기 나흘 전인 9월11일, 3명의 퇴사 예정 간부에게 ‘특별급여’로 2300만 달러(약 300억원)를 지급하는 계획을 승인했다고 폭로했다. 망하기 직전의 회사가 돈잔치를 벌인 것이다. 왁스먼 위원장은 차트까지 제시하며 “펄드 씨는 2000년부터 급여와 보너스 등으로 모두 5억 달러를 벌었다”며 “이것이 파산한 회사의 CEO로서 온당한 일이냐”고 따져 물었다.



    다음 날 계속된 청문회에서는 AIG 경영진의 도덕적 불감증이 도마에 올랐다. 지난달 중순 미 정부로부터 850억 달러의 긴급 구제금융을 지원받아 간신히 파산을 모면한 AIG 경영진은 구제금융을 받은 지 일주일도 안 돼 로스앤젤레스 인근 호화 리조트에서 골프와 마사지, 출장 뷔페 등을 즐기며 44만 달러를 쓴 것으로 드러났다. 위원회 의원들은 청문회에 출석한 AIG의 전 CEO들에게 “국민이 일자리와 집을 빼앗긴 채 경제적으로 고통받는 상황에서, 국민 세금으로 간신히 살아난 회사의 경영진이 회사 돈으로 사치스러운 리조트를 찾는 게 말이 되느냐”며 다그쳤다.

    잇따라 드러난 월가 CEO들의 ‘도덕적 해이’는 가뜩이나 정부의 구제금융 조치에 대해 ‘위기를 자초한 월스트리트를 왜 우리 돈으로 살려야 하느냐’고 생각하는 일반 국민을 자극하기에 충분했다.

    어쩌면 월가 CEO들의 화려했던 시절은 다시 올 수 없을지도 모른다. 미국 정부는 7000억 달러의 구제금융을 통해 부실자산 매입, 지분매입 등의 혜택을 받는 금융회사들은 경영진에 대해 50만 달러 이상의 보수를 제공하지 못하게 하는 등 강력한 제재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