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593

2007.07.10

석간 무료신문 ‘더 시티’ 조충연 대표

“성공 비결? 새 정보유통 채널이거든요”

  • 정호재 기자 demian@donga.com

    입력2007-07-04 15:44: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석간 무료신문 ‘더 시티’ 조충연 대표

    ●1973년 출생<br>●중앙대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졸업<br>●1997년 한국신문협회 기획실<br>●2001년 ‘메트로 서울 홀딩스’ 대표<br>●2002년 메트로신문 실장<br>●2003년 포커스신문사 경영기획<br> 실장 상무<br>●2006년 ‘더 시티’ 대표이사

    조금 과장해서 말한다면 서울시내 퇴근길 풍경을 변화시켰다고나 할까? 5월2일 창간된 무료신문 ‘더 시티(The City)’의 후폭풍이 거세다. 인쇄매체의 퇴조 경향이 심화되는 현실에서 버스와 지하철 이용객들이 갑작스레 무료신문을 펼쳐들었으니 말이다.

    ‘더 시티’의 또 다른 의미는 그동안 수면 아래서 활약하던 무료신문 업계의 ‘괴물’을 수면 위로 끌어올렸다는 데 있다. ‘더 시티’ 조충연 대표(34)가 바로 그 사람. ‘괴물’이라면 일단 부정적인 이미지를 떠올리게 마련이다. 실제로 ‘더 시티’가 창간될 때 지하철 신문가판 종사자들은 ‘생존권 위협’을 내세워 극렬한 반대시위를 벌였다. 뿐만 아니라 조간시장에서 ‘메트로’와 ‘포커스’ 이후 ‘AM7’ ‘데일리 노컷뉴스’ 등 적잖은 조간 무료신문이 제살깎기 경쟁을 벌이는 와중에 일곱 번째 무료신문을 시도한 것 자체로 “무모하고 소모적이다”는 비난을 받았다. 그러나 ‘더 시티’는 모두의 예상을 뒤엎고 성공가도를 질주하고 있다.

    국내 무료신문 개척한 장본인

    “두 달이 채 안 된 신생 매체인데도 독자 반응이 폭발적입니다. 배포부서의 요청으로 순식간에 40만 부까지 늘었습니다. 광고수요 역시 ‘메트로’ ‘포커스’ 초창기 성장률의 2~3배에 이릅니다.”

    조 대표를 ‘괴물’이라고 부르는 것은 이제 30대 중반 나이에 국내 무료신문 시장을 개척한 주인공이기 때문이다. 그는 2001년 국내 최초의 무료신문인 ‘메트로 서울’의 창간 주역이며, 2003년 다시 ‘더 데일리 포커스’의 창간을 주도했다. ‘더 시티’는 그의 세 번째 작품일 뿐 아니라 여타 무료신문 창간에도 깊숙이 관여했으니, 대한민국 무료신문 시장의 설계자라 해도 무방할 정도다.



    조 대표의 면면을 살펴보면 보수적인 신문업계가 아니라 벤처업계에서 활약해온 이 같은 인상을 풍긴다. 그가 처음 한국형 무료신문을 기획했을 때 나이가 만 28세. 졸업 후 첫 직장인 한국신문협회 기획부에서 4년째 일하던 2001년의 일이었다.

    그러나 당시 그의 구상으로는 신문업계 선배들을 설득해낼 수 없었다. 이에 그는 좌충우돌식으로 자본금 5000만원으로 독자회사를 설립한 뒤 30억원을 투자받아 우여곡절 끝에 스웨덴 무료신문인 ‘메트로’를 들여오게 된다. 이후 5년 가까이 무료신문 실무에 매달리다 이번에 ‘더 시티’를 창간하면서 대표이사 자리에 오른 것. 한마디로 아무 배경 없이 기획력과 추진력만으로 국내 최연소 언론사 최고경영자(CEO)가 된 셈이다.

    ‘더 시티’는 ‘집으로 가져가는 신문(Take Home Newspaper)’이라는 기치 아래 국내 최초의 석간 무료신문이라는 컨셉트를 내세웠다. 그런데 그간 10여 종의 무료신문이 명멸할 정도로 치열한 시장에서 왜 석간시장만 비어 있었던 것일까? 먼저 창간배경부터 물었다.

    젊은 층 공략, 뉴미디어와도 결합

    “진정한 의미의 석간신문이 없었기 때문에 가능한 도전이었습니다. 현재 배달판 석간의 기사 마감시간은 오전 11시지만, 무료신문은 오후 3시30분 마감해 5시에 배포가 가능합니다. 독자 처지에서는 그날 뉴스를 퇴근길에 소화할 수 있다는 점이 매력입니다. 게다가 다른 모든 무료신문이 조간시장에서 경쟁했던 것도 기회가 됐죠.”

    석간 무료신문 ‘더 시티’ 조충연 대표

    5월2일 창간된 석간 무료신문 ‘더 시티’가 신문시장에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석간시장에 진입한 과정을 살펴보면 그가 얼마나 도전적이고 치밀한 기획력을 지녔는지 알 수 있다. 이제까지 석간 무료신문이 없었던 이유는 판매인들의 저항이 심했고, 무엇보다 석간 광고시장이 과소평가됐기 때문. 그러나 그는 ‘배달판 유료 석간신문’의 약점을 ‘무료신문’으로 돌파하며 시장 파이를 키우는 데 성공했다. 나아가 그는 “머지않아 유료신문들이 무료신문 진영으로 넘어올 것”이라고 예상한다.

    하지만 무료신문에 대한 세간의 편견과 비난은 여전하다. 우선 자체 기자가 부족해 내용이 가볍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선정적일 수밖에 없다는 것. 게다가 신문가판대 판매원들의 생계를 위협했다는 ‘원죄’까지 안고 있다.

    “신문 가판업자들의 반발을 충분히 이해할 뿐 아니라 도의적인 책임을 느낍니다. 그러나 실제 저녁 6시 이후 서울시내 지하철에서 팔리는 석간신문은 1000부 정도에 그쳤어요. 조간시장이 이미 죽은 상태에서 석간시장 재편은 불가피했습니다.”

    내용이 선정적이라는 대목에서는 오히려 조 대표가 먼저 목소리를 높였다. “무료신문의 애독자가 바로 청소년, 학생층입니다. 제가 관여했던 ‘메트로’ ‘포커스’‘더 시티’에서는 단 한 번도 나이트클럽 광고나 무허가 대부업체 광고를 실어본 적이 없습니다. 선정적인 만화도 일절 거부했어요.”

    무료신문의 주요 독자층의 하나가 학생이라는 점이 흥미롭다. 신문을 공짜로 얻을 수 있다는 점과, 연예뉴스와 만화가 실린다는 점 때문에 학교에 가져가 돌려 보는 경우가 많다는 것.

    “심지어 무료신문 제작이 자원낭비라고 지적하는 분도 있습니다. 저는 감히 독자의 선택을 매도하지 않아야 성공할 수 있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우리는 젊은 층이 인쇄매체를 접하는 기회를 넓힌다는 자부심으로 사회적 공익성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무료신문은 신문일까요, 아닐까요.” 조 대표가 질문했다. 답변하기 어려운 물음이지만 그의 답은 명쾌했다. “형태는 타블로이드 신문이지만 신문은 아닙니다. 광고주들이 바라보는 시각이 정답입니다. ‘무료신문은 광고 효과가 좋은 매체’일 뿐. 무료신문은 오히려 ‘네이버뉴스’ 같은 포털과 유사합니다. 새로운 정보유통 채널,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닙니다.”

    그는 무료신문이 기존 신문과 마찬가지로 ‘콘텐츠’에서 승부가 갈렸다면 신문사나 방송사가 만든 무료신문이 성공했어야 옳다고 지적한다. 그러나 많은 경쟁자가 오로지 콘텐츠에 집중할 때, 성공은 효과적인 전달에 무게를 둔 매체에 돌아갔다는 것.

    ‘더 시티’는 ‘지하철 대표미디어’를 목표로 한다. 기존 활자매체들이 ‘집’과 ‘사무실’ 배달에 집중한다면, 무료신문은 끊임없이 이동하는 젊은 층을 집중 공략하면서 뉴미디어와 결합하겠다는 전략이다.

    그간 여러 무료신문 창간에 관여하며 실무 책임에 만족했던 그가 이번에 ‘더 시티’를 만들면서 대표이사를 고집한 이유도 흥미롭다.

    “무료신문에 관심을 보인 언론사들과 함께 일하면서 기존 조직이 가진 한계를 절감했습니다. 전문 경영인에 대한 신뢰가 부족하고 조직의 이해관계가 엉켜 효율적인 의사결정이 어렵더군요. 그래서 이번에는 제가 전면에 나서고 싶었어요. 저는 일종의 몽상가입니다. 그러나 구상을 실천에 옮겼기 때문에 여기까지 올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