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504

2005.10.04

달마스님의 賢答

  • 동아일보 문화부 기자

    입력2005-09-28 16:20: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9년 면벽 세월을 보내던 달마 스님에게 신광이란 40대 승려가 찾아왔다. “법을 구하기 위해서라면 목숨도 버릴 수 있다”며 품고 온 칼로 덜컥 자신의 왼팔을 잘라버린 신광에게 달마 스님은 “네 마음을 가져오라”는 말을 던졌다. 그 말 한마디에 신광은 평생을 붙잡고 살아온 불안을 씻은 듯 떨쳐버릴 수 있었다.

    마음이라, 도대체 그것이 무엇이던가. 형상도 없고 잡을 수도 없는 것을 붙잡고 나는 왜 그리도 스스로를 할퀴었던가. 신광은 달마 스님에게 넙죽 엎드렸다. 달마 스님에서 시작한 선불교가 중국에 뿌리내리는 순간이었다. 신광은 바로 중국 선불교의 제2대 조사인 혜가(慧可, 487~593) 스님이다. ‘혜가’는 달마 스님이 내린 이름이다.

    혜가 스님의 속성은 희(姬). 중국 허난성(河南省) 뤄양(洛陽) 부근)에서 태어났다. 그가 출생한 시대는 중국이 남북조(南北朝)로 나뉜 복잡다단한 때였다. 온 나라가 전쟁에 휩싸여 있었고 크고 작은 나라들이 마치 물거품처럼 일어났다 사라졌다.

    어려서부터 총명한 데다 용모가 수려해 부모의 자랑이던 그는 노장과 유학 사상을 깊이 공부했는데 특히 ‘시경’ ‘역경’에 정통했다 한다. 그러나 철이 들면서 어지러운 세상살이에 염증을 느끼고 세속의 지식이 궁극적인 것이 아님을 깨달아 불문에 들어선다.

    그가 출가한 곳은 뤄양 용문 향산사, 스승은 보정(寶靜) 선사였다. 신광의 학식과 인품, 덕목은 곧 널리 알려졌다. 마침내는 위나라의 국사(國師) 자리에까지 오르게 됐다. 국사란 왕을 보좌하며 국정을 함께 하는 승려다. 그는 문무백관이 지켜보는 가운데 왕실에서 매달 설법을 했다. 그러나 정작 그의 내면은 치솟는 번뇌의 불길 때문에 행복하지 않았다. 그러던 어느 날, 달마 스님이 소림사에서 면벽수도를 하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그를 찾아가기에 이른 것이다.



    스님을 만나자마자 그가 물은 것은 “진리가 무엇입니까” 혹은 “불법이 무엇입니까” 하는 현학적 질문이 아니었다. 대신 그는 “제 마음이 편하지 않습니다”라고 했다. 이 얼마나 단순하면서도 솔직한 질문인가.

    혜가 스님에게 불법은 삶과 유리된 것이 아니었으며, 그 질문에는 그러한 진정성과 순수성이 잘 묻어나 있다. 내게 부닥친 문제는 ‘지금 내가 불편하고 불안하다’는 것, 바로 그 실존의 문제라는 것을 이 질문은 여실히 보여주고 있음이다.

    이에 대한 달마 스님의 대답 또한 얼마나 절묘한가.

    “편치 않다는 네 마음을 가지고 오라.”

    그는 불교가 어떤 것이다, 이러이러하면 마음이 편해진다는 방편이나 위안을 준 것이 아니라, 가장 본래적이고 근원적인 상대의 마음 자체를 적나라하게 파고들었다. 뒤이은 혜가의 “찾아도 찾을 수 없다”는 말은 단지 ‘마음이 발견되지 않는다’는 절망의 표현이 아니라, 마음의 본질을 이해한다는 자기 확신을 의미한다. 말 그대로 직지인심(直指人心)이다. 두 사람의 대화는 ‘마음을 편안하게 한다’는 내용이라 하여 ‘안심(安心)법문’이라 한다.

    달마 스님의 말대로 선불교는 ‘마음’에 관한 종교다. 불안한 마음, 두려운 마음, 놀라는 마음, 기쁜 마음, 슬픈 마음, 노여운 마음. 그 수많은 마음에 대한 탐구가 바로 선불교인 것이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