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472

2005.02.08

“母性은 여성 전유물 아닙니다”

7년차 남자 주부 오성근씨의 어머니論 “애정 갖고 자녀 키우는 데 남녀 구분 필요 있나요”

  • 김문영/ 자유기고가 mykim@empal.com

    입력2005-02-03 14:39: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母性은 여성 전유물 아닙니다”
    세식구 지내기에 넉넉한 아파트가 있고, 요즘처럼 어려운 시기에 착실히 일해서 월급 꼬박꼬박 가져오는 아내가 있다. 가사는 이제 완전히 몸에 익어 그다지 특별할 것도 없고 오로지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딸아이가 밝고 맑게 자라주기만을 기도하며 아이 교육에만 힘쓰고 있다. 7년차 ‘남자 주부’ 오성근씨(40)의 행복한 삶과 어머니로서의 속내를 들여다봤다.

    경기 과천시의 한 아파트로 찾아간 것은 늦은 아침이었다. 아내는 출근했을 시간이고, 아이도 유치원에 갔으리라는 생각과 달리 문을 열어준 사람은 오씨의 딸 다향이었다. 감잎차를 내온 오씨에게 꺼낸 첫마디가 “아이 유치원에 갈 시간 아니냐”는 질문. 일반 유치원과 다르게 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은 초등학교와 똑같이 방학을 길게 한단다.

    일곱 살이면 곧 입학을 해야 할 것이고, 남들은 일찌감치 영재교육이니 뭐니 해서 피아노학원 영어학원 보내느라 바쁠 때 아닌가. 전인교육의 미명 아래 요즘 아이들은 체육, 음악, 미술 할 것 없이 기본 이상의 실력을 갖추도록 요구받는다.

    “전인교육에 관해서는 이윤기 선생님이 한 얘기가 있어요. ‘너는 전인이냐’는 거죠. 어떻게 모든 것을 다 할 수가 있겠어요. 우리는 그렇게 키우지 않을 것이고, 그렇게 키울 능력도 안 돼요.”

    “집안 지키는 엄마들 사라지는 추세 … 엄마 역할 하는 남편 어때요”



    엄마들이 아이들을 일찌감치 학원으로 내모는 이유는 자기 아이가 다른 아이들에게 뒤떨어지지 않을까 걱정해서다. 또 아이들이 전부 학원에 가 있기 때문에 학원에 가지 않은 아이는 친구조차 못 사귄다고 한다. 하지만 오씨는 이러한 엄마들의 걱정이 잘못된 사회구조 탓이기도 하지만 엄마 자신들에게도 문제가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엄마 노릇을 한 지 7년째. 오씨에게 더 이상 집안일은 힘들거나 어려운 일이 아니다. 주부가 요리사 아닌 다음에야 간혹 만들어 먹는 특식쯤은 요리책을 보고 만들어도 될 일이고, 나머지 가사는 몸에 익은 지 오래다. 그래서 오씨는 가장 힘든 일이 아이 키우는 것이고, 아이 교육이 가장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일이라고 말한다.

    “母性은 여성 전유물 아닙니다”

    오성근씨가 딸과 블록쌓기 놀이를 하고 있다.

    교육은 특별한 지식이나 노하우가 필요한 게 아니다. 아이에게 직접 영어를 가르치자고 영어책을 들여다봐야 하는 그런 것이 아니라, 살을 맞대고 사랑한다고 말해주고 아이와 함께 놀아주는 것이 오씨의 교육이다. 지금의 아파트로 이사 오기 전, 서울대공원 근처에 살았을 때는 일주일에 3~4일은 아이와 대공원에 놀러 갔다. 주말에는 아내와 함께 강원도에 사는 선배 집을 찾아가 썰매도 타고 장작불에 고구마도 구워 먹으며 놀았다. 집안에서 아이와 함께 블록쌓기 놀이를 하고 인형놀이도 한다. 학원에 다니지 않으면 친구를 못 사귀어서 어쩌나 하는 고민은 아이들과 놀아줄 줄 모르는 엄마들의 변명일 뿐이다.

    “요즘 엄마들은 ‘돈’으로 아이를 키우려 하거든요. 아이들과 어떻게 시간을 보내야 할지 모르니까 놀이방에 보내고 학원에 보내는 거죠. 아이와 논다는 게 꽤 힘든 일이기 때문이기도 하고, 그 엄마들이 제대로 놀아본 경험이 없기 때문이기도 할 거예요.”

    엄마들은 아마도 “우리도 아이와 많은 시간을 보내고 싶다”고 말할 것이다. 하지만 집안을 지키고 있는 엄마는 점점 사라지고 있다. 서울 시내 고급 유치원 수업료가 국립대학 수업료를 훨씬 웃도는 요즘 같은 시대에, 엄마라고 집안에서 살림만 하며 지내고 있을 수 없다. 둘이 함께 열심히 벌어도 아파트값 융자금 갚고 아이 교육비 대기 빠듯한 것이 우리네 삶이다. 아이 놀이방 보내는 엄청난 비용을 감수하더라도 일터로 나가야 하는 것이 엄마들이고 비단 경제적 이유만이 아니라도 바깥일을 해서 돈 벌어오는 구실을 자처하는 여성들이 점점 늘고 있다.

    아빠도 마찬가지다. 새벽같이 출근해서 밤늦도록 일하고 휴일 하루나마 집에서 지친 몸을 달래다 보면 아이와 놀아줄 여유는 없다. 그래도 휴일에 종일 잠만 자는 나쁜 아빠가 되지 않기 위해 근교로 드라이브라도 나가야 하는 것이 우리 시대 아빠들의 피곤한 처지다.

    오씨는 엄마도, 아빠도, 아이도 행복하지 않은 이런 삶 대신 많이 가지지 못했어도 행복한 삶을 살기 원했다. 육아를 위해 한 사람이 일을 포기하면 아이 교육비에 남들처럼 많은 돈을 쓸 수도 없고 좋은 집, 좋은 차를 가질 수도 없다. 남자로서 가사와 육아를 전담하면서 생판 남은 물론이고 가족들에게서조차 ‘남자가 오죽 못나서 집안일이냐’는 식의 불편한 시선을 받아야 했다. 하지만 오씨 부부에게 행복한 삶이란 세 식구가 함께 즐기며 아이가 밝고 맑게, 한 사람의 바람직한 인간으로 성장해주는 삶이다.

    오씨가 전업주부로 전직한 것은 7년 전 딸 다향이가 태어나면서다. 부부는 아이는 엄마 손에서 자라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여겼고, 공무원 일을 계속하고 싶어한 아내의 의견을 존중해 오성근씨가 엄마 역을 맡기로 했다.

    양성평등을 주제로 이따금 강의를 다니는 그가 자주 강조하는 내용이 있다. ‘모성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라는 말이다. 모성이라는 것이 여성에게 주어지는 특별한 본능이 아니라 처한 상황과 자세에 따라 키워지는 것이라는 얘기다.

    “밤중에 아이가 아파서 칭얼대기라도 하면 저는 자다가도 벌떡 일어나 아이를 살펴봐요. 하지만 아내는 아무것도 모르고 잡니다. 아이의 이상한 낌새를 정말 눈치채지 못하는 것인지, 아이를 돌보는 것은 자신의 일이 아니라는 생각이 잠재돼 있어서 그런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분명한 것은 오랫동안 바깥일을 해온 아내보다 저에게 더 큰 모성본능이 자리하고 있다는 거죠. 남자는 바깥일을 해야 한다, 여자는 살림과 육아에 더 적합하다는 것은 편견에 불과해요.”

    “아이들과 놀아주는 데는 힘센 남성들이 더 적합”



    때로는 여자보다 남자가 아이를 돌보는 것이 더 적합하다는 생각도 한다. 비석치기나 구슬치기 같은 재미있는 놀이를 아이에게 알려주고 썰매를 만들어 함께 타기도 하며 오씨는 그렇게 자라온 어린 시절의 경험을 아이에게 전해줄 수 있어서 다행이라고 한다. 아이와 함께 놀며 굉장한 에너지를 소비해야 하는 일은 물리적으로 남자들에게 더 어울리는 일인지도 모른다고.

    아이에게 영재교육은커녕 남들 다 보내는 학원조차 보내지 않으면서도 오씨 부부는 아이의 미래에 대한 불안 대신, 아이 같은 희망과 기대를 안고 산다. 공무원인 아내의 근무지를 제주도로 옮겨달라고 신청해놓은 지 3년째. 아이가 초등학교에 입학하기 전에 꼭 발령이 나기를 기원하고 있다. 제주도로 옮기면 아이는 조그맣고 정겨운 학교에 다니게 될 것이고 공기 좋고 물 맑은 곳에서 세 식구가 단란하고 즐겁게 사는 것이 오씨 부부의 소박한 소망이다. 더불어 한 가지만 더 바란다면 공무원 월급이 좀더 올랐으면 좋겠다고, 오씨는 평범한 ‘주부’의 소박한 속내를 밝혔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