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261

2000.11.30

끊이지 않는 인종차별 ‘피부색’ 편견 안될 말

  • 입력2005-06-01 13:23: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언젠가 유엔 대표부 한국단장으로 흑인이 새로 부임해 왔다. 그 뒤 한국정부 대표들과 유엔 대표부 단장을 비롯한 외국직원들과의 공식모임에서 생긴 일이다. 한국 정부 대표들이 먼저 가서 악수를 청하고 인사를 한 대상은 흑인 단장이 아닌 백인 인턴사원이었다. 그는 정식직원도 아니었다. 그 이후로 유엔대표부에는 원칙이 하나 생겼다. ‘한국에 대표를 파견할 때는 반드시 백인으로 하라’.

    미국에 와서 문화를 공부하면서 가장 많이 화제에 오르는 것이 ‘인종 문제’다. 누가 만들었는지, 그 사람의 인격이나 위상 뿐만 아니라 모든 것을 황색, 흑색, 백색 등 피부색깔 하나로 단정지어버리는 편견의 외나무다리를 위험스럽게 건너는 사람들을 자주 보게 된다.

    민주화의 기수, 국제화의 표상으로 비치는 미국이건만 지역신문 한 구석에는 여전히 인종차별에 대해 호소하는 평범한 흑인들의 우울한 자화상이 비친다. ‘다르다고 나를 미워하지 마세요, 나는 당신들과 같이 먹고 자고 화장실엘 갑니다…중략… 내가 검다고 미워하지 마세요. 나는 당신과 다를 바 없습니다.’

    유럽에서는 유독 독일이 인종차별이 심하다. 독일인들은 다른 유럽국가와 달리 아프리카에 식민지를 만들지 않았다고 자부한다. 물론 짧은 기간이지만 서아프리카의 토고와 같은 나라를 식민지화했던 적이 있긴 하다. 그래서 그런지 독일의 어느 도시엘 가나 흑인은 그리 많지 않을뿐더러 필요해서 불러들인 터키인들을 이제는 일자리를 빼앗아 간다고 혐오한다. 네오 나치스트들의 활약(?)은 여전히 매스컴을 장식하고 있다. 예전 미국의 KKK단(백인 극우단체)처럼.

    작년 여름 미국 서부 오리건주의 포클랜드에서 열린 이문화(異文化) 워크숍의 마지막 날 일이다. 세계 각국의 이문화 전문가나 관련학과 학생들이 모여 이문화에 대해 배우는데 유명한 영국 노교수가 워크숍이 끝나자 미국 흑인여성을 꼭 껴안아주며 격려했던 장면을 잊을 수가 없다. 그 흑인여성은 워크숍이 진행되는 동안 줄곧 내 옆에 앉아 내 코를 자극했던 장본인이었다. 흑인 여자의 머리 냄새가 그리 지독한 줄 그때 알았다.



    색깔이 정말 그렇게 중요한 것일까. 색깔이 섞이면 정말 큰일나는 것일까. 황색과 백색, 흑색과 백색 아니면 황색과 흑색 등등…. 매너는 모든 색이 다 들어 있는 총천연 무지개 색이다. 어느 색이 들어오더라도 잘 어울릴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한두 가지 색깔로는 무지개 색을 만들 수 없기에 다른 색을 꼭 필요로 한다.

    물론 색깔이 섞이는 데에는 갈등이나 소외도 있을 수 있고 극단적인 싸움도 있을 수 있다. 하루가 걸릴 수도 있고 일년 아니 십 년이 걸릴 수도 있다. 어떤 이는 죽어 땅에 묻히면서까지 한 가지 색만을 가지고 간다.

    당신은 무슨 색입니까?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