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909

..

꼴값은 무슨… “마음에 물어봐!”

얼굴 생김새는 하드웨어 심상 바뀌면 얼마든 변화

  • 최상용 인문기학연구소장·동양철학 박사 choisy1227@naver.com

    입력2013-10-21 09:26: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꼴값은 무슨… “마음에 물어봐!”
    ‘관상’이란 영화가 세간의 화제가 되고 있다. 관상이란 얼굴 생김새를 통해 사람의 운명을 예측하는 일인데, 과연 그럴 수 있을까. 쉽지 않은 일이다. 관찰자 능력에 따라 다양한 예측 값이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모든 형체로 이뤄진 ‘꼴’은 에너지 값인 ‘꼴값’을 갖게 마련이다. 그 무형의 꼴값을 분석하는 게 관상이라 할 수 있다. 꼴값에 따라 혈색이 달라지고 형체 또한 변화를 일으킨다. 그래서 기(氣)의학이라 할 수 있는 동양의학에서는 환자 상태를 알아보는 방법으로 몸 생김새를 살피고 피부 색깔을 보는 관형찰색(觀形察色)을 우선시했다.

    기학(氣學)을 전공한 필자는 기의학적 측면에서 관상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 몸과 마음은 상호작용을 통해 영향을 주고받는데, 몸은 마음 상태 그대로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이를 동양학에서는 심기혈정(心氣血精) 원리로 파악한다. 다시 말해 마음(心) 상태에 따라 그에 상응하게 몸을 유동하는 기(氣)가 일어서고, 뒤따라 물질적 에너지원을 공급하는 혈액(血)순환이 이뤄져 세포 구성요소인 정(精) 또한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그래서 마음의 희로애락에 따라 파동 형태의 기를 뒤따르는 것들 역시 그 행보를 같이 하며 형체 변화를 일으킨다.

    관상에서는 형체를 이루는 근원인 마음을 중시한다. 그래서 ‘사주팔자보다 관상이고 관상보다 심상을 보는 게 낫다’고 하는 것이다. 늘 마음이 여유롭고 선한 사람, 혹은 항상 사특하게 흉심을 품은 사람의 얼굴은 누구나 금방 알아차릴 수 있다. 왜냐하면 우리의 정신인 ‘얼’이 담긴 ‘굴’이 바로 ‘얼굴’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나이 40이 넘으면 자기 얼굴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했다. 우리가 일상에서 갖는 마음이 그대로 얼굴에 반영되기 때문이다.



    이마와 눈이 관상에서 가장 중요

    그렇다면 어떤 관상이 좋을까. 이목구비의 전체적인 조화와 함께 혈색의 건강함이 최우선이다. 특정 부위가 좋다고 해도 전체적으로 조화롭지 못하면 당사자에겐 오히려 해로울 수 있다. 특히 혈색이 칙칙하면 해당 부위의 오장육부 역시 건강하지 못해 마음의 화평을 기대할 수 없다.

    관상을 볼 때 어느 곳을 가장 우선적으로 볼까. 결론적으로 말하면 이마와 눈이다. 가장 먼저 눈에 띄면서도 한눈에 글의 성격을 알 수 있는 제목이란 무엇을 의미할까. 사람 얼굴로 치면 이마(이마 제·題)와 눈(눈 목·目)이다. 그래서 흔히 관상에선 이마와 눈이 8할을 차지한다고 했다. 제목만 봐도 전체 글 내용을 유추할 수 있듯이 이마와 눈만 봐도 그 사람의 현 상태를 유추할 수 있기 때문이다.

    꼴값은 무슨… “마음에 물어봐!”

    영화 ‘관상’에서 관상가 김내경 역을 맡은 배우 송강호(왼쪽)와 기생 연홍을 연기한 배우 김혜수.

    이마

    이마는 그 사람의 간판이나 다름없다. 넓으면서 흉터나 주름이 없는 게 좋다. 혈색은 화색이 돌면서 밝고 윤택한 붉은 기운이 흐르는 홍윤색(紅潤色)이면 좋다. 오장육부는 물론 전체적으로 몸 기능이 조화롭지 못하면 이런 혈색을 갖기 어렵다.



    돌출된 뇌(腦)라고 부르는 눈은 우리 몸의 상태를 알려주는 ‘마음의 창’이기도 하다. 물론 눈 각 부위에 따라 오장 기능이 할애되지만 전체적으로는 간장과 밀접한 연관을 맺는다. 눈 흰자위에 누렇게 황달이 생기거나 조금만 무리해도 눈곱이 끼는 것은 간이 힘들다는 뜻이다. 눈이 갑자기 침침하고 시리거나 뻑뻑해도 그렇다. 관상에선 눈동자와 흰자위가 맑고 그윽하며 빛나면 총기가 살아 있는 좋은 눈으로 본다. 흰자위와 검은자위 가운데 검은자위가 약간 큰 게 좋다. 또한 태어나면서부터 쌍꺼풀이 있으면 인종적으로는 후덕한 남방계, 없으면 강인한 북방계다.



    관상에서 코는 재화의 들고 남을 뜻한다. 콧구멍과 콧방울이 둥글고 원만하면 좋고, 다른 부위에 비해 유난히 크면 오히려 좋지 않다. 코뼈는 굵고 반듯하게 아래로 뻗은 것이 좋으며, 콧방울이 둥근 주머니처럼 풍성하게 매달려 있으면 재물운이 좋다고 본다. 그러나 정면에서 볼 때 콧구멍이 보이면 씀씀이가 헤픈 것으로 판단한다.

    요즘 인체의 오묘한 조합 기능을 무시한 채 코를 높이는 등의 성형수술이 유행하는데 다시 생각해볼 문제다. 콧구멍을 통해 들어온 공기는 비갑개(鼻甲介)라는 ‘자동난방기와 가습기’를 통해 우리 체온에 가까운 온도로 데워져 허파로 유입된다. 그래서 열대지방에 사는 민족의 코 모양은 온도를 높이는 데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되는 들창코에 가깝고, 추운지방에서 살아온 민족은 차가운 공기를 순식간에 따뜻하게 데워야 하는 필요성에 의해 코 내부 공간을 좀 더 많이 확보하려고 콧대가 자연적으로 높아진 것이다.

    입과 입술

    입 크기에 따라 사람의 도량을 파악하기도 한다. 입술은 적당히 도톰한 게 좋고, 홍윤색을 띠면서 광택이 나면 더 좋다. 입과 입술은 현재 몸 상태를 반영하기도 한다. 입과 입술이 바짝바짝 타들어갈 듯이 마르면 위에 열이 있거나 지나치게 생각이 많다는 뜻이다. 구각(입꼬리)이 헐거나 물집 같은 게 자주 생긴다면 어떤 결정에 앞서 우유부단한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입이 크고 위아래 입술이 적당히 도톰하면서 탄력이 있고 혈색이 좋으면 건강하다는 증거이고, 마음 씀씀이도 바르고 넓다고 본다. 입이 비뚤어졌다는 것은 비위 기능뿐 아니라 신장계통 기관들도 좋지 않다는 뜻이며 성격 또한 비뚤어지기 쉽다.



    귀는 청각 기능과 더불어 평형감각을 담당하며 뇌의 외부 상태를 표현한다고 보기도 한다. 그래서 관상학에서는 귀가 두껍고 크면서 활기가 느껴지면 총명하다고 본다. 모양뿐 아니라 혈색도 중요한 정보를 알려주는데, 귀가 거무스름하면서 윤기가 없으면 신장에 중대한 이상이 있음을 암시한다. 또 백색을 띠면서 활기가 없으면 폐 기능 저하, 검붉은 빛을 띠면 어혈이 역으로 차오른 것으로 뇌혈압이 높은 상태임을 나타낸다고 본다. 특히 귀는 선천적 정기를 담고 있는 신장의 외부기관으로, 귀를 통해 선천적 내력을 판단하기도 한다.

    눈썹

    눈썹은 교제관계나 친화력 정도를 보여준다. 눈썹이 작고 숱이 적으면 대인관계에 소홀한 경향이 있으며, 숱이 지나치게 많으면 주변에 사람은 많아도 복잡한 관계 탓에 불필요한 에너지를 쏟을 우려가 있다. 눈썹은 손발톱과 함께 그날그날의 건강 여부를 살필 수 있는 부위다. 아침에 일어났을 때 눈썹이 가지런하지 않고 헝클어져 있다면 건강과 함께 인간관계에도 신경 써야 함을 의미한다.

    광대뼈

    광대뼈 부위가 잘 발달한 사람은 일 추진력이 좋고 사회생활 또한 활발하게 잘해나간다고 본다. 그래서 예전엔 광대뼈가 큰 여성을 가리켜 “성격이 드세서 집안 망하게 한다”고 했지만, 여성의 사회활동이 두드러진 요즘엔 남성 못지않게 각 분야에서 성공하는 사례가 늘어났다.

    손발톱

    손발톱 색깔이나 무늬, 모양으로도 건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윤택한 연홍색이라면 건강한 상태지만 너무 희면 빈혈, 너무 붉으면 혈압, 청흑색을 띠면 간과 신장 이상, 황색 무늬가 있으면 소화기 질환, 흰색 얼룩무늬가 있으면 신경쇠약을 의심해볼 수 있다. 또한 손톱뿌리 부분에 있는 초생달 모양의 흰색 부위(三日月) 대소에 따라 건강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마음은 창조적인 소프트웨어

    사람은 대부분 좀 힘들거나 일이 잘 안 풀리면 알게 모르게 팔자타령을 한다. “내 팔자가 이러니 별수 있겠어”라며 체념하는 데 익숙하다. 그러나 우리가 간과하기 쉬운 것이 운명론의 진실이다. 즉, 팔자나 관상에 대해 올바른 인식을 갖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사주팔자란 어느 해, 어느 달, 어느 날, 어느 시에 태어났다는 지울 수 없는, 마치 주민등록 번호 같은 인식코드라 할 수 있다. 내 몸이 다할 때까지 바뀌지 않는 사실일 테니까. 그러나 중요한 것은 그런 코드가 인생 향방을 결정하는 키워드는 아니라는 점이다. 이러한 사주팔자, 즉 태어날 때의 유전자 및 체형의 중요성을 간과할 수는 없지만 좀 더 중요한 것은 평소 몸을 운용하는 마음이다.

    우리는 컴퓨터를 구매한 후 컴퓨터 운용 실력에 따라 하드웨어에 다양한 프로그램을 설치한다. 그 컴퓨터의 질적 문제는 얼마나 좋은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를 갖추느냐에 따라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지속적인 질적 향상은 더 뛰어난 프로그램으로 업데이트하는 과정에서 이뤄진다.

    이런 컴퓨터에 빗대자면 우리 몸은 하드웨어에 해당한다. 우리는 더 나은 능력을 갖추려고 오랜 시간 다양한 정보를 입력하는데, 작게는 가족 구성원에서 시작해 학교에서 교육받고 사회 구성원이 된 뒤에도 수많은 정보를 입력한다. 사실은 어머니 배 속에서 태교를 받기 시작해 죽을 때까지, 그야말로 평생교육의 현장 속에서 살아간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정보를 입력했다가 지우기도 하고, 계속 더 좋은 정보를 업데이트하면서 살아가는데, 개별 능력은 어떤 정보를 입력하며 살아왔느냐로 결정된다. 그 입력 작용에서 주도적 구실은 우리 마음의 역량에 달렸다. 긍정적인 마음 상태 또는 부정적인 마음 상태에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은 하늘과 땅만큼이나 그 차이가 크다.

    우리 몸을 구성하는 유전자 정보 지도인 DNA 분석 결과에 따르면 인체의 유전자 정보는 침팬지와 98.7% 똑같다고 한다. 1.3% 차이에 의해 인간은 만물의 영장이 됐고, 침팬지는 동물 중에서 조금 나은 인지능력을 갖춘 포유류의 한 종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사실에서 유추할 수 있는 점은 하드웨어가 인간을 만물의 영장으로 만든 근본 요인은 아니라는 것이다. 좀 더 중요한 것은 70조 개에 달하는 세포로 구성된 인체를 운용하는 소프트웨어, 즉 마음이다. 이 마음의 운용은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 주요 방법으로, 이는 반복 학습을 통해 더 뛰어난 프로그램으로 확장할 수도 있다는 뜻이다.

    우리 몸은 놀라운 속도로 변화를 거듭한다. 하룻밤 사이 세포 수천억 개가 죽고 새롭게 생겨나기 때문이다. 우리 몸은 5~6년이 지나면 현재 모습을 이루는 체계가 거의 바뀌게 된다. 그래서 일상에서의 마음가짐이 세포에 공명현상을 일으켜 그대로 반영되니, 마음먹기에 따라 관상도 좋게 혹은 나쁘게 바뀔 수 있다.

    사주팔자나 몸은 단지 하드웨어에 불과할 뿐이며, 중요한 것은 우리 몸을 운용하는 소프트웨어인 마음이다. 지금 가진 마음의 선악에 따라 행불행의 미래가 만들어지고 좋은 관상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떻게 하면 좋은 관상을 만들 수 있을까.

    꼴값은 무슨… “마음에 물어봐!”

    대구 달서구 계명대 취업지원센터에서 졸업과 취업을 앞둔 준비생들이 성공적인 면접법과 직장생활을 위한 첫인상 연출법, 인사법, 악수법, 대화법 등을 교육받고 있다(왼쪽). 서울 용산 아이파크백화점에서 ‘관상 상담 이벤트’가 열린 가운데 고객들이 전문 관상가에게 관상 상담을 받고 있다.

    관상을 좋게 하는 이미지 트레이닝 기법

    사람은 누구나 간절한 소망을 이루려고 기도하곤 한다. 언제 기도해야 가장 강력한 효과를 발휘할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잠들기 전 하는 기도가 가장 효과적이다. 특히 자신의 이미지라 할 수 있는 얼굴 관리는 물론 건강을 회복하는 데도 이 시간대를 잘 활용하면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잠들기 전 입력한 내용이 수면 시간 내내 수행되기 때문이다.

    입면의식이 중요한 이유는 대뇌와 소뇌, 뇌간의 관계성 때문이다. 전두엽, 측두엽, 후두엽, 두정엽으로 나뉜 대뇌와 소뇌는 고등동물일수록 발달된 후천적 기관으로, 희로애락 같은 감정은 물론 보고 느낀 대로 판단하고 새로운 정보도 가공할 수 있다. 즉, 학습에 따라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생각하는 것이다. 자기 의지에 따라 어떤 사안에 대해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생각을 일으킬 수 있다. 상상을 통해 자신의 좋은 얼굴 모습을 이미지화하는 작업도 바로 대뇌에서 이뤄진다.

    그러나 원시적 뇌라 할 수 있는 뇌간은 대뇌와 소뇌처럼 시시비비를 가리거나 상상력을 동원할 수 없다. 다만 대뇌와 소뇌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그대로 수행할 뿐이다. 즉 대뇌에서 갑자기 무서운 생각을 일으키면 그 정보에 대한 사실 여부와 상관없이 그대로 받아들여 자율신경의 교감신경을 통해 전신에 전달함으로써 긴장의 결과인 닭살을 돋게 하는 것이다. 최면은 바로 이런 대뇌와 뇌간의 역학관계를 이용한 ‘거짓 작전’이다.

    대뇌와 소뇌, 뇌간의 이러한 관계성 때문에 평소 생각이 몸에 그대로 반영된다. 그러나 일상에서 자신의 염원을 지속해나가기란 쉽지 않다. 명상 같은 특별한 시간을 제외하면 일상에서 우리는 수많은 생각에 노출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하루 중 8시간 내외를 차지하는 수면시간이라면 상황이 달라진다.

    입면의식을 거행할 때 더 강력한 효과를 보는 방법은 주문보다 이미지로 입체화하는 것이다. 즉 자기 얼굴을 이미지로 상상해 홍윤색으로 맑고 밝게 빛나는 이마, 밝고 초롱초롱하게 빛나는 눈, 반듯하게 솟아오른 콧등과 둥글게 빛나는 콧방울, 적당히 도톰하면서 홍윤색으로 밝게 빛나는 미소 띤 입술, 밝은 기운에 휩싸인 빛나는 귀 등을 생생히 그려보며 잠자리에 드는 것이다. 이미지화가 잘 안 될 때는 그런 모습을 연상할 수 있는 사진이나 그림을 머리맡에 붙여두고 입면의식을 거행해도 좋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