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905

2013.09.16

주부 척추와 관절은 명절이 싫어!

평소와 다른 육체노동과 스트레스로 손목터널증후군, 허리디스크, 골다공증 주의

  • 최영철 기자 ftdog@donga.com

    입력2013-09-16 11:05: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주부 척추와 관절은 명절이 싫어!
    단언컨대, 명절에 가장 바쁜 사람은 주부다. 이번 추석 연휴는 주말을 포함해 장장 닷새나 돼 그 부담이 이만저만 큰 것이 아니다. 명절 내내 차례상 준비와 손님 대접으로 평소보다 과도한 육체노동과 스트레스가 이어지기 때문이다. 오랜 시간 앉았다 일어났다를 반복하는 것은 기본이고, 무거운 물건을 나르거나 행주, 걸레를 자주 짜는 등 손목과 허리, 어깨 등의 척추 관절을 지나치게 많이 사용해 무리가 가는 경우도 많다.

    또한 일반적으로 여성은 남성에 비해 선천적으로 근육과 인대가 약해 똑같은 충격에도 골절을 당할 위험이 크고 임신과 출산, 폐경기를 거치면서 골밀도가 감소해 골다공증이 생길 확률도 높아 골절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쪼그려 앉아 일하다 허리 ‘삐끗’

    추석 상차림은 주부의 척추 관절에 가장 치명적인 적이다. 추석 음식을 장만하다 보면 허리를 숙였다 폈다 하는 동작을 무한 반복하게 되는데, 이 경우 무거운 물건을 들려고 허리나 손목에 순간적으로 과도한 힘을 주면서 척추나 손목 관절 등에 무리가 가게 된다. 장시간 앉아 있는 것도 허리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전을 부치려고 오랜 시간 바닥에 앉아 구부정한 자세를 유지하면 척추가 평소보다 큰 압력을 받으면서 뼈 변형을 가속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척추의 과도한 사용이 이어지면 허리디스크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허리 건강을 지키려면 무거운 물건을 들 때 최대한 허리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차례상과 같이 부피와 무게가 많이 나가는 물건을 들 때는 여러 사람이 함께 들어 각각 느끼는 무게 부담을 최소화해야 한다. 또 무릎을 편 상태에서 허리힘만으로 물건을 들지 말고, 무릎을 함께 굽혀 무게에 대한 부담을 온몸으로 분산하는 것이 좋다.



    반면 장시간 앉아서 전을 부칠 때는 자주 일어서서 허리 스트레칭을 하고, 잠깐씩 걸어 골반 부위를 움직여야 한다. 하지만 되도록 바닥에 앉지 말고 서서 하거나 식탁 의자 등을 활용하는 것이 허리 디스크를 예방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지속적으로 통증이 지속된다면 전문의를 찾아가 정확한 진단과 함께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주부 척추와 관절은 명절이 싫어!

    추석 명절이면 음식 하랴, 설거지하랴 주부의 손목은 쉴 새가 없다. 손목이 시큰거리고 저리다면 손목터널증후근을 의심 해야 한다.

    주부라면 누구나 명절날 수북이 쌓인 설거지 거리를 보고 한숨을 내쉰 적이 있을 것이다. 찾아오는 손님과 가족이 음식을 맛있게 먹는 것은 좋지만, 그 후 남겨진 설거지 거리는 주부의 손목을 끊임없이 괴롭힌다. 그릇을 주방세제로 닦은 뒤 물로 씻어내려고 반복적으로 손목을 비슷한 방향과 크기로 돌려야 하고, 그릇을 식기건조대에 엎어놓기 위해 손목을 아래위로 계속 움직여야 한다. 또 행주로 여기저기 닦고 빨면서 손목을 이리저리 비틀기 때문에 잠시도 손목에 쉴 틈을 주지 않아 결국 통증을 일으키게 된다. 이 밖에도 무거운 조리기구를 제자리에 놓으려고 들어서 옮기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은 물론, 청소를 위한 걸레질 등으로 손목 통증이 한층 심해질 수밖에 없다.

    손목은 손이 섬세한 동작을 할 수 있도록 미세한 힘줄이 서로 겹치지 않게 모여서 지나가는 곳이다. 이러한 손목의 힘줄 구조를 ‘손목터널’이라 하며, 이 힘줄이 손목 인대에 반복적으로 눌릴 경우 저릿한 느낌이나 통증, 작열감, 무감각 등 감각이상 증상이 발생하는데 이를 ‘손목터널증후군’이라고 부른다. 주부들은 쉴 새 없이 손목을 혹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손목이 시큰거리고 손가락이 저리는 손목터널증후군 증상이 쉽게 나타날 수 있다. 손가락을 쥐었다 펴거나 주먹을 쥐기 힘든 경우, 손바닥과 손가락 감각이 둔해진 경우, 통증으로 수면이 어려운 경우, 혹은 통증이 심해지고 나아지지 않는다면 손목터널증후군을 의심할 수 있다.

    어부바, ‘뼈 골절’ 위험

    손목터널증후군을 예방하려면, 한 손으로만 똑같은 동작을 반복하는 대신 양손을 번갈아 사용하고 손목을 너무 많이 꺾는 행동은 삼가도록 한다. 또 틈틈이 손목과 손가락이 쉴 수 있는 시간을 주면서 손목을 터는 등의 스트레칭을 겸하는 것이 좋다. 통증이 처음 생겼을 때 증상이 심하지 않다면 뜨거운 수건 찜질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하지만 질환을 방치할 경우, 심하면 양손이 타는 듯한 통증이 느껴지면서 감각 이상 증상까지 발생할 수 있으니 통증이 가라앉지 않는다면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병원을 찾아 주사 및 수술 등의 치료를 받아야 한다.

    오랜만에 가족을 만나는 것이 어린아이에게는 낯선 일일 수 있다. 그래서 엄마에게 딱 붙어 떨어지지 않고 칭얼대며 울기만 한다면 안거나 업어줄 수밖에 없는 것이 엄마 마음이다. 하지만 아이는 달랠 수 있어도, 엄마의 뼈 건강에는 적신호가 켜질 수 있다. 아이를 오랜 시간 안거나 업을 경우, 무리한 힘이 허리와 어깨, 손목, 무릎 등 신체 전체에 전해지면서 뼈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특히 아이를 갑자기 번쩍 들어 올리는 경우, 몸무게의 4배에 달하는 무게가 허리를 중심으로 온 몸에 퍼지게 되고, 업은 상태에서 자세를 잡으려고 아이를 튕기듯이 살짝 들었다 다시 받는 경우에도 허리와 어깨, 무릎 등에 갑작스러운 압력이 가해져 위험하다. 이러한 동작은 건강한 성인의 근육이나 뼈에도 쉽게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신체 어느 한 부분이 부러지는 골절 부상을 입기도 한다.

    특히 갱년기에 접어든 주부의 경우 여성호르몬 감소와 골다공증 같은 질환으로 근육과 뼈가 약해진 만큼 약한 외부 압력에도 관절이나 척추가 쉽게 손상을 받고 골절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근육이나 뼈에 손상이 가지 않게 하려면 아이를 안을 때 가급적 무릎을 굽혀 아이를 안은 뒤 일어나는 것이 좋다. 또 무게가 밑으로 처지면 허리에 더 큰 부담이 가므로 무게가 분산될 수 있게 아이를 몸에 붙이고, 아기 띠 같은 보조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그러나 골다공증 등으로 뼈가 약해진 사람은 가급적 아이를 안거나 업는 것을 피해야 한다. 만약 골절 등의 큰 부상이 발생했다면 최대한 빨리 가까운 병원을 찾아 치료받아야 한다.

    차승균 지샘병원 병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의학박사)은 “과도한 가사노동을 며칠 동안 쉴 새 없이 반복한다면 척추와 관절에 무리가 갈 수밖에 없다. 이러한 명절증후군을 예방하려면 충분한 휴식과 스트레칭 등의 노력과 더불어 주부가 과도한 노동에 부담을 느끼지 않도록 온 가족이 가사를 분담하는 배려가 반드시 필요하다”면서 “척추, 관절 부위에 큰 부상을 입었거나 통증이 지속될 경우 반드시 병원을 찾아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신체 영구 손상이나 허리디스크, 골다공증 같은 질환의 악화를 예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