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368

2003.01.16

몽골 상류층 사로잡은 ‘한국의 맛’

우형민씨의 ‘서울레스토랑’ 몽골 최고 식당 명성 … 순방 국가 원수들의 필수 코스

  • 우길/ 여행작가 wgil200@dreamwiz.com

    입력2003-01-09 15:04: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몽골 상류층 사로잡은 ‘한국의 맛’

    몽골 수도 울란바타르 시 전경.

    1990년 한국-몽골 간 수교가 이루어진 후 몽골 땅에 가장 먼저 발을 내디딘 사람들은 선교사들이었다. 그들은 몽골 젊은이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쳐 매년 50여명의 한국어 통역사를 배출해냈다. 지금은 울란바타르 대학, MIU, 후레정보통신 대학 등에 한국어과가 개설돼 수백명의 몽골 젊은이들이 한국과 한국어를 배우고 있으니 격세지감이 든다. 2002년 현재 몽골에 거주하는 한국인은 약 800명.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중국에 터전을 마련한 한국인이 약 25만명(조선족은 200만명)인 것과 비교하면 초라한 숫자지만 한국과 몽골의 거리는 눈에 띄게 가까워지고 있다.

    몽골말로 한국을 ‘솔롱거스’, 한국인을 ‘솔롱거스훙’이라 한다. 96년 몽골의 수도 울란바타르에 ‘솔롱거스잠’이라는 서울거리가 탄생했다. 서울과 자매결연을 맺은 울란바타르의 한 거리에 작은 정자와 간이화장실, 택시정류장, 기념비 등이 만들어졌고, 경기 남양주시가 건립한 ‘남양주문화원’에는 천하대장군과 지하여장군이 세워졌다.

    사실 한국보다 먼저 몽골에 투자를 시작한 나라는 일본이었다. 몽골의 도로, 학교, 병원이 대부분 일본 자본에 의해 무료로 건설되었지만, 이상하리만치 몽골 사람들은 한국을 좋아한다. 현재 몽골 국영방송 광고의 약 20%가 한국 제품들이다. 몽골 주재 일본 대사관 직원이 한 한국인에게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몽골에 투자한 액수로 보면 일본이 한국보다 수십 배는 더 많은데 몽골 사람들이 한국을 더 좋아하는 이유를 아십니까?” “글쎄요.” “일본인 중에는 한국인 같은 개척자가 없기 때문입니다.” 몽골에 한국을 심어온 개척자들, 그들은 누구인가.

    최고급·최고가 전략 주효

    몽골 상류층 사로잡은 ‘한국의 맛’

    몽골 울란바타르 시 공원 안에 위치한 서울레스토랑의 전경. 철판볶음 쇼를 선보이는 서울레스토랑의 주방장. 서울레스토랑의 주인 우형민 사장(49)(왼쪽 부터).

    서울중학교, 서울고등학교, 서울대학교 출신인 우형민씨(49)가 몽골 울란바타르에 ‘서울레스토랑’을 개업한 것은 1996년 5월11일이었다. 서울에서 11년간 스위스계 회사를 다니며 식품가공기계 판매일을 하다 출판사를 차려 독립했으나 2년 만에 손을 털었다. 역마살이 끼었는지 그때부터 한국 밖으로 눈을 돌리기 시작해 몽골까지 왔다.



    식품가공기계를 판매하는 동안 그는 식당 간판만 보아도 음식 맛을 알 만큼 맛의 달인이 됐다. 그가 몽골에서 택한 업종은 식당. 아버지 통장까지 탈탈 털어 40만 달러를 가지고 울란바타르 공원 내 800여평짜리 2층 건물을 빌렸다. 서울레스토랑은 우사장이 100% 투자하고, 울란바타르 시청이 땅과 건물을 빌려주는 조건(51대 49)으로 개업했다.

    하지만 몽골 시장 개척은 만만한 일이 아니었다. 사실 지금까지 기업이 아닌 개인이 몽골에서 사업에 성공한 경우는 열 손가락에 꼽을 정도로 드물다. 정부는 외국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세제 혜택을 주는 등 각종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막상 현장에 나가 보면 사정이 판이하기 때문이다. 그도 식당 인테리어 공사에서부터 낭패를 겪었다.

    0.3%의 몽골 상류층을 대상으로 한 고급 식당인 만큼 인테리어에 신경을 많이 썼고 직접 못을 박으며 50여명의 몽골 노동자들을 진두지휘했다. 그러나 몽골 인부들은 일은 하지 않고 처음 보는 자재와 기술을 신기해하며 구경하기 일쑤였다. 그가 벽에 콘크리트 못을 박자 인부들은 빙 둘러서서 처음 보는 못 구경에 정신이 없었고, 한국에서 가져온 자재들을 제멋대로 가져가 버렸다. 50통의 페인트가 하룻밤 사이 7통으로 줄어 있는 일도 있었다.

    이런 식으로 작업이 지연되고 자재 공급에 문제가 생기면서 초기 투자비용이 150만 달러까지 올라가자, 그는 식당 문은 열어보지도 못하고 망할지도 모른다는 절망감에 빠져 울기까지 했다. 그런데 희한하게도 이 일이 있던 바로 다음날부터 몽골 노동자들이 말도 잘 듣고 물건이 없어지는 일도 줄어들어 무사히 공사를 마칠 수 있었다고.

    우여곡절 끝에 서울레스토랑이 문을 열었다. 개업 당일 중앙홀은 물론 9개의 방에 손님들이 꽉 들어차 성공을 예감할 수 있었다. 물론 개업 2주 전 몽골 상류인사 300여명에게 초청장을 보내고 몽골 국영TV를 섭외해 한국요리법을 집중 홍보한 덕분이었다. 또 서울레스토랑은 ‘최고급, 최고가’ 전략으로 몽골에서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당시 몽골에서 가장 비싼 식당은 일본식 뷔페로 1인당 8달러였는데, 그는 과감하게 1인당 12달러로 가격을 책정했다. 울란바타르에 있는 15개의 한국식당과 1개의 일본식당, 수백개의 몽골식당 중 가장 음식값이 비싼 식당이 된 것이다. 몽골의 최상류층들이 즐겨 찾는 명소로 자리잡으면서 하루 평균 3000달러의 매출을 거뜬히 올렸다.

    몽골 상류층 사로잡은 ‘한국의 맛’

    전통의상 델을 입은 몽골의 노인들. 몽골 주재 한국 대사관 앞. 울란바타르 서울거리에 세워진 정자(위부터).

    식당의 겉치장보다 중요하게 여긴 것은 종업원 교육이었다. 식당에서 서빙을 하는 직원은 평균 6만 투그륵(약 6만원), 사무실 직원은 20만 투그륵(약 20만원)을 받는데, 그들은 손님이 오는 것을 귀찮아하거나 퉁명스럽게 대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는 식당 2층 발코니에 종업원들을 모아놓고 한국말로 “안녕하세요! 어서 오십시오. 무엇을 주문하시겠습니까? 감사합니다”를 외치도록 했다. 그렇게 하기를 한 달. 쭈뼛쭈뼛하던 종업원들이 놀랄 만큼 자신감이 붙어 큰 소리로 인사하게 됐다.

    몽골에서 식당업을 하려면 먼저 그들의 식생활 문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몽골인들은 “우린 풀을 먹고 사는 양을 주식으로 하기 때문에 채소나 과일은 먹지 않아도 된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우씨는 어떻게 하면 한국의 싱싱한 채소와 과일, 불고기 맛 등을 알게 해줄까 고심한 끝에 몽골 총리와 장·차관들을 앞세워 광고효과를 높여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한국을 방문한 경험이 있는 이들은 ‘한국맛’을 잊지 못하고 서울레스토랑을 찾아왔다. 이들은 맛을 본 후 “우리 몽골에 이렇게 맛있는 한국식당을 열어주어서 고맙다”는 인사를 잊지 않았다. 자연스럽게 광고효과도 거둘 수 있었다. 맛의 비결은 한국인 주방장에게 있었다. 해외의 한국식당들이 비싼 인건비 때문에 현지인 주방장을 두는 경우가 많으나 그는 한국맛을 그대로 살리기 위해 한국인 요리사를 6명이나 고용했다.

    식당 성공 발판으로 사업 확장 가속

    서울레스토랑은 몽골을 방문한 외국인들이 반드시 들르는 명소가 됐다. 한국의 김대중 대통령, 중국의 장쩌민 주석, 몽골의 바가반디 대통령, 말레이시아의 마하티르 수상 등 4명의 국가원수를 모셨고, 스티븐 시갈 등 할리우드 배우와 일본 스모 선수들이 한국의 맛과 한국식 서비스를 받기 위해 찾아왔다. 장쩌민 주석은 서울레스토랑의 만찬에 대만족했고, 일주일 후 몽골 주재 중국 대사가 연락도 없이 찾아와 금일봉을 전달하고 식당 책임자들을 대사관 오찬에 초대하는 일도 있었다. 99년 김대중 대통령의 몽골 방문 때는 다른 손님을 일절 받지 않고 우사장이 혼자 서빙을 했다.

    이제 서울레스토랑은 몽골 사람들이 꼭 한번 가보고 싶어하는 최고의 식당이 됐다. 우사장은 현재 식당 1층에 서울베이커리와 티파니 바를 운영하고 있으며 울란바타르 국립대학 옆에 ‘인 마이 메모리’라는 패스트푸드점과 톰자크에 또 다른 한국식당도 갖고 있다. 그는 여기에 만족하지 않고 몽골 최초의 야외 테니스클럽과 교육방송, 건축회사에까지 도전하고 있다. 건축 분야는 문외한이지만 한국에서 전문가를 초빙해 대규모 아파트단지를 건설할 계획이다. 이미 2000년에 서울레스토랑의 합자지분을 모두 인수해 ‘서울그룹’이라는 단독법인이 됐다.

    그는 79년 결혼해 1남1녀를 두었지만 홀로 몽골에 와서 서울레스토랑 한켠에 숙소를 마련하고 몽골 비즈니스에 전념하고 있다. 몽골에서 만난 한국인들에게 우형민 사장에 대해 물어보라. 한결같이 “몽골에서 사업으로 성공했다고 말할 수 있는 유일한 사람”이라고 할 것이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