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974

2015.02.02

귀차니스트를 위한 자산운용 시스템

보너스 절반은 무조건 저축 등…바람직한 초깃값 설정 후 이대로 쭉~

  • 이상건 미래에셋 은퇴연구소 상무 sg.lee@miraeasset.com

    입력2015-02-02 10:26: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귀차니스트를 위한 자산운용 시스템
    “돌려받나요?”

    최근 샐러리맨들의 인사말이라고 한다. 연말정산으로 세금을 토해내야 하는 샐러리맨이 많아지면서 생겨난 풍경이다. 연초부터 연말정산으로 온 나라가 시끌시끌하다. 대통령까지 나서 국민의 조세 감정을 달래는 모습이다. 이번 연말정산은 한국 사회가 직면한 여러 과제를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법인(기업)·자영업 고소득자 vs 근로자의 조세형평성, 복지 vs 증세, 재산세 vs 소득세, 직접세(소득세) vs 간접세(담뱃세) 등 어느 것을 강조하느냐에 따라 정책 의사결정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연말정산 논란은 프레이밍(framing)에 따라 동일한 현상을 얼마나 다르게 해석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전형적인 사례다. 연말정산 논란 후 정부 당국은 국민에게 논리적인 해명을 했다. 일례로 2012년 이후 두 차례에 걸쳐 원천징수세율을 ‘더 많이 걷고 더 많이 돌려주는 방식’에서 ‘덜 걷고 덜 돌려주는 방식’으로 전환한 것을 조목조목 설명한 점이다. 논리적으로는 더 많이 걷고 더 많이 돌려주나, 덜 걷고 덜 돌려주나 같은 것이다. 이는 더하기 빼기 논리다. 논리적 판단을 한 사람이면서 정책 의사결정에도 깊숙이 개입한 경우라면, 더하기 빼기 논리를 국민이 잘 이해하지 못해서라고 생각할 것이다. 초기 대응을 보면, 이런 생각을 한 것 같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그러나 인간이라는 존재는 사칙연산처럼 정확하고 합리적이며 논리적인 존재가 아니다. 인간에겐 감정이 있다. 조세 감정이란 표현에도 감정이 들어가 있지 않은가.

    프레이밍 효과와 연말정산

    지금까지 샐러리맨의 연말정산에 대한 프레이밍은 환급, 즉 ‘돌려받는다는 것’이었다. 프레이밍이 플러스로 돼 있었다. 그런데 결과는 토해내는, 즉 마이너스가 됐다. 당연히 반발이 생길 수밖에 없다. 논리적으로는 어차피 내야 할 세금이지만 손해 보는 느낌이 드는 것이다. 인간은 손실을 매우 싫어하는 존재다. 만일 반대로 연말정산 프레이밍이 처음부터 마이너스로 설정됐더라면, 어땠을까. 아마도 이 정도로 분노를 표출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세계 1위의 신용카드 대국이 된 것도 일정 정도 프레이밍으로 설명할 수 있다. 신용카드 소득공제가 있기 전까지만 해도 신용카드는 현금 대체물이나 편리한 플라스틱 머니 정도로 인식됐다. 그러나 정부가 내수 활성화와 조세 투명성을 위해 신용카드 소득공제 제도를 도입하자 ‘신용카드=절세 수단’이란 프레이밍이 설정됐다. 편리성에서 절세 수단으로 프레이밍이 옮겨간 것이다.

    연말정산 사태에서 볼 수 있듯이 인생과 투자에서 어떤 프레임을 갖고 사느냐는 인간의 의사결정과 행동에 큰 차이를 만들어낸다. 프레이밍과 더불어 살펴봐야 할 것이 초깃값(default option)과 앵커링(anchoring) 효과다. 초깃값이란 말 그대로 처음에 설정된 값이다. 대표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들 수 있다. 만일 우리가 컴퓨터를 사용할 때마다 탑재된 소프트웨어의 명령어를 일일이 입력해야 한다면 소수의 전문가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초깃값을 설정해둔 덕에 ‘컴맹’도 인터넷 접속을 쉽게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앵커링은 배가 닻을 내리고 정박한 것처럼 주어진 정보를 기준(닻)으로 판단하는 것을 말한다. 행동경제학 창시자인 대니얼 카너먼 교수와 그의 동료 아모스 트베르스키는 무작위로 복권 당첨 번호를 토해내는 추첨기를 이용해 실험을 했다. 이들은 추첨기에서 나온 숫자에 따라 사람들의 반응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했다. 실험 참가자들을 불러놓고 1에서 100까지 들어 있는 추첨기를 돌린 후 “유엔 회원국 중 아프리카 국가는 몇 개국입니까. 추첨기에서 나온 숫자보다 많을까요, 아니면 적을까요”라고 물었다. 그다음에는 “유엔 회원국 중 아프리카 국가는 몇 %입니까”라는 질문을 던졌다. 여기서 이상한 현상이 나타났다. 숫자 30이 나왔을 때 대답은 ‘20~40%’에 몰려 있었고, 숫자가 80인 경우는 ‘70~90%’의 수치를 답했다. 실험참가자들은 추첨기에서 나온 숫자가 무작위적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었음에도 처음 나온 숫자의 영향을 받았던 것이다. 알면서도 이렇게 영향을 받는데, 모르는 것들에는 얼마나 더 영향을 받겠는가.

    귀차니스트를 위한 자산운용 시스템

    미래에셋증권은 151개 펀드 라인업을 구성해 고객 특성에 맞는 포트폴리오를 추천하고 있다.

    초깃값이 당신의 미래를 바꾼다

    특히 초기에 설정된 값에 앵커링돼 있으면 좀처럼 생각을 바꾸기가 쉽지 않다. 설령 생각을 바꾸더라도 직접 행동에 나서지 않는다. 인간은 현상 유지 편견이 있기 때문이다. 재무학과 심리학을 결합한 학문인 행동재무학의 창시자 리처드 탈러 교수는 “TV에서 보던 프로그램이 끝나도 귀찮아서 그냥 같은 채널의 다음 프로그램을 계속 보는 경향이 있다. 이런 현상 유지 편견 때문에 어떤 제도에 어떻게 ‘디폴트 옵션’을 설정하느냐가 중요하다”고 말한다.

    우리가 사는 곳은 대부분 시스템에 의해 움직인다. 엘리베이터, 비행기, 자동차, 개인용 컴퓨터, 병원, 회사 등은 모두 시스템을 기반으로 해 작동된다. 시스템에는 반드시 초깃값이 있다. 초깃값이 없으면 아주 불편하게 생활해야 한다. 초깃값은 무의식중에 우리의 행동을 이끈다. 문제는 자기 인생의 중요한 문제에 대해서는 초깃값을 설정하지 않았거나 잘못 설정한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노후에 대비한 투자는 꼭 필요한 일이지만 이에 대한 초깃값과 시스템을 가진 사람은 드물다.

    자산운용에서도 자신만의 시스템을 설계해야 한다. 시스템이 거창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보너스의 50% 이상은 무조건 저축한다 같은 것도 초깃값이 설정된 시스템이다. 연금저축계좌 같은 절세 상품을 이용할 때 ‘해외투자와 국내투자로 포트폴리오를 짠다’고 설정하는 것도 일종의 투자 시스템이다.

    자산관리를 할 때도 투자 대상 하나하나의 수익률을 분석하는 것보다 포트폴리오 전체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별 투자 대상의 수익률을 건별로 계산하는 것은 프레이밍이 개별 투자처에 설정돼 있다는 것을 뜻한다. 사람은 대부분 이 같은 개별 프레임을 갖고 있다. 그런데 프레임을 바꿔 전체 포트폴리오의 수익률로 전환하면, 더 편안한 마음으로 투자할 수 있다. 개별 투자처보다 전체 포트폴리오가 변동성도 낮고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카너먼 교수는 이를 두고 ‘글로벌 관점’이란 표현을 썼다. 여기서 말하는 ‘글로벌’은 ‘세계적 관점’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 관점’을 의미한다.

    행동재무학에서 바라보는 인간은 ‘귀차니스트’다. 한 번 설정한 프레임이나 초깃값을 잘 바꾸려 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를 역으로 이용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한 초깃값을 설정하고 이를 현상 유지하는 것이다. 좋은 습관의 노예는 노예가 아닌 법이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