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882

2013.04.08

그 겨울 나는 북벽에서 살았다 外

  • 입력2013-04-08 10:48: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그 겨울 나는 북벽에서 살았다 外
    그 겨울 나는 북벽에서 살았다

    장옥관 지음/ 문학동네/ 116쪽/ 8000원


    “거짓말할 때 코를 문지르는 사람이 있다 난생처음 키스를 하고 난 뒤 딸꾹질하는 여학생도 있다/ 비언어적 누설이다/ 겹겹 밀봉해도 새어나오는 김치 냄새처럼 숨기려야 숨길 수 없는 것, 몸이 흘리는 말이다”(‘붉은 꽃’ 중에서). 삶의 흔적과 사물의 본질을 찾아가는 시인의 다섯 번째 시집.

    동양고전과 푸코의 웃음소리

    류쭝디 지음/ 이유진 옮김/ 글항아리/ 384쪽/ 1만8000원




    ‘주역’ ‘예기’ ‘논어’ 등 동양 고전이라 부르는 책의 유래를 캐묻고 민속학, 신화학, 과학사를 한데 버무린다. 이를 통해 책 속에 오래도록 감춰져 있던 고대인의 시간 감각과 풍경을 살려낸다. 이는 서로 다른 시대와 문화의 의미를 이해하는 출발점이기도 하다.

    아버지와 함께한 마지막 날들

    필립 톨레다노 지음/ 최세희 옮김/ 저공비행/ 96쪽/ 1만3000원


    96세 아버지가 숨을 거두는 날까지 사진작가 아들이 써내려간 사진 일기. 저자는 어머니가 갑작스럽게 타계하자 남은 아버지와의 소소한 일상을 담은 사진과 단상을 웹사이트에 올리기 시작했다. 매순간 소중한 아들의 기록은 지금이 바로 사랑을 표현할 때임을 일깨운다.

    나는 셜록 홈스처럼 살고 싶다

    표창원 지음/ 다산북스/ 352쪽/ 1만5000원


    경찰대 교수직을 버리고 자유인이 된 표창원 전 경찰대 교수의 첫 에세이집. 새로운 삶의 무대에 선 그는 세상을 향해 소신 있는 돌직구 발언을 날린다. 오늘날 그를 만든 것은 도전정신과 지식을 향한 갈증이다. 머무르기보다 새로운 것을 선택하는 삶이었다.

    대변화 시대의 경영

    피터 드러커 지음/ 이재규 옮김/ 청림출판/ 432쪽/ 2만5000원


    저자는 “경영자는 앞으로 무슨 일이 일어날지에 대해 예측하기보다 이미 일어난 일이 고객에게, 기업에게, 그리고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이해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말한다. 시대를 읽는 리더가 꼭 알아야 할 경영, 정보 중심 조직, 경제, 사회에 대해 이야기한다.

    만주족의 역사

    패멀라 카일 크로슬리 지음/ 양휘웅 옮김/ 돌베개/ 388쪽/ 1만8000원


    오랜 시간 동북아시아 맹주로 군림하던 만주족은 누르하치에 의해 중원 지역으로 진출할 수 있는 역량을 갖췄다. 그리고 중국 마지막 왕조인 청 제국의 지배자가 됨으로써 중국사에 당당히 이름을 올렸다. 한족에 의해 핍박받은 만주족과 동북아시아의 문화 원형을 복원한다.

    문학 속에 핀 꽃들

    김민철 지음/ 샘터/ 328쪽/ 1만3800원


    시대를 넘나들며 가장 많은 사랑을 받은 33개 작품을 ‘꽃’이라는 공통분모로 묶었다. 저자는 꽃이 문학을 풍성하게 만든다고 이야기하면서 꽃과 문학의 환상적 결합에 주목한다. 소설 속 어떤 대목에서 야생화가 나오는지, 그 꽃이 무엇인지 상세히 전한다.

    소로의 자연사 에세이

    헨리 데이비드 소로 지음/ 김원중 옮김/ 아카넷/ 344쪽/ 2만3000원


    자연주의자 소로의 출발점은 뉴잉글랜드에 대한 열렬한 애정이다. 소로는 어린 시절 가족과 함께 식물채집을 했으며 보트 타기 등도 즐겼다. 소로에게 자연은 가장 소중한 자산이었다. 인간 지성을 넘어 존재하는 모든 자연에게 말을 걸면서 대자연의 진정한 모습을 보여준다.

    비자나무 숲

    권여선 지음/ 문학과지성사/ 296쪽/ 1만2000원


    악마의 죄를 입증하기 위해서라면 모든 고통을 받아들일 준비가 돼 있었다. 화분을 내리쳐 여자아이를 죽인 죄로 처벌받는 것도 감수할 생각이었다. 그러니 손잡고 경찰에 자수하러 가든지, 평생 속죄하는 마음으로 살자며 그녀는 석호 새끼의 목줄을 바싹 잡아챌 작정이었다.

    우장춘의 마코토

    이영래 지음/ HNCOM/ 318쪽/ 1만4000원


    해방 후 한반도는 동족상잔의 전쟁과 극한의 빈곤을 겪었다. 일본에서 안정적으로 살던 우장춘은 한국행을 선택했다. ‘조국’이 아닌 ‘아버지의 나라’라고 부르던 이 대과학자는 문화포장을 받은 후 오열했다. 아버지 죄를 속죄하려고 고국에 헌신했다는 그는 신화가 됐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