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877

2013.03.04

안견의 ‘몽유도원도’ ‘몽도원도’라 불러야 한다

안평대군 자작시에도 ‘몽도원도’…후대 사람들이 마음대로 제목 왜곡

  • 이동천 중국 랴오닝성 박물관 특빙연구원

    입력2013-03-04 14:19: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안견의 ‘몽유도원도’ ‘몽도원도’라 불러야 한다

    그림1 안견의 ‘몽도원도’. 그림2 소릉에 쓴 작자 미상의 ‘몽유도원도’.

    요즘 미술관이나 박물관에 가면 본래 한자(漢字)였던 그림 제목을 한글로 풀어서 붙여놓은 것을 많이 본다. 사실 현전하는 옛날 그림 상당수는 후대 미술사 연구자들이 제목을 붙인 것이다. 드물지만 같은 그림을 놓고 여기저기서 제목을 다르게 표기한 경우도 있다. 제목이 그림과 맞지 않으면 맞게 고쳐야 한다. 만일 서화작품 창작 당시 붙은 제목이 있다면 그것으로 하는 게 당연하다.

    1447년 음력 4월 20일 밤 안평대군 이용(1418∼1453)은 도원(桃源) 꿈을 꿨다. 꿈에서 깬 후 그는 안견(?∼?)에게 명해 꿈에서 본 도원을 사흘 만에 그리게 했다. 우리는 이 그림을 ‘몽유도원도’(그림1)라 부른다. 그 이유는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 글씨(그림2)가 안평대군이 쓴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이 글씨가 안평대군 글씨로 학계에 처음 소개된 것은 1929년 일본 나이토 고난 박사가 발표한 논문(‘朝鮮 安堅の夢遊桃源圖’)에서다. 미술사가 안휘준 서울대 명예교수는 책 ‘안견과 몽유도원도’(2009)에서 나이토 고난의 주장대로 이 글씨는 안평대군이 쓴 것이라고 했다.

    비단 ‘소릉’에 쓴 안평대군 글씨 의심

    안 교수는 스즈키 오사무가 1977년 발표한 논문을 근거로 ‘그림2’ 바탕이 종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필자가 직접 본 결과 ‘그림2’는 종이가 아니라 중국산 서화 창작용 비단인 ‘소릉(素綾)’이었다. ‘주간동아’ 873호에서 필자가 밝혔던 것처럼 소릉은 본래 명나라 성화(1465∼1487)와 홍치(1488∼1505) 연간부터 서화작품 창작에 사용됐다. 안평대군이 죽임을 당한 이후다. 나아가 ‘그림2’에 사용된 소릉은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전반까지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유행하던 것이다. 당연히 안평대군이 살아생전 썼을 리 없다. 결과적으로 안 교수가 인용한 나이토 고난과 스즈키 오사무 등 일본 학자 주장은 틀렸다.

    소릉은 우리나라에서 1880년대부터 사용됐다. ‘그림2’는 나이토 고난이 논문을 발표한 1929년 이전에 쓰였다. 따라서 1880년부터 1929년 사이 우리나라 사람이 ‘그림2’를 썼다면 글씨 옆에 ‘아무개가 삼가 쓰다’ 등 윗세대에 대한 존경을 나타냈을 것이다. 이런 형식적인 부분이 없는 것을 보면 ‘그림2’는 일본인이 썼을 개연성이 높다.



    안 교수는 ‘그림2’가 왕희지(307∼365) 행서를 연상시키고 안평대군이 쓴 ‘자작시’(그림3)와도 일치해 “안평대군 것임에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했다. 안평대군 글씨는 조선뿐 아니라 명나라 황제와 외국 사신들로부터 조맹부(1254∼1322)에 버금가는 명필이란 평을 들었다. 그러나 ‘그림2’는 왕희지, 조맹부, 안평대군, 신숙주(1417∼1475), 박팽년(1417∼1456) 글씨와도 다르고, 조맹부 글씨가 유행했던 당시 글씨와도 같지 않다(그림4).

    ‘그림2’가 안평대군 글씨가 아니더라도 그림 제목은 ‘몽유도원도’일 수 있다. 그러나 당시 안평대군에게 명받아 신하들이 쓴 글을 보면, 그가 안견에게 그리게 한 것은 ‘몽유도원도’가 아니라 ‘몽도원도(夢桃源圖)’다. 현전하는 신하 21명의 글에서 제목이 붙은 것은 박팽년과 이현로(?∼1453) 글뿐이다. 박팽년은 ‘몽도원서(夢桃源序)’(그림5), 이현로는 ‘몽도원도부(夢桃源圖賦)’(그림6)라고 했다. 즉 ‘몽도원도’에 글을 썼다는 뜻이다. 신하인 그들이 안평대군 뜻과 다르게 임의로 제목을 정했을 리 없다.

    글을 쓴 신하 21명 가운데 현재 문집이 전하는 이는 총 7명이다. 그중 이 그림을 ‘몽도원도’라고 한 이는 4명이다. 박팽년은 ‘박선생유고’에서 ‘몽도원도서(夢桃源圖序)’, 강석덕(1395∼1459)은 ‘진산세고’에서 ‘제몽도원도시권(題夢桃源圖詩卷)’, 신숙주는 ‘보한재집’에서 ‘제비해당몽도원도시축(題匪懈堂夢桃源圖詩軸)’, 서거정(1420∼1488)은 ‘사가시집’에서 ‘몽도원도’라고 했다.

    안견의 ‘몽유도원도’ ‘몽도원도’라 불러야 한다

    그림3 안평대군이 쓴 ‘자작시’. 그림4 ‘몽유도원도’와 왕희지, 조맹부, 안평대군, 신숙주, 박팽년 글씨 비교. 그림5 박팽년의 ‘몽도원서’. 그림6 이현로의 ‘몽도원도부’.

    당시 신하들도 ‘몽도원도’라 칭해

    나머지 3명 중 2명은 글 제목에서, 1명은 문장에서 이 그림을 ‘도원도(桃源圖)’라고 했다. 김담(1416∼1464)은 ‘무송헌선생문집’에서 ‘제도원도(題桃源圖)’, 최항(1409∼1474)은 ‘태허정시집’에서 ‘도원도삼십운(桃源圖三十韻)’이라고 했다. 사육신의 시문을 한 책으로 모은 ‘육선생유고’ 중 ‘성선생유고’를 보면 ‘도원도기(桃源圖記)’에서 이 글을 인용하고 제목을 ‘제비해당몽유도원도기후(題匪懈堂夢遊桃源圖記後)’라고 했다. 이는 ‘제비해당몽유도원기후(題匪懈堂夢遊桃源記後)’를 틀리게 쓴 것이다.

    ‘성선생유고’는 1570년경 윤유후(1541∼1606)가 성삼문(1418~1456) 글을 편집한 책이다. 여기에서 성삼문이 쓴 원문과 비교하면 빠진 글자가 2자이고 다르게 기록한 글자도 10자나 된다. 성삼문이 쓴 원문 첫 구절은 “아침에 도원도를 보고 저물녘에 도원기를 읽네(朝見桃源圖, 暮讀桃源記)”이다. 이렇듯 당시 신하들은 ‘그림1’을 ‘몽도원도’ 또는 ‘도원도’라고 했다.

    ‘그림1’ 제목을 ‘몽도원도’라 정하고, 1450년 안평대군이 쓴 자작시 ‘그림3’을 읽으면 다음과 같다. “세상 어디에 ‘몽도원’ 같은 곳이 있나/ 야복산관을 한 그 사람 아직도 눈에 선하네/ 그림으로 그려놓고 보니 참으로 좋아/ 이대로 여러 천년 전할 만하네(世間何處‘夢桃源’ 野服山冠尙宛然 着畵看來定好事 自多千載擬相傳).” 안평대군이 첫 구절에서 말한 ‘몽도원’은 바로 ‘그림1’을 지칭한다.

    이 밖에 안 교수는 “그림 우측 가장자리에 ‘지곡(池谷) 가도작(可度作)’이라고 단정하게 쓰인 관서(款署)와 그 밑에 찍힌 ‘가도(可度)’라는 주문방인(朱文方印)이 있어 안견의 작품임을 분명히 해준다. 이것들은 물론 제작 당시에 된 것이다”라고 했다. 이는 당시 왕에게 바치는 그림에는 화사(畵師) 이름을 남기지 않았다는 역사적 사실과 맞지 않는 주장이다. 그림은 안견이 그렸지만, 그림 위 글씨와 도장은 ‘그림2’처럼 후대 사람이 첨가한 것이다.

    예부터 선비들은 “조금 의심하면 조금 진보하고 크게 의심하면 크게 진보한다”고 했다. 마음속 의문이 사라지도록 하는 게 공부라는 얘기다. 오랫동안 철석같이 믿었던 것에서 틀린 것을 찾고 올바르게 고치는 데는 용기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보다 더 큰 용기가 필요한 것은 명백한 사실 앞에서 그동안의 잘못을 인정하는 자세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