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856

2012.09.24

신라엔 두 송이 연꽃이 피었다

뮤지컬 ‘쌍화별곡’

  • 구희언 여성동아 기자 hawkeye@donga.com

    입력2012-09-24 11:27: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신라엔 두 송이 연꽃이 피었다
    신라시대 원효와 의상은 ‘해골 물 일화’로 유명하다. 두 사람이 지향하는 바는 같았지만 목표에 다다르는 방식이 조금 달랐던 것도 말이다. 그런 두 사람의 깊은 우정과 사랑, 꿈을 그린 창작 뮤지컬 ‘쌍화별곡’이 첫선을 보였다.

    그간 원효와 의상 이야기는 꾸준히 여러 작품에서 소재로 쓰였다. 가까이에는 MBC에서 창사특집으로 야심차게 준비한 뮤지컬 ‘원효’가 있다. 제목부터 원효에게 포인트를 맞춘 작품과 달리 ‘쌍화별곡’에서는 두 사람 비중을 동등하게 다루려고 신경 쓴 흔적이 엿보인다.

    역사가 곧 스포일러인 작품을 재미있게 이끌어가는 방법은 뭘까. ‘쌍화별곡’은 원효와 의상을 젊고 매력적인 신라시대 꽃미남으로 설정했다. 의상은 전쟁의 무상함에 진덕여왕과 김춘추에게 겁 없이 대든 낭도 원효를 구해주고 분황사에서 설법할 기회도 준다. 그러나 원효는 김춘추의 딸 요석공주와 잠자리를 하는 등 사고만 치고 기행을 일삼는다. 의상과 원효는 당나라로 떠나지만, 해골 물을 마시고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의 깨달음을 얻은 원효는 당나라행을 포기한다. 여기까지가 1막의 큰 줄거리다.

    작품은 대사를 최소화하고 넘버 위주로 극을 진행하는 송 스루(Song Through) 형태를 취했다. 작곡과 편곡을 맡은 작곡가 장소영은 뮤지컬 ‘형제는 용감했다’ ‘피맛골 연가’로 더 뮤지컬 어워즈에서 작곡상을 받은 실력파. 이 작품에서는 파워풀한 화랑 군무가 돋보이는 ‘죽음이란 무엇인가’를 시작으로 극 전반에 울려 퍼지는 ‘깨어 있으라’ ‘일체유심조’가 주제를 함축해서 보여준다. ‘선문답’ 넘버에서 ‘죽비’를 소품으로 활용한 것도 재미있다. 요석공주가 원효를 그리워하며 부르는 ‘물에 비친 달’은 박수와 함성을 제일 많이 받은 넘버.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무대 위에 회전무대 두 개를 설치했다. 무대디자인은 장식을 최소화한 목조 구조로 심플함을 더했다. 무대디자이너 오필영은 동시대를 다룬 창작뮤지컬 ‘풍월주’에서도 유사한 형태의 무대로 심플한 고전미를 선보인 바 있다.



    한국뮤지컬대상시상식과 더 뮤지컬 어워즈에서 수상한 경력이 있는 안무가 겸 연출가 이란영의 뮤지컬 데뷔작답게 안무에 공들인 흔적이 역력하다. 군중 신에서는 화려하면서도 절도 있는 군무 앙상블을 기대해도 좋다. 극을 볼 때 비중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고를 수 있는 선택의 폭도 넓다. 시원시원한 가창력을 토대로 한 넘버 소화력을 보고 싶다면 팝페라 가수 박완과 김순택 페어, 비주얼이나 연기적 측면이 궁금하다면 김다현과 김호영 페어를 추천한다.

    다만, 늘어지는 스토리는 아쉬운 부분이다. 공연장을 찾는 관객은 원효와 의상 이야기를 대강은 알고 있을 확률이 높다. 1막을 모두가 아는 깨달음을 얻기까지의 과정으로 소진해 지루한 감이 있고, 분명한 웃음 포인트에서 미처 다 웃기 전에 비장미 넘치는 장면으로 넘어가 완벽한 몰입을 방해한다. 재연한다면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다. 작품은 서울을 시작으로 부산, 대구를 거쳐 11월에는 중국 선전에서 중국 관객과 만난다. 9월 30일까지, 서울 능동 유니버설아트센터.

    신라엔 두 송이 연꽃이 피었다




    댓글 0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