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동아 824

..

“내 잘못이오!” 스스로 손가락질해라

리더의 실패 평가법

  • 김한솔 HSG 휴먼솔루션그룹 수석연구원 hskim@hsg.or.kr

    입력2012-02-13 10:49: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방 과장과 최 대리는 두 주를 정신없이 보냈다. 보름 전 팀장이 갑자기 마케팅 혁신 방안에 대한 기획서를 제출하라는 과제를 던졌기 때문. 본부장에게 보고해야 하니 열심히 해보라는 게 팀장의 당부였다. 오늘은 기획서에 대한 평가를 발표하는 날, 방 과장과 최 대리는 팀장 회의가 끝나기만을 초조하게 기다렸다.

    드디어 회의실 문이 열리고, 팀장은 이렇게 말했다.

    “방 과장, 최 대리 그동안 고생했어. 그런데 내용이 너무 추상적이라고 하시네. 사실 나는 이렇게 될 것 같았어. 상무님은 딱딱 떨어지는 걸 좋아하시는데, 자네들 기획서는 그 부분이 좀 아쉬웠지 싶어. 그래도 최선은 다했지? 그걸로 만족하자고!”

    방 과장의 온몸에서 기운이 빠졌다. 기껏 만든 기획서가 떨어져서가 아니다. “이렇게 될 것 같았다”는 팀장의 한마디가 방 과장의 가슴을 후벼 팠다. “힘내라”고, “다음엔 좀 더 멋진 모습을 보여주자”고 외치는 팀장의 목소리가 귓등을 때린다. 하지만 방 과장은 여전히 너무 허전하다.

    당신의 다섯 살짜리 아이가 길을 가다가 넘어져 무릎이 깨졌다. 어떻게 하겠는가. 미국 부모는 보통 다가가 손을 내밀고는 “괜찮다”며 아이를 따뜻하게 안고 위로해준다고 한다. 일본 부모는 아이가 혼자 일어날 때까지 기다린다고 한다. 그들에게는 아이를 달래는 것보다 왜 넘어졌는지 이유를 설명하고 다음에는 똑같은 실수를 하지 않도록 주의를 주는 게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럼 한국 부모는 어떨까. 바람처럼 달려가 얼른 일으켜 세운다. 그러고는 쭈그려 앉아 땅을 향해 말한다. “누가 그랬어? 이 나쁜 땅. 같이 혼내줄까?”



    어떤 행동이 옳고 그르다고 말할 수는 없다. 아이가 펑펑 운다면 무슨 수를 쓰든 빨리 달래고 안정을 찾도록 하는 게 가장 옳은 방법이니까 말이다. 그러나 가정이 아닌 조직이나 기업이라면 얘기가 좀 달라진다.

    많은 상사가 실수하거나 실패를 겪어 의기소침해진 직원에게 따뜻한 위로나 정확한 원인 분석을 전하기보다 실패를 ‘다른 누구의 탓’으로 돌리곤 한다. 이걸 가장 빠르고 쉬운 해결책이라 생각하는 것이다. 특히 리더가 이런 모습을 보이면 문제는 더 심각해진다. 지위가 올라갈수록 사람은 완벽한 모습만을 보여줘야 한다고 생각하기 쉽고, 따라서 일이 잘못되면 환경 탓으로 돌리거나 다른 사람에게 책임을 떠넘기려고 한다. 하지만 진짜 존경받는 리더가 되려면 정반대로 행동해야 한다. 자기 잘못을 인정하는 건 당연하다. 한 걸음 더 나아가 누구의 잘못인지 애매할 때도 먼저 나서서 “내 잘못이오”를 외칠 수 있어야 한다.

    ‘야신(野神)’으로 불리는 김성근 감독. 중요한 순간 대타로 기용한 선수가 삼진 아웃을 당했을 때는 이런 생각이 든다고 했다. ‘내가 왜 그 선수를 썼을까.’ 그 선수를 탓하는 게 아니다. 선수의 컨디션, 장단점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 잘못 기용한 자신을 탓하는 것이다. 그래야 선수가 감독을 믿고 따르지 않겠는가.

    비즈니스에서도 마찬가지다. 수많은 히트 광고를 제작하며 최고의 광고인으로 손꼽히는 박웅현은 한 일간지와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광고제작 막판에 광고주가 고치라고 해 망친 광고도 있지만, 그것 역시 내 책임이라 생각한다”고. 광고주 말을 듣고 “고치겠다”고 동의한 사람은 바로 자기 자신이기 때문이다.

    ‘내 책임’을 가장 먼저 생각하며 스스로에게 손가락질할 수 있는 능력, 그게 리더십의 핵심이다.



    댓글 0
    닫기